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말잇슈] 배현진 "취업생들은 소정의 절차 거치지 않는다"
  • 김광일 기자
  • 등록 2025-07-30 10:01:55
  • 수정 2025-08-05 23:53:01

기사수정

국회방송 캡처

29일 최휘영 문체부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소정'이 도마 위에 올랐다. 


"딸이 상위 15% 성적으로 졸업했고 소정의 절차를 거쳐 적법한 과정으로 취업했다"는 최 후보자의 해명에 배현진 의원이 "소정의 절차라는 말도 웃기죠. 보통 취업생들은 소정의 절차를 거치지 않는다. 엄청나게 고난의 절차를 거쳐서 취업에 성공한다"고 지적한 것이다.


최 후보자는 "간단한 절차를 거쳤다는 뜻이 아니라 웨이브 미디어가 설정한 채용 프로세스를 다 거쳤다는 말"이라고 답변했다.


일부 언론이 '배현진의 문해력'을 꼬집었다. 소정(所定)은 '정해진 바'로 일상에서 많이 쓰지 않고 공식적인 문서나 격식을 차린 글, 안내문 등에서 자주 쓰는 단어다.


예를 들어 '지원서와 소정의 서류를 제출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정의 절차를 거친 후 승인이 이루어집니다', '참가자에게는 소정의 기념품이 제공됩니다', '소정의 시간 내 과제를 마쳐야 합니다', '소정의 비용을 납부한 후 등록이 완료됩니다' 같이 쓰인다.


관용적으로 원고료, 절차, 시간, 기념품, 비용, 서류, 교육 등과 어울려 쓰이며, 경직된 분위기나 공식 문장에 자주 사용된다.


비슷하게 틀리는 말로 '소위(所謂)'가 있다. 방송이건 생활에서건 '소위 말해서'로 쓰는데 '말하는(謂) 바(所)'이므로 중복이다. 한자 말고 우리말 '이른바'로 쓰면 오류를 피할 수 있다.


들어본 것 같은데 잘 쓰지 않는 단어, 뜻을 잘 모르는 단어일 수 있다. 모르면 안 써야 하고 쓰려면 찾아보고 써야 한다. 사전을 찾아볼 '소정의 시간'을 만들어 보길 바란다.

관련기사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이슈픽] 강선우 의원 '보좌관 갑질' 논란···야당 "사퇴해야" vs 여당 "충실히 소명"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보좌관 갑질' 논란의 중심에 섰다. 문제를 제기한 보좌진들은 "자택 쓰레기 분리수거, 변기 수리 등 사적 지시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5년간 46명이 의원실을 떠났다"며 이례적인 인사 교체가 갑질의 방증이라는 목소리도 높다."변기 수리·쓰레기 분리수거까지"…...
  2. [이슈픽]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이언주의 허가제 vs 주진우의 신고제 외국인 부동산 투기가 이슈로 떠오르면서 여야 의원들이 잇따라 관련 법안을 발의했다. 특히 중국인의 국내 주택 소유 비율이 절반을 넘어서면서 규제 강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이언주·주진우 의원,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 경쟁 발의7월 9일 이언주 민주당 의원이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을 발의했다. 법안의 핵심은 ...
  3.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가족 집에 들어서면 대문 옆에 헛간이 서고처럼 서 있는데 처마 끝에 도서 대여목록 카드처럼 여섯 자루의 호미가 꽂혀 있다. 아버지 호미는 장시간 반납하지 않은 책처럼 한번 들고 나가면 며칠씩 밤새고 돌아온다. 산비탈을 다듬는지 자갈밭을 일구는지 듬성듬성 이가 빠져 자루만 조금 길면 삽에 가까운 호미, 그 옆에 어머니 호미는 가장 많...
  4.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바이킹 선장은 낡은 군복을 입고 담배를 문 채로그냥 대충 타면 된다고 했다두려운 게 없으면 함부로 대한다망해가는 유원지는 이제 될 대로 되라고배를 하늘 끝까지 밀어 올렸다모터 소리와 함께 턱이 산에 걸렸다쏠린 피가 뒤통수로 터져 나올 것 같았다원래는 저기 저쪽 해 좀 보라고 여유 있는 척좋아한다고 외치려 했는데으어어억 하는 사이 .
  5. [이슈픽] 국무회의 첫 생중계에 쏠린 시선···"투명성 강화" vs "긍적적 평가할 뻔" "국민이 정책 논의 과정을 볼 권리가 있다."2025년 7월 29일, 이재명 대통령이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국무회의 전 과정을 국민 앞에 생중계했다. 대통령의 모두발언만 공개되던 관행을 깨고, 1시간 20분 동안 주요 현안에 대한 장관들과의 실시간 토론까지 국민에게 여과 없이 공개했다.정치권의 엇갈린 반응: "투명성 강화" vs...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