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KGM, '익스피리언스센터 부산' 개관 앞서 액티언 하이브리드 4일 탈 기회···오픈런·리프레시 시승
  • 박영준
  • 등록 2025-07-18 11:12:44
  • 수정 2025-07-18 12:24:34

기사수정

KGM, '익스피리언스센터 부산' 개관 기념 이벤트

KG모빌리티가 'KGM 익스피리언스센터 부산' 7월 하순 개관에 앞서 시승 이벤트를 개최한다.


경기도 일산과 서울 강남에 이은 KGM의 3번째 '익스피리언스센터'로 수도권 밖에서는 첫 센터 개관이다. 


이번 '익스피리언스센터 부산'은 '설레는 여정의 시작 공간' 콘셉트로 꾸며 KGM 부울경(부산, 울산, 경남)의 핵심 시승 허브로 만들 계획이다.

 

KGM은 6월 미래 모빌리티 기업으로 전환하기 위해 'KGM Forward'를 실행 전략으로 공개했다. 친환경차 개발 로드맵과 지속가능한 미래 발전 전략으로 고객의 높은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익스피리언스센터'를 전국적으로 확장하기로 한 것이다.

 

이번 시승 프로그램에서는 오픈런 시승과 리프레시 시승 등을 준비했다.

 

'오픈런 시승'은 예약 후 시승한 고객 중 250명에게 'KGM 시그니처 센트 패키지'(디퓨저 세트)를 준다. 예약은 7월 18일∼24일, 시승은 7월 25일~8월 31일이다.

 

'리프레시 시승'은 여행과 휴식 그리고 드라이브를 모두 체험하는 프로그램으로 7월 18일~27일 신청자를 모집한다. 추첨을 통해 1등 당첨자에게는 액티언 하이브리드 4일 시승권과 함께 아이패드 에어11을 주고, 2등 4명에게는 토레스 캠퍼 4일 시승권을 준다.

 

KGM는 "고객 경험이 중요하다. 이를 기반으로 보다 나은 서비스를 준비해 고객이 믿고 구매할 여정을 만들겠다. 'KGM 모빌링' 등도 준비하고 있다"며 "2027년까지 '익스피리언스센터'를 10개 넘게 개관해 'KGM 브랜드 경험'이 무엇인지 보여주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TAG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이슈픽] 강선우 의원 '보좌관 갑질' 논란···야당 "사퇴해야" vs 여당 "충실히 소명"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보좌관 갑질' 논란의 중심에 섰다. 문제를 제기한 보좌진들은 "자택 쓰레기 분리수거, 변기 수리 등 사적 지시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5년간 46명이 의원실을 떠났다"며 이례적인 인사 교체가 갑질의 방증이라는 목소리도 높다."변기 수리·쓰레기 분리수거까지"…...
  2. [이슈픽]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이언주의 허가제 vs 주진우의 신고제 외국인 부동산 투기가 이슈로 떠오르면서 여야 의원들이 잇따라 관련 법안을 발의했다. 특히 중국인의 국내 주택 소유 비율이 절반을 넘어서면서 규제 강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이언주·주진우 의원,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 경쟁 발의7월 9일 이언주 민주당 의원이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을 발의했다. 법안의 핵심은 ...
  3.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가족 집에 들어서면 대문 옆에 헛간이 서고처럼 서 있는데 처마 끝에 도서 대여목록 카드처럼 여섯 자루의 호미가 꽂혀 있다. 아버지 호미는 장시간 반납하지 않은 책처럼 한번 들고 나가면 며칠씩 밤새고 돌아온다. 산비탈을 다듬는지 자갈밭을 일구는지 듬성듬성 이가 빠져 자루만 조금 길면 삽에 가까운 호미, 그 옆에 어머니 호미는 가장 많...
  4.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바이킹 선장은 낡은 군복을 입고 담배를 문 채로그냥 대충 타면 된다고 했다두려운 게 없으면 함부로 대한다망해가는 유원지는 이제 될 대로 되라고배를 하늘 끝까지 밀어 올렸다모터 소리와 함께 턱이 산에 걸렸다쏠린 피가 뒤통수로 터져 나올 것 같았다원래는 저기 저쪽 해 좀 보라고 여유 있는 척좋아한다고 외치려 했는데으어어억 하는 사이 .
  5. [이슈픽] 국무회의 첫 생중계에 쏠린 시선···"투명성 강화" vs "긍적적 평가할 뻔" "국민이 정책 논의 과정을 볼 권리가 있다."2025년 7월 29일, 이재명 대통령이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국무회의 전 과정을 국민 앞에 생중계했다. 대통령의 모두발언만 공개되던 관행을 깨고, 1시간 20분 동안 주요 현안에 대한 장관들과의 실시간 토론까지 국민에게 여과 없이 공개했다.정치권의 엇갈린 반응: "투명성 강화" vs...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