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선우 의원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보좌관 갑질' 논란의 중심에 섰다. 문제를 제기한 보좌진들은 "자택 쓰레기 분리수거, 변기 수리 등 사적 지시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5년간 46명이 의원실을 떠났다"며 이례적인 인사 교체가 갑질의 방증이라는 목소리도 높다.
"변기 수리·쓰레기 분리수거까지"…보좌진 갑질 주장 쏟아져
국민의힘 보좌진협의회는 청문회장 앞에서 '강'요된 사적지시, '선'넘은 갑질행동, '우'리가 기억한다는 팻말을 들고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강선우 의원 측은 "46명 면직은 중복 집계된 숫자일 뿐, 실제 면직자는 28명으로 통상 범위"라며 인사상 갑질 의혹을 부인했다. 또 "변기 수리나 쓰레기 분리수거 등 사적 지시 의혹은 사실이 아니며 오래 전부터 가사도우미가 있어 보좌진에게 집안일을 시킬 필요가 없다"고 해명했다.
강선우 의원 "사실과 다르다…허위제보·통상 범위" 정면 반박
이어 "의혹의 상당수는 전직 보좌진 2명의 악의적 허위제보"라고 밝혔다. 청문회장에서 강 의원은 "저로 인해 논란이 있는 점, 송구스럽게 생각한다. 상처받았을 보좌관들께 심심한 사과를 드린다"면서도 "의혹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국회 보좌진은 별정직 공무원으로 고용 안정성이나 인권 보호 장치가 미흡하다. 의원의 한 마디에 해고될 수 있어 '파리목숨' 신세라고도 한다. 의원실 내에서 사적 심부름, 인권침해, 폭언, 부적절한 지시가 반복되도 피해자들은 제보나 고발 하기가 쉽지 않다. 우리에게 알려진 다른 '갑질' 사례들을 살펴보았다.
김무성 전 의원의 '노룩패스'
2020년 김무성 당시 의원이 공항에서 수행원에게 여행용 캐리어를 시선도 주지 않고 밀어 넘기는 '노룩패스' 장면이 사진과 영상으로 퍼지며 '갑질' 논란이 일었다. 해당 장면은 국내외 언론과 SNS에서 패러디와 비난의 대상으로 회자됐다.
김 의원은 "(수행원이) 보이기에 이렇게 밀어줬는데, 왜 잘못이냐"며 "이상하게 보이냐"고 반문했다. 외국에서도 화제라는 질문에는 "나는 그런 것에 관심 없다”며 "(이런 것으로 기사를 쓰면) 내가 고소하겠다”고 말하기도 했다.
김 의원에겐 이런 사례가 또 있다. 2014년 전남 광양에서 현장 최고위원회의가 열렸다. 당시 비가 내렸는데 김 의원은 차에서 내린 뒤 보좌진 등이 만든 이른바 '우산 터널'을 걸었다. '의원님'이 비라도 맞을까 만든 것이다. 해당 사례는 여러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조명하며 비판이 커졌다.
송언석 의원의 '발길질'
2021년 4·7 재보궐 선거 당일 밤 8시쯤 송언석 의원이 당 사무처 소속 직원들에게 폭행·폭언을 가했다는 의혹이 있었다.
당사 3층에 마련된 개표상황실에 자신의 자리가 없다는 것에 격분해 당 사무처 국장과 당직자를 찾아가 욕설·폭언도 모자라 정강이를 걷어차기도 했다. 송 의원은 당시 김종인 비대위원장 비서실장이었다.
이에 송 의원은 "소리만 좀 있었지, (폭행은) 없었다. 사실과 전혀 다르다"고 반박했다. 그리고 다음날인 8일 당직자 노조에 "일부 사무처 당직자 동지들에게 과도한 언행이 있었던 점에 대해 사과드린다"고 전했다.
안철수 의원 배우자 김미경 교수의 '기차표 예매' 요구
안철수 의원의 사례는 색달랐다. 자신이 아닌 배우자 김미경 교수가 갑질 논란의 중심에 선 것이다.
김 교수는 2017년 당시 대권 후보로 나선 안 의원과 정치 노정을 함께했다. JTBC는 "김 교수가 기차표 예매와 강의 자료 검토 등을 보좌관에게 맡겼다"고 보도했다.
해당 보좌진은 "김 교수의 잡다한 일을 맡아 했는데 이런 것까지 해야 하나 싶었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비서진에게 업무 부담을 준 점 전적으로 제 불찰입니다. 더욱 엄격해지겠습니다"고 사과했다.
박대동 전 의원의 '월급 120만 원 반납' 요구
2015년 당시 박대동 새누리당 의원(울산 북구)이 전직 비서관에게 월급 일부를 '상납' 받았다는 의혹이 일었다.
해당 비서관은 13개월 동안 매달 120만 원을 의원실 인턴 직원을 통해 박 의원에게 송금했다고 주장했다. 이 돈 가운데 일부가 박 의원의 아파트 관리비 등으로 쓰였다고도 했다.
박대동 의원은 "지역구 사무실 운영이 어려운 상황에서 박 전 비서관이 자발적으로 돈을 냈을 뿐 강요는 없었다"고 해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보좌관 갑질은 생계 문제···국민에게도 영향
국회의원의 갑질 논란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보좌관에게 하는 갑질은 더욱 서글프다. 일을 하면서 생계로 목줄이 걸려서는 안 된다. 보좌관은 물론 국민에게까지 영향이 미치기 때문이다.
강선우 의원은 "차량이나 사무실 물품을 택배 주문해 차량으로 가져간 적이 있다. 전날 밤에 먹던 것을 아침에 차에서 먹으려 가져갔는데 다 먹지 못해 남겨 놓기도 했다. 저의 잘못"이라고 했다. 강 의원 건은 위 사례들과는 다르게 일상적이지 않다. 그럼에도 조심해야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