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새책] 청년 여성의 광장 기록 《백날 지워봐라, 우리가 사라지나》···수다떨기도 연대의 방법
  • 정해든 기자
  • 등록 2025-05-08 07:53:30

기사수정
  • - 광장에서 만난 이름들, 지워지지 않을 이야기
  • - 응원봉 부대에서 활동가까지, 딸들이 직접 말하다
  • - 페미니즘 리부트 이후 10년, 여성은 어디에 있었나

최나현·양소영·김세희 지음 / 오월의봄 / 21,000원청년 여성은 왜 광장에 나오는가? 그들은 무슨 이야기를 하고 싶었던 걸까? 그들의 외침은 언제부터 존재했고, 왜 듣지 못했을까? 


오월의봄에서  '딸', '2030 여성', '응원봉 부대'라 불린 여성 시민들의 광장 경험을 집요하고 섬세하게 기록한《백날 지워봐라, 우리가 사라지나》를 펴냈다.


지난 10년간 광장에 나선 여성들의 이야기를 듣고 그 경험을 생생하게 복원한다. 강남역 여성혐오 살인사건 추모, 혜화역 시위, 낙태죄 폐지 촛불 등 수많은 현장에서 여성들은 함께 울고, 싸우고, 연대했다. 이 책은 '답' 대신 '경청'을 제안한다. 


저자들은 단순한 서술이나 분석 대신, 청년 여성들을 만나 그들이 겪은 삶을 인터뷰로 풀어냈다. 그 생애의 곡선을 따라가며, 한 사람의 서사가 사회의 흐름을 보여주는 방식을 택했다. "여성이 지워지는 문제만큼 '비수도권 여성'의 경험이 세상에 제대로 기재되지 않는 문제 역시 중요했다"고 강조한다.


책에는 13명의 목소리가 담겨 있다. 고등학생 시절 시국선언에 나섰던 10대부터, 성소수자로서 투쟁을 이어가는 30대까지, 광장을 살아낸 여성들이 중심이다. 그들은 '치유하는 저항'을 말하며 '수다떨기도 연대의 방법'이라 믿는다.


이 책은 시위의 기록을 넘어 '지금 여기'의 여성 시민이 어떤 사회를 살아내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장애인 이동권 투쟁, 비정규직 연대 등 페미니즘 너머의 연대를 실천하는 과정도 담았다. 그들의 삶은 더 이상 납작한 이름으로 묶이지 않는다.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개개인의 삶이 광장으로 연결되는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이야기를 담는 것이다." 


서문에서 보듯 이 책은 그 연결을 말한다. 이들을 기억하는 일은 우리 사회를 다시 그리는 일이다. 저자 최나현, 양소영, 김세희는 각자 사회운동과 여성주의, 기록 활동에 깊이 관여해 왔다. 이번 작업에서는 인터뷰를 통해 드러나는 목소리를 존중하며, 공동 저술 방식을 택했다.

관련기사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이슈픽] 강선우 의원 '보좌관 갑질' 논란···야당 "사퇴해야" vs 여당 "충실히 소명"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보좌관 갑질' 논란의 중심에 섰다. 문제를 제기한 보좌진들은 "자택 쓰레기 분리수거, 변기 수리 등 사적 지시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5년간 46명이 의원실을 떠났다"며 이례적인 인사 교체가 갑질의 방증이라는 목소리도 높다."변기 수리·쓰레기 분리수거까지"…...
  2. [이슈픽]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이언주의 허가제 vs 주진우의 신고제 외국인 부동산 투기가 이슈로 떠오르면서 여야 의원들이 잇따라 관련 법안을 발의했다. 특히 중국인의 국내 주택 소유 비율이 절반을 넘어서면서 규제 강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이언주·주진우 의원,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 경쟁 발의7월 9일 이언주 민주당 의원이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을 발의했다. 법안의 핵심은 ...
  3.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가족 집에 들어서면 대문 옆에 헛간이 서고처럼 서 있는데 처마 끝에 도서 대여목록 카드처럼 여섯 자루의 호미가 꽂혀 있다. 아버지 호미는 장시간 반납하지 않은 책처럼 한번 들고 나가면 며칠씩 밤새고 돌아온다. 산비탈을 다듬는지 자갈밭을 일구는지 듬성듬성 이가 빠져 자루만 조금 길면 삽에 가까운 호미, 그 옆에 어머니 호미는 가장 많...
  4.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바이킹 선장은 낡은 군복을 입고 담배를 문 채로그냥 대충 타면 된다고 했다두려운 게 없으면 함부로 대한다망해가는 유원지는 이제 될 대로 되라고배를 하늘 끝까지 밀어 올렸다모터 소리와 함께 턱이 산에 걸렸다쏠린 피가 뒤통수로 터져 나올 것 같았다원래는 저기 저쪽 해 좀 보라고 여유 있는 척좋아한다고 외치려 했는데으어어억 하는 사이 .
  5. [이슈픽] 국무회의 첫 생중계에 쏠린 시선···"투명성 강화" vs "긍적적 평가할 뻔" "국민이 정책 논의 과정을 볼 권리가 있다."2025년 7월 29일, 이재명 대통령이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국무회의 전 과정을 국민 앞에 생중계했다. 대통령의 모두발언만 공개되던 관행을 깨고, 1시간 20분 동안 주요 현안에 대한 장관들과의 실시간 토론까지 국민에게 여과 없이 공개했다.정치권의 엇갈린 반응: "투명성 강화" vs...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