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새책] 생존과 연대에 필수 '미덕' 《우리는 조금 더 다정해도 됩니다》
  • 정해든
  • 등록 2025-01-08 00:00:02

기사수정

김민섭 지음 / 어크로스 / 16,800원


왜 대학은 편법으로 강사를 해고하고, 사업장은 비정규직 노동자의 죽음에 무심하며, 청년들은 ‘MZ’라는 이름으로 묶여 비웃음을 사는 걸까? 이들을 어떻게 대해야 할까. 


어크로스에서 각자도생의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다정함'을 회복하게 해줄 《우리는 조금 더 다정해도 됩니다》를 펴냈다. 저자 김민섭은 다양한 정체성을 통해 겪은 경험과 성찰을 바탕으로, 무례한 세상을 변화할 선한 연결을 얘기한다. 나만 잘되면 되는 게 아니라 타인과 연대하며 함께 살아가는 방법을 제안한다.


김민섭은 대리기사, 서점 주인, 출판사 대표 등 다양한 정체성으로 살아가며 느낀 작은 기적들을 얘기한다. 


편법으로 강사를 해고하는 대학, MZ세대를 하나로 묶어 비난하는 기성세대, 비정규직 노동자의 죽음에 무감각한 사업장 등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사회적 문제들이 등장한다. 


김민섭의 시선은 차갑지 않다. 인간의 가치가 추락할수록 '다정함'이라는 능력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고 강조한다. 다정함은 미덕이 아니라 생존과 연대의 필수적인 지능이 될 것이라는 주장한다.


일상의 작은 행동들이 어떻게 큰 변화를 만들어내는지 보여주며 변화를 알려주려 한다. 세월호 참사를 추모하기 위해 반복했던 리본 모양 서명, 제주도 숙소를 타인에게 양보했던 일화, 그리고 '93년생 김민섭 씨 찾기 프로젝트' 같은 에피소드는 다정한 선택이 어떻게 세상을 바꿀 수 있는지를 생생히 증명한다.


김민섭(1983년생)은  《나는 지방대 시간강사다》 《대리사회》에서 사회적 문제를 조명하면서도 따듯한 위로를 전하고 있다. 책 제목처럼 대학 시간강사로 시작해 대리운전 기사, 서점 주인, 출판사 대표 등 다양한 직업생활을 한 경험을 바탕으로 각자도생의 시대에 필요한 연대와 다정함의 가치를 알리고 있다. 비영리 사단법인 '당신이 잘되면 좋겠습니다' 이사장으로 선한 영향력을 확산하는 데 힘쓰고 있다.

관련기사
TAG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이슈픽] 강선우 의원 '보좌관 갑질' 논란···야당 "사퇴해야" vs 여당 "충실히 소명"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보좌관 갑질' 논란의 중심에 섰다. 문제를 제기한 보좌진들은 "자택 쓰레기 분리수거, 변기 수리 등 사적 지시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5년간 46명이 의원실을 떠났다"며 이례적인 인사 교체가 갑질의 방증이라는 목소리도 높다."변기 수리·쓰레기 분리수거까지"…...
  2. [이슈픽]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이언주의 허가제 vs 주진우의 신고제 외국인 부동산 투기가 이슈로 떠오르면서 여야 의원들이 잇따라 관련 법안을 발의했다. 특히 중국인의 국내 주택 소유 비율이 절반을 넘어서면서 규제 강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이언주·주진우 의원,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 경쟁 발의7월 9일 이언주 민주당 의원이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을 발의했다. 법안의 핵심은 ...
  3.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가족 집에 들어서면 대문 옆에 헛간이 서고처럼 서 있는데 처마 끝에 도서 대여목록 카드처럼 여섯 자루의 호미가 꽂혀 있다. 아버지 호미는 장시간 반납하지 않은 책처럼 한번 들고 나가면 며칠씩 밤새고 돌아온다. 산비탈을 다듬는지 자갈밭을 일구는지 듬성듬성 이가 빠져 자루만 조금 길면 삽에 가까운 호미, 그 옆에 어머니 호미는 가장 많...
  4.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바이킹 선장은 낡은 군복을 입고 담배를 문 채로그냥 대충 타면 된다고 했다두려운 게 없으면 함부로 대한다망해가는 유원지는 이제 될 대로 되라고배를 하늘 끝까지 밀어 올렸다모터 소리와 함께 턱이 산에 걸렸다쏠린 피가 뒤통수로 터져 나올 것 같았다원래는 저기 저쪽 해 좀 보라고 여유 있는 척좋아한다고 외치려 했는데으어어억 하는 사이 .
  5. [이슈픽] 국무회의 첫 생중계에 쏠린 시선···"투명성 강화" vs "긍적적 평가할 뻔" "국민이 정책 논의 과정을 볼 권리가 있다."2025년 7월 29일, 이재명 대통령이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국무회의 전 과정을 국민 앞에 생중계했다. 대통령의 모두발언만 공개되던 관행을 깨고, 1시간 20분 동안 주요 현안에 대한 장관들과의 실시간 토론까지 국민에게 여과 없이 공개했다.정치권의 엇갈린 반응: "투명성 강화" vs...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