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통영이 빛나는 밤에' 내 사연과 신청곡 들으며 걷는다···윤이상공원·해저터널·봉수골 벚꽃거리·통제영거리·서피랑
  • 박영준 기자
  • 등록 2025-03-23 11:30:08

기사수정
  • - 3월 22일~4월 18일, 매주 금,토에 음악과 함께하는 야간도보투어

 


통영시가 3월 22일~4월 18일 매주 금·토요일 밤에 음악과 함께하는 도보투어 '통영이 빛나는 밤에'를 운영한다.


이번 도보투어는 대한민국 제1호 야간관광 특화도시, 통영시 사업으로 '봄 통영'의 야경과 음악을 즐기기 위해 기획됐다.


투어는 2개의 코스로 8회 진행된다. '통디(통영DJ) 라디오'는 각 회차마다 참가자 사연과 신청곡을 생방송으로 내보내 들으며 걸을 수 있도록 했다.


첫 번째 코스인 '안단테 통영, 살랑이는 봄바람과 함께 걷다'는 윤이상공원을 시작으로 해저터널~봉수골 벚꽃거리~전혁림미술관~연필등대를 걷는 코스로 3월 22일(토), 28일(금), 29일(토), 4월 4일(금) 진행된다.


두 번째 코스는 '칸타빌레 통영, 밤의 야경 그 낭만 속에서'로 통제영거리를 시작으로 서피랑~ 서피랑99계단~ 강구안 보도교~디피랑 입구를 걷는 코스로 4월 5일(토), 11일(금), 12일(토), 18일(금) 진행된다.


참가 신청은 인스타그램 '투나잇 통영', QR코드 또는 전화로 하면 되며 참가비는 1만 원이다. 


투어프로그램에는 현장 퀴즈이벤트와 미니 음악공연도 열리며, 참가자에게는 다과와 음료, 야광 머리띠 등을 준다. 인기가 많아 지금은 4월 4일(금), 11일(금), 18일(금)만 신청할 수 있다.


통디 김도윤DJ는 "통영 토박이 DJ로서 음악의 도시 통영의 야경을 소개할 수 있어 영광이다. 퀴즈 이벤트는 문자를 빨리 보내야 유리하다"며 소감에 행사 팁도 전했다.


통영시 관광혁신과 천명애 팀장은 "이번 음악도보투어를 시작으로 야간관광 여행상품, 통제영 야간투어, 모던보이즈 도보투어 등 야간관광 콘텐츠를 연중 운영할 계획이다. 관광객이 오래 머물도록 해 통영의 야간경제를 활성화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이슈픽] 강선우 의원 '보좌관 갑질' 논란···야당 "사퇴해야" vs 여당 "충실히 소명"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보좌관 갑질' 논란의 중심에 섰다. 문제를 제기한 보좌진들은 "자택 쓰레기 분리수거, 변기 수리 등 사적 지시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5년간 46명이 의원실을 떠났다"며 이례적인 인사 교체가 갑질의 방증이라는 목소리도 높다."변기 수리·쓰레기 분리수거까지"…...
  2. [이슈픽]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이언주의 허가제 vs 주진우의 신고제 외국인 부동산 투기가 이슈로 떠오르면서 여야 의원들이 잇따라 관련 법안을 발의했다. 특히 중국인의 국내 주택 소유 비율이 절반을 넘어서면서 규제 강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이언주·주진우 의원,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 경쟁 발의7월 9일 이언주 민주당 의원이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을 발의했다. 법안의 핵심은 ...
  3.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가족 집에 들어서면 대문 옆에 헛간이 서고처럼 서 있는데 처마 끝에 도서 대여목록 카드처럼 여섯 자루의 호미가 꽂혀 있다. 아버지 호미는 장시간 반납하지 않은 책처럼 한번 들고 나가면 며칠씩 밤새고 돌아온다. 산비탈을 다듬는지 자갈밭을 일구는지 듬성듬성 이가 빠져 자루만 조금 길면 삽에 가까운 호미, 그 옆에 어머니 호미는 가장 많...
  4.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바이킹 선장은 낡은 군복을 입고 담배를 문 채로그냥 대충 타면 된다고 했다두려운 게 없으면 함부로 대한다망해가는 유원지는 이제 될 대로 되라고배를 하늘 끝까지 밀어 올렸다모터 소리와 함께 턱이 산에 걸렸다쏠린 피가 뒤통수로 터져 나올 것 같았다원래는 저기 저쪽 해 좀 보라고 여유 있는 척좋아한다고 외치려 했는데으어어억 하는 사이 .
  5. [이슈픽] 국무회의 첫 생중계에 쏠린 시선···"투명성 강화" vs "긍적적 평가할 뻔" "국민이 정책 논의 과정을 볼 권리가 있다."2025년 7월 29일, 이재명 대통령이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국무회의 전 과정을 국민 앞에 생중계했다. 대통령의 모두발언만 공개되던 관행을 깨고, 1시간 20분 동안 주요 현안에 대한 장관들과의 실시간 토론까지 국민에게 여과 없이 공개했다.정치권의 엇갈린 반응: "투명성 강화" vs...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