기사 메일전송
1905년 日에 빼앗겼던 주미대한제국공사관, 현지 학생에도 순환버스 무료
  • 정해든
  • 등록 2025-02-04 09:36:33
  • 수정 2025-02-04 18:58:59

기사수정
  • - 2월부터 11월까지 매월 최대 4회 운행 확대

찾아가는 주미대한제국공사관 순환버스(셔틀버스)국가유산청과 국외소재문화유산재단이 주미대한제국공사관(미국 워싱턴 D.C.)을 쉽게 관람할 수 있도록 무료 순환버스 운영 횟수를 확대하고, 탑승 대상을 현지 중고등학생까지 포함했다. 활용도를 높이려는 취지다.

 

기존에는 워싱턴 D.C. 인근 재외동포만 탈 수 있었는데 이제는 한국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미국인 중고등학생들도 참여할 수 있게 됐다. 순환버스는 2~11월 매월 최대 4차례 운행되며, 워싱턴 D.C., 매릴랜드, 버지니아에서 운영한다.

 

지난해 시작한 국가유산청의 찾아가는 주미대한제국공사관 사업의 하나다. 여기에 국외소재문화유산재단 미국사무소와 재외동포 사회도 협력했다.


올해는 워싱턴한인커뮤니티센터, 버지니아한인회, 재미한국학교 워싱턴 지역협의회, 한국어채택학교 교사협의회도 함께했다. 


순환버스 운영은 주워싱턴한국문화원의 '김밥 만들기' 등 체험 프로그램과도 연계할 예정이다.

 

주미대한제국공사관은 1889~1905년 대한제국의 외교 거점이었는데 일제에 외교권을 빼앗아간 후 1910년 미국인에게 팔렸다. 


2012년 우리 정부는 이를 다시 사들여 복원해 2018년 역사전시관으로 개관했다. 지난해 9월엔 미국 국가사적지(National Register of Historic Places)로 등재됐다.

 

주미대한제국공사관은 "우리의 역사·문화 가치를 널리 알리고, 한-미 간 문화유산을 더욱 많이 공유하겠다"며 "앞으로도 미국 내 'K-공유유산'의 가치를 재외동포, 현지인과 함께 나누기 위해 관련 단체 등과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이슈픽] 강선우 의원 '보좌관 갑질' 논란···야당 "사퇴해야" vs 여당 "충실히 소명"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보좌관 갑질' 논란의 중심에 섰다. 문제를 제기한 보좌진들은 "자택 쓰레기 분리수거, 변기 수리 등 사적 지시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5년간 46명이 의원실을 떠났다"며 이례적인 인사 교체가 갑질의 방증이라는 목소리도 높다."변기 수리·쓰레기 분리수거까지"…...
  2.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가족 집에 들어서면 대문 옆에 헛간이 서고처럼 서 있는데 처마 끝에 도서 대여목록 카드처럼 여섯 자루의 호미가 꽂혀 있다. 아버지 호미는 장시간 반납하지 않은 책처럼 한번 들고 나가면 며칠씩 밤새고 돌아온다. 산비탈을 다듬는지 자갈밭을 일구는지 듬성듬성 이가 빠져 자루만 조금 길면 삽에 가까운 호미, 그 옆에 어머니 호미는 가장 많...
  3.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바이킹 선장은 낡은 군복을 입고 담배를 문 채로그냥 대충 타면 된다고 했다두려운 게 없으면 함부로 대한다망해가는 유원지는 이제 될 대로 되라고배를 하늘 끝까지 밀어 올렸다모터 소리와 함께 턱이 산에 걸렸다쏠린 피가 뒤통수로 터져 나올 것 같았다원래는 저기 저쪽 해 좀 보라고 여유 있는 척좋아한다고 외치려 했는데으어어억 하는 사이 .
  4. [이슈픽] 국무회의 첫 생중계에 쏠린 시선···"투명성 강화" vs "긍적적 평가할 뻔" "국민이 정책 논의 과정을 볼 권리가 있다."2025년 7월 29일, 이재명 대통령이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국무회의 전 과정을 국민 앞에 생중계했다. 대통령의 모두발언만 공개되던 관행을 깨고, 1시간 20분 동안 주요 현안에 대한 장관들과의 실시간 토론까지 국민에게 여과 없이 공개했다.정치권의 엇갈린 반응: "투명성 강화" vs...
  5. [새책] 일과 자유, 삶의 품위를 묻는《나는 북경의 택배기사입니다》···현재를 희생하며 꿈꾸는 노동자들의 삶 택배기사, 물류센터 상하차, 패스트푸드 배달, 주유소 직원, 쇼핑몰 경비원, 온라인 쇼핑몰 창업 등 현장에서 일하며 인간의 품위와 자유를 고민한 한 청년의 기록이 있다. 고된 노동 속에서 마법 같은 순간을 발견하고 글쓰기를 하며 성장하는 이야기다. 월북에서 일하는 이들의 기쁨과 슬픔을 기록한 《나는 북경의 택배기사입니다》를 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