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김주성의 한시 한 편] 의병장 김덕령의 '작시견지(作詩見志)'···시를 지어 뜻을 보이다
  • 김주성 기자
  • 등록 2025-06-19 05:30:02
  • 수정 2025-06-25 09:30:24

기사수정

의병장의 한시를 꺼낸 김에 한 주를 더 한다. 임진왜란 당시 선조는 의주로 도망가고 군대는 왜군의 조총 앞에 전멸하다시피 했다. 이 누란의 때에 조국 강산과 백성을 구하기 위해 평소 억압 받고 멸시 받던 평민과 스님 들이 나섰다. 이들에게는 지도자가 필요했다. 


김덕령(金德齡, 1567 ~ 1596)은 양녕대군의 장인 김한로(金漢老, 본관은 광산)의 12대손이다. 광주목 석저면 석저성촌(현 성안마을)에서 태어나 '석저장군(石底將軍)'이라 부른다. 

 

1592년 4월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형 김덕홍과 함께 고경명의 의병에 참여했다. 김덕홍은 '1차 금산전투'에서 전사했다. 이후 김덕령은 3,000여 명을 이끌고 담양에서 활약했다. 


1593년 광해군에게 익호장(翼虎將), 권율 장군에게 초승장(超乘將), 이듬해 선조에게 충용장(忠勇將)의 군호를 받았고 스물여덟에 '8도 의병 총사령관'이 됐다. 그 시기 명과 일본은 화의를 논하고 있었기에 전투는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그리고 1596년. 왕족 서얼 출신 이몽학이 반란을 일으켰다. 그는 거짓으로 의병장들이 합류할 것이라고 선전해 많은 군사를 모았지만 관군이 빨리 투입되며 전세는 금세 불리해졌다. 결국 부하들에게 목을 베였다. 그런데 반란군 수뇌들이 "김덕령과 내통했다"고 하는 바람에 반란에 휩쓸렸고, 심문 끝에 옥사한다. 

 

김덕령은 누명을 쓰고 죽은 의병장으로 더욱 유명해졌다. 이후 뜻있고 용력 있는 사람들은 숨어 지낼 수밖에 없었다. 이후 신원돼 충장(忠壯) 시호를 받았다. 광주의 '충장로'를 그의 시호에서 땄다.(1946년부터 사용)

 

 

作詩見志   작시견지


絃歌不是英雄事   현가불시 영웅사

劍舞要湏玉帳遊   검무요수 옥장유

他日洗兵歸去後   타일세병 귀거후

江湖漁釣更何求   강호어조 갱하구


시를 지어 뜻을 보이다

 

거문고 뜯고 가무를 즐김이 영웅의 일이 아니니 

장군 막사에서 칼춤을 추는 게 당당하리

다른 날에 적을 쳐 전쟁 마치고 돌아와 

강호에서 낚시질이나 하지 다시 무얼 구하리오

덧붙이는 글

要湏(요수)는 소중한 일 玉帳(옥장)은 장수의 막사를 아름답게 표한한 말이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이슈픽] 강선우 의원 '보좌관 갑질' 논란···야당 "사퇴해야" vs 여당 "충실히 소명"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보좌관 갑질' 논란의 중심에 섰다. 문제를 제기한 보좌진들은 "자택 쓰레기 분리수거, 변기 수리 등 사적 지시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5년간 46명이 의원실을 떠났다"며 이례적인 인사 교체가 갑질의 방증이라는 목소리도 높다."변기 수리·쓰레기 분리수거까지"…...
  2. [이슈픽]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이언주의 허가제 vs 주진우의 신고제 외국인 부동산 투기가 이슈로 떠오르면서 여야 의원들이 잇따라 관련 법안을 발의했다. 특히 중국인의 국내 주택 소유 비율이 절반을 넘어서면서 규제 강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이언주·주진우 의원,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 경쟁 발의7월 9일 이언주 민주당 의원이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을 발의했다. 법안의 핵심은 ...
  3.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가족 집에 들어서면 대문 옆에 헛간이 서고처럼 서 있는데 처마 끝에 도서 대여목록 카드처럼 여섯 자루의 호미가 꽂혀 있다. 아버지 호미는 장시간 반납하지 않은 책처럼 한번 들고 나가면 며칠씩 밤새고 돌아온다. 산비탈을 다듬는지 자갈밭을 일구는지 듬성듬성 이가 빠져 자루만 조금 길면 삽에 가까운 호미, 그 옆에 어머니 호미는 가장 많...
  4.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바이킹 선장은 낡은 군복을 입고 담배를 문 채로그냥 대충 타면 된다고 했다두려운 게 없으면 함부로 대한다망해가는 유원지는 이제 될 대로 되라고배를 하늘 끝까지 밀어 올렸다모터 소리와 함께 턱이 산에 걸렸다쏠린 피가 뒤통수로 터져 나올 것 같았다원래는 저기 저쪽 해 좀 보라고 여유 있는 척좋아한다고 외치려 했는데으어어억 하는 사이 .
  5. [이슈픽] 국무회의 첫 생중계에 쏠린 시선···"투명성 강화" vs "긍적적 평가할 뻔" "국민이 정책 논의 과정을 볼 권리가 있다."2025년 7월 29일, 이재명 대통령이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국무회의 전 과정을 국민 앞에 생중계했다. 대통령의 모두발언만 공개되던 관행을 깨고, 1시간 20분 동안 주요 현안에 대한 장관들과의 실시간 토론까지 국민에게 여과 없이 공개했다.정치권의 엇갈린 반응: "투명성 강화" vs...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