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김주성의 한시 한 편] 홍의장군 곽재우의 <유소명(有召命)>
  • 김주성 기자
  • 등록 2025-06-12 01:40:02
  • 수정 2025-06-25 09:33:41

기사수정
  • - '정암진대첩'으로 나라를 구하다

달력을 넘기다 6월 1일이 '의병의 날'이라는 것을 알았다. 임진왜란 때 곽재우(1552~ 1617)가 의병을 처음 일으킨 1592년 음력 4월 22일을 양력으로 환산해 호국보훈의 달 첫날(6월 1일)로 정했다. 2010년 국가기념일로 제정해 2011년부터 기념하고 있다. 

 

'곽재우' 하면 '홍의장군'이다. 본관이 현풍으로 임진왜란 당시 가문은 의령에서 명문가로 이름을 날리고 있었다. 남명 조식 문하에서 성리학을 배운 곽재우는 서른넷에 문과 대과에 2등으로 급제했는데도 글 내용이 선조의 비위를 거슬렀다고 해 합격이 취소됐다. 

 

그리고 7년 후 임진왜란이 일어났다. 관군은 왜군에게 속수무책 밀렸다. 곽재우는 사재를 털어 의병을 일으켰고 '흰 말을 타고 붉은 비단으로 감싼 갑옷을 입고' 기묘한 전술로 왜군을 격파하자 그를 그를 천강홍의장군(天降紅衣將軍)이라 불리며 유명해 졌다. 

 

얼마 뒤 '정암진대첩'이 있었다. 왜 제6군의 전라도 진격을 막아내자 왜군은 결국 전라도를 점령하지 못했다. 이 승리 덕에 이순신 장군이 이끌던 전라 좌수영 등도 왜군의 공격을 받지 않아 자유롭게 활약할 수 있었다. 곽재우는 정암진에서 크게 이기며 나라를 구한 것이다.


정유재란 때도 의병장으로 나서 활약했고, 이후 려러 관직을 지내다 향년 예순여섯에 망우정에서 숨을 거두었다. 나라와 백성을 지키기 위해 목숨을 던진, 이름도 남기지 못한 의병들과 선열을 생각하며 홍의장군 곽재우의 한시 有召命(유소명)을 소개한다.(7언절구, 운자(韻字)는 연, 천, 선)


有召命(유소명)


九載休糧絶鼎煙   구재휴량 절정연

如何恩命降從天   여하은명 강종천

安身恐負君臣義   안신공부 군신의

濟世難爲羽化仙   제세난위 우화선

 


임금께서 부르는 명령이 있음

 

9년 동안 양식 없어 밥솥 연기 끊어졌는데

어떻게 은명이 하늘(대궐)에서 내려왔을까

한 몸 편안히 하자니 군신의리 저버릴까 두렵고

세상을 구제하자니 신선 되기 어려워라 

덧붙이는 글

*羽化登仙(우화등선): 날개가 돋쳐 올라 신선이 됨(소동파 《前적벽부》출전)

관련기사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이슈픽] 강선우 의원 '보좌관 갑질' 논란···야당 "사퇴해야" vs 여당 "충실히 소명"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보좌관 갑질' 논란의 중심에 섰다. 문제를 제기한 보좌진들은 "자택 쓰레기 분리수거, 변기 수리 등 사적 지시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5년간 46명이 의원실을 떠났다"며 이례적인 인사 교체가 갑질의 방증이라는 목소리도 높다."변기 수리·쓰레기 분리수거까지"…...
  2. [이슈픽]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이언주의 허가제 vs 주진우의 신고제 외국인 부동산 투기가 이슈로 떠오르면서 여야 의원들이 잇따라 관련 법안을 발의했다. 특히 중국인의 국내 주택 소유 비율이 절반을 넘어서면서 규제 강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이언주·주진우 의원,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 경쟁 발의7월 9일 이언주 민주당 의원이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을 발의했다. 법안의 핵심은 ...
  3.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가족 집에 들어서면 대문 옆에 헛간이 서고처럼 서 있는데 처마 끝에 도서 대여목록 카드처럼 여섯 자루의 호미가 꽂혀 있다. 아버지 호미는 장시간 반납하지 않은 책처럼 한번 들고 나가면 며칠씩 밤새고 돌아온다. 산비탈을 다듬는지 자갈밭을 일구는지 듬성듬성 이가 빠져 자루만 조금 길면 삽에 가까운 호미, 그 옆에 어머니 호미는 가장 많...
  4.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바이킹 선장은 낡은 군복을 입고 담배를 문 채로그냥 대충 타면 된다고 했다두려운 게 없으면 함부로 대한다망해가는 유원지는 이제 될 대로 되라고배를 하늘 끝까지 밀어 올렸다모터 소리와 함께 턱이 산에 걸렸다쏠린 피가 뒤통수로 터져 나올 것 같았다원래는 저기 저쪽 해 좀 보라고 여유 있는 척좋아한다고 외치려 했는데으어어억 하는 사이 .
  5. [이슈픽] 국무회의 첫 생중계에 쏠린 시선···"투명성 강화" vs "긍적적 평가할 뻔" "국민이 정책 논의 과정을 볼 권리가 있다."2025년 7월 29일, 이재명 대통령이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국무회의 전 과정을 국민 앞에 생중계했다. 대통령의 모두발언만 공개되던 관행을 깨고, 1시간 20분 동안 주요 현안에 대한 장관들과의 실시간 토론까지 국민에게 여과 없이 공개했다.정치권의 엇갈린 반응: "투명성 강화" vs...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