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케이-푸드 플러스(K-Food+) 수출이 전년 대비 7.1% 증가한 66억7,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상반기 케이-푸드 플러스(K-Food+) 수출이 전년 대비 7.1% 증가한 66억7,0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농식품 수출액이 51억6,370만 달러로 8.4%, 농산업 수출은 15억 달러로 3.1% 늘었다. K-Food+는 신선 및 가공 농식품과 스마트팜, 동물약품 등 농산업 제품을 아우르는 개념이다.
권역별로는 북미(24.3%), 유럽연합(23.9%), 걸프협력회의(GCC, 17.8%), 독립국가연합(CIS+몽골, 9.0%) 순으로 수출 증가율이 높았다. 미국, 중국, 일본 등 주요 시장에서도 2분기 수출 증가율이 1분기보다 더 높아지는 양상을 보였다.
가공식품 가운데 라면(24.0%), 소스류(18.4%), 아이스크림(23.1%)이 강세를 보였다. 라면은 중국, 미국, 아세안 지역 등에서 현지 유통망 확충과 함께 매운맛 제품의 인기에 힘입어 수출이 확대됐다. 소스류는 한식 인지도 확산에 따른 수요 증가가, 아이스크림은 유제품 대체 식물성 제품이 수출 확대에 기여했다.
신선식품 중에서는 닭고기(7.9%)와 유자(5.5%)가 두각을 나타냈다. 닭고기의 경우, 미국과 EU 등에서의 삼계탕, 냉동치킨 인기가 열처리 제품 수출 증가로 이어졌고, 유자는 건강식 이미지와 다양한 패키지 출시로 미국, 일본 등에서 수요가 늘었다.
농산업 수출도 동물용의약품(51.0%), 농약(22.4%), 종자(14.1%), 비료(6.8%) 등의 품목에서 고른 증가세를 나타냈다. 동물약품 중 라이신은 유럽에서 160% 급증세를 기록했으며, 농약은 중국과 베트남 등 아시아권에서 호조를 보였다.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상품개발, 해외 마케팅, 비관세장벽 대응 등을 적극 지원해 연말까지 목표액 140억 달러를 달성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