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뉴스아이즈 2024 7대뉴스] 글로벌 ➄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해양 투기는 지구적 범죄"
  • 김광일 기자
  • 등록 2025-01-02 11:33:37
  • 수정 2025-01-02 22:12:05

기사수정

MBC 캡처


2011년 동일본 대지진과 쓰나미로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가 심각한 피해를 입으며 원자로가 녹아내렸다. 이후 사용된 물과 지하수, 빗물이 섞인 방사능 오염수가 지속적으로 발생했다. 


이를 저장하기 위해 설치된 탱크는 2023년 기준 약 1,000개에 달하며, 134만 톤 이상의 오염수가 저장됐다. 일본 정부와 도쿄전력(TEPCO)은 탱크 용량 포화 문제를 해결하고 원전 해체 작업을 지속하기 위해 다핵종제거설비(ALPS)로 처리된 물을 해양으로 방류하기로 결정했다.


2023년 8월 24일, 일본은 첫 방류를 시작했고 원전 폐기수 방류는 30년 넘게 진행될 예정이다. 일본 정부의 말에 따르면 방류된 물은 삼중수소를 제외한 대부분의 방사성 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삼중수소 농도는 일본 안전 기준의 40분의 1, 세계보건기구(WHO) 음용수 기준의 7분의 1 수준으로 희석된다고 하지만 삼중수소는 완전히 제거할 수 없는 특성상 여전히 환경과 인체에 미칠 장기적 영향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국제 사회와 지역 반응중국과 러시아의 강경한 반대


중국과 러시아는 일본의 방류 결정에 강력히 반발하며 "이기적이고 무책임한 행위"로 규정했다. 중국은 일본산 수산물 수입을 전면 금지하고 방사능 검사를 강화하는 등 경제적 제재를 가했다. 러시아 역시 일본산 수산물 수입을 제한하며 장기간 감시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MBC 캡처


한국 정부는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보고서를 존중하며 공식적으로 방류를 용인했지만, 국민들은 강하게 반대했다. 한국 내 여론조사에 따르면 국민의 약 80%가 오염수 방류에 우려를 표명했으며, 일부 시민단체와 정치권에서는 이를 '지구적 범죄'로 규정하며 비판했다.


마셜 제도와 사모아 등 태평양 도서국들은 일본의 결정이 해양 환경과 주민 건강에 중대한 위협을 가할 수 있다고 경고하며 대안 마련을 촉구했다. 이들은 유엔 해양법협약(UNCLOS)에 따른 환경영향평가와 독립적인 검토를 요구했으나 일본은 시행하지 않았다.


삼중수소는 장기간 축적될 경우 해양 생태계와 인간 건강을 위협한다. 해양 생물에 축적된 방사성 물질이 먹이사슬을 통해 인간에게 전달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환경단체들은 일본의 다핵종제거설비(ALPS)가 모든 방사성 물질을 완벽히 제거하지 못한다고 비판하며, 이를 '해양 투기는 지구적 범죄'라고 주장했다.


중국의 일본산 수산물 수입 금지는 일본 어업 및 식품 산업에 큰 타격을 줬다. 한국과 대만 등 일부 국가에서는 초기엔 수산물 소비가 감소했으나 이후 소비량이 늘면서 경제적 피해가 줄었다.


일본의 결정은 주변국들과의 외교 관계에도 영향을 미쳤다. 중국과 러시아는 일본과의 갈등이 심화됐으며, 한국 내에서도 한일 협력 강화 움직임에 대한 국민 반발이 커졌다. 이러한 상황은 동북아시아 지역 내 정치적 긴장을 더욱 고조시키고 있다.


일본 정부와 IAEA는 방류 과정과 결과를 지속적으로 공개하고, 과학적 데이터를 투명하게 공유해야 하지만, 일본은 데이터를 제대로 공개하지 않고 있다.


관련기사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이슈픽] 강선우 의원 '보좌관 갑질' 논란···야당 "사퇴해야" vs 여당 "충실히 소명"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보좌관 갑질' 논란의 중심에 섰다. 문제를 제기한 보좌진들은 "자택 쓰레기 분리수거, 변기 수리 등 사적 지시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5년간 46명이 의원실을 떠났다"며 이례적인 인사 교체가 갑질의 방증이라는 목소리도 높다."변기 수리·쓰레기 분리수거까지"…...
  2.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가족 집에 들어서면 대문 옆에 헛간이 서고처럼 서 있는데 처마 끝에 도서 대여목록 카드처럼 여섯 자루의 호미가 꽂혀 있다. 아버지 호미는 장시간 반납하지 않은 책처럼 한번 들고 나가면 며칠씩 밤새고 돌아온다. 산비탈을 다듬는지 자갈밭을 일구는지 듬성듬성 이가 빠져 자루만 조금 길면 삽에 가까운 호미, 그 옆에 어머니 호미는 가장 많...
  3.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바이킹 선장은 낡은 군복을 입고 담배를 문 채로그냥 대충 타면 된다고 했다두려운 게 없으면 함부로 대한다망해가는 유원지는 이제 될 대로 되라고배를 하늘 끝까지 밀어 올렸다모터 소리와 함께 턱이 산에 걸렸다쏠린 피가 뒤통수로 터져 나올 것 같았다원래는 저기 저쪽 해 좀 보라고 여유 있는 척좋아한다고 외치려 했는데으어어억 하는 사이 .
  4. [이슈픽] 국무회의 첫 생중계에 쏠린 시선···"투명성 강화" vs "긍적적 평가할 뻔" "국민이 정책 논의 과정을 볼 권리가 있다."2025년 7월 29일, 이재명 대통령이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국무회의 전 과정을 국민 앞에 생중계했다. 대통령의 모두발언만 공개되던 관행을 깨고, 1시간 20분 동안 주요 현안에 대한 장관들과의 실시간 토론까지 국민에게 여과 없이 공개했다.정치권의 엇갈린 반응: "투명성 강화" vs...
  5. [새책] 일과 자유, 삶의 품위를 묻는《나는 북경의 택배기사입니다》···현재를 희생하며 꿈꾸는 노동자들의 삶 택배기사, 물류센터 상하차, 패스트푸드 배달, 주유소 직원, 쇼핑몰 경비원, 온라인 쇼핑몰 창업 등 현장에서 일하며 인간의 품위와 자유를 고민한 한 청년의 기록이 있다. 고된 노동 속에서 마법 같은 순간을 발견하고 글쓰기를 하며 성장하는 이야기다. 월북에서 일하는 이들의 기쁨과 슬픔을 기록한 《나는 북경의 택배기사입니다》를 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