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간우체통 설치 모습.영등포구가 구민의 사연을 듣고 대응하고자 '빨간우체통'을 설치했다. 도움이 필요해도 직접 요청하기 어려운 주민을 위해서다.
'영등포형 통합사례관리 체계'와 연계해 지역 내 복지 사각지대를 발굴하고 위기가구를 빠르게 지원하고자 한다.
현재 관내 18개 동주민센터와 서울남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 설치했고 '모바일우체통'(카카오톡 플러스친구 채널)도 운영하고 있다. 고시원, 옥탑방, 반지하 등에 안내문과 우편봉투를 배포해 서면으로도 접수받고 있다.
올해부터는 '영등포형 통합사례관리'를 본격 가동해 위기 상황을 면밀히 파악하고 개별 맞춤형으로 지원하고 있다.
3월에는 50대 1인가구가 건강 악화와 채무 독촉, 자살 충동 등 중복 위기 징후가 있어 즉시 통합사례관리 대상자로 지정, 긴급복지지원과 기초생활보장 신청을 마쳤다. 동시에 금융복지상담센터 동행 상담, 정신건강복지센터 연계까지 신속하게 이루어졌다.
영등포구는 이에 주민 참여도 확대하고 있다. 5월에는 지역 네트워크로 구성된 '영리한 살핌단'을 출범해 주민 51명이 위기가구를 빠르게 발견하고 관련 서비스를 연계하고 있다.
최호권 구청장은 "제보로는 부족하다. 주민의 위기를 세세히 살펴 실질적인 도움을 주겠다"며 "빨간우체통이 복지의 출발점이다. 사소한 신호도 놓치지 않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