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사설] 체포영장이 집행돼야 '내란 선동'이 약화할 것이다
  • 손병걸 시인
  • 등록 2025-01-03 06:04:19
  • 수정 2025-01-03 08:33:57

기사수정

KTV 캡처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내란 우두머리 혐의로 발부받은 체포영장의 효력이 2025년 1월 6일까지다. 


공수처는 대통령경호처와 원활한 법 집행을 위해 협의를 시도했다. 경호처의 "합법적인 경호를 집행할 것"이라는 대응은 해석의 여지가 있으나 협조할 태도가 아닌 듯했다. 그래서인지 공수처도 "체포 영장 집행을 방해하면 '공무집행방해죄', 집단이나 무력 동원은 '특수공무집행방해죄'"라고 못박았다.

 

충돌이 불가피하게 보인다. 더구나 윤석열은 극우 지지자들에게 갑자기 '자신을 지켜달라'는 의미의 편지를 갑자기 전달했고 한남동 관저에는 극우 지지자들이 윤석열의 홍위병을 자처하며 인간방패막을 꾸렸다.

 

"안팎으로 주권을 찬탈하려는 반국가 세력과 끝까지 싸우겠다"던 담화문을 재활용했다는 반응들과 "과연 한 나라의 대통령이 벌인 행동이 맞냐?"는 자조 섞인 목소리와 '내란 선동'과 '헌법 수호 의지'가 없는 증거물이라는 법조계의 평가가 봇물 터지듯 쏟아졌다.

 

내란 한 달이 지났다. 수습은커녕 갈수록 사회가 어수선하다. '내란 불면증'이 확산 일로다. "그래! 친위쿠데타가 쉽게 제압당하겠는가?' 곳곳에 스민 내란동 세력을 제거하려면 시간이 필요할 것이다.

 

그럼에도 친위쿠데타로 벌어진 불확실성을 빠르게 회복해 나라의 안정을 찾는 길은 사법부에서 합법적으로 발부된 체포영장 집행을 서둘러 마치는 것이다. 그것이 국가 안정의 실마리이다. 그때부터가 가장 빠른 시작이다. 


어제(2일) 체포영장 집행을 방해하려는 극우 지지자들을 보면 절대 있어서는 안 될 불상사가 생길까 염려된다. 극우 유튜버들은 "오는 4일과 5일 극우 지지자들을 대거 모이게 하겠다"고 방송하고 있다. 모두 '내란 선동'이다.

 

물론 아무리 많은 극우 지지자가 모인들 법 집행이 막힐 리 없다. 다만, 큰 사고는 피해야 한다. 충분히 어지러운 현실이다. 더는 국가적 혼란을 키워서는 안 된다. 신속한 법 집행 마무리로 혼란을 최소화해야 한다. 


윤석열 측은 진즉 "불법 영장"”이라고 했다. 만인 앞에 평등한 법을 당당히 불응하겠다는 말이다. 엄연히 합법적으로 사법부가 발부한 영장을 당사자와 어느 집단이 거부하고 저항한다면 나라는 무법천지가 된다.

 

서둘러 법치 수호와 나라의 혼돈을 막아야 한다. 윤석열 측은 온갖 법 기술로 법을 무력화하려 한다. 한때 나라를 이끈 자가 나라의 안위를 내팽개치는 모습이 부끄럽다. 그래서 오늘(3일)이 대단히 중요하다. 체포영장 집행을 완벽하게 마무리해야 한다. 거기서부터 빠르게 국가는 안정을 찾아가야 한다.


관련기사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이슈픽] 강선우 의원 '보좌관 갑질' 논란···야당 "사퇴해야" vs 여당 "충실히 소명"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보좌관 갑질' 논란의 중심에 섰다. 문제를 제기한 보좌진들은 "자택 쓰레기 분리수거, 변기 수리 등 사적 지시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5년간 46명이 의원실을 떠났다"며 이례적인 인사 교체가 갑질의 방증이라는 목소리도 높다."변기 수리·쓰레기 분리수거까지"…...
  2. [이슈픽]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이언주의 허가제 vs 주진우의 신고제 외국인 부동산 투기가 이슈로 떠오르면서 여야 의원들이 잇따라 관련 법안을 발의했다. 특히 중국인의 국내 주택 소유 비율이 절반을 넘어서면서 규제 강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이언주·주진우 의원,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 경쟁 발의7월 9일 이언주 민주당 의원이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을 발의했다. 법안의 핵심은 ...
  3.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가족 집에 들어서면 대문 옆에 헛간이 서고처럼 서 있는데 처마 끝에 도서 대여목록 카드처럼 여섯 자루의 호미가 꽂혀 있다. 아버지 호미는 장시간 반납하지 않은 책처럼 한번 들고 나가면 며칠씩 밤새고 돌아온다. 산비탈을 다듬는지 자갈밭을 일구는지 듬성듬성 이가 빠져 자루만 조금 길면 삽에 가까운 호미, 그 옆에 어머니 호미는 가장 많...
  4.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바이킹 선장은 낡은 군복을 입고 담배를 문 채로그냥 대충 타면 된다고 했다두려운 게 없으면 함부로 대한다망해가는 유원지는 이제 될 대로 되라고배를 하늘 끝까지 밀어 올렸다모터 소리와 함께 턱이 산에 걸렸다쏠린 피가 뒤통수로 터져 나올 것 같았다원래는 저기 저쪽 해 좀 보라고 여유 있는 척좋아한다고 외치려 했는데으어어억 하는 사이 .
  5. [이슈픽] 국무회의 첫 생중계에 쏠린 시선···"투명성 강화" vs "긍적적 평가할 뻔" "국민이 정책 논의 과정을 볼 권리가 있다."2025년 7월 29일, 이재명 대통령이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국무회의 전 과정을 국민 앞에 생중계했다. 대통령의 모두발언만 공개되던 관행을 깨고, 1시간 20분 동안 주요 현안에 대한 장관들과의 실시간 토론까지 국민에게 여과 없이 공개했다.정치권의 엇갈린 반응: "투명성 강화" vs...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