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하나자산신탁, 현대엘리베이터와 오피스 밸류애드 가속화 협약···스마트빌딩 기술 도입으로 오피스 리츠의 표준 제시한다
  • 박영준
  • 등록 2025-07-18 11:53:38
  • 수정 2025-07-18 13:22:04

기사수정

민관식 하나자산신탁 대표와 조재천 현대엘리베이터 대표하나자산신탁이 17일 현대엘리베이터와 오피스 자산의 밸류애드(Value-add) 전략 가속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가졌다.


리츠 26개를 운용하며 4조 원 규모 수탁자산을 가진 하나자산신탁은 지난해 8월 2,820억 원 규모로 '하나금융그룹 강남사옥'을, 올 4월에는 1,750억 원 규모로 강남구에 있는 '태광타워'를 인수하는 등 오피스 투자를 활발하게 하고 있다. 내년 상반기 리츠 상장을 추진하고 있다.


이번 협약은 하나자산신탁이 가진 오피스 자산에 엘리베이터 교체 및 동선 최적화, 운영비 절감을 위한 컨설팅, 자동주차 시스템 및 로보틱스 도입 등 현대엘리베이터의 스마트빌딩 기술을 도입해 리츠 포트폴리오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스마트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유지보수를 예측할 수 있어 고장 발생 전 대응함으로써 운영비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자동주차 시스템과 로봇 연동서비스로는 입주사에게 차별화된 편의성을 제공해 임대료 프리미엄 확보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중소형 오피스시장에서 뛰어난 밸류애드 성과를 거두고 있는 하나자산신탁은 현대엘리베이터의 검증된 기술력과 자사의 뛰어난 자산운용 노하우를 결합해 차세대 스마트 오피스 리츠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해 나갈 계획이다.

 

민관식 대표는 "스마트빌딩 기술 기반 밸류애드 전략은 비용 절감을 넘어 입주사의 업무 효율성을 한층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궁극적으로 공실률 감소 및 자산가치 상승으로 이어져 리츠 투자자들 수익률이 좋아질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TAG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이슈픽] 강선우 의원 '보좌관 갑질' 논란···야당 "사퇴해야" vs 여당 "충실히 소명"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보좌관 갑질' 논란의 중심에 섰다. 문제를 제기한 보좌진들은 "자택 쓰레기 분리수거, 변기 수리 등 사적 지시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5년간 46명이 의원실을 떠났다"며 이례적인 인사 교체가 갑질의 방증이라는 목소리도 높다."변기 수리·쓰레기 분리수거까지"…...
  2. [이슈픽]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이언주의 허가제 vs 주진우의 신고제 외국인 부동산 투기가 이슈로 떠오르면서 여야 의원들이 잇따라 관련 법안을 발의했다. 특히 중국인의 국내 주택 소유 비율이 절반을 넘어서면서 규제 강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이언주·주진우 의원,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 경쟁 발의7월 9일 이언주 민주당 의원이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을 발의했다. 법안의 핵심은 ...
  3.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가족 집에 들어서면 대문 옆에 헛간이 서고처럼 서 있는데 처마 끝에 도서 대여목록 카드처럼 여섯 자루의 호미가 꽂혀 있다. 아버지 호미는 장시간 반납하지 않은 책처럼 한번 들고 나가면 며칠씩 밤새고 돌아온다. 산비탈을 다듬는지 자갈밭을 일구는지 듬성듬성 이가 빠져 자루만 조금 길면 삽에 가까운 호미, 그 옆에 어머니 호미는 가장 많...
  4.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바이킹 선장은 낡은 군복을 입고 담배를 문 채로그냥 대충 타면 된다고 했다두려운 게 없으면 함부로 대한다망해가는 유원지는 이제 될 대로 되라고배를 하늘 끝까지 밀어 올렸다모터 소리와 함께 턱이 산에 걸렸다쏠린 피가 뒤통수로 터져 나올 것 같았다원래는 저기 저쪽 해 좀 보라고 여유 있는 척좋아한다고 외치려 했는데으어어억 하는 사이 .
  5. [이슈픽] 국무회의 첫 생중계에 쏠린 시선···"투명성 강화" vs "긍적적 평가할 뻔" "국민이 정책 논의 과정을 볼 권리가 있다."2025년 7월 29일, 이재명 대통령이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국무회의 전 과정을 국민 앞에 생중계했다. 대통령의 모두발언만 공개되던 관행을 깨고, 1시간 20분 동안 주요 현안에 대한 장관들과의 실시간 토론까지 국민에게 여과 없이 공개했다.정치권의 엇갈린 반응: "투명성 강화" vs...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