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2024년 수출 '100억 달러' K-뷰티···식약처, "올해 지원 더 하겠다"
  • 손병걸 기자
  • 등록 2025-01-06 09:14:24
  • 수정 2025-01-07 12:05:07

기사수정
  • - 전년 대비 20.6% 증가, 사상 최대 실적

 상위 10개 국가별 화장품 수출액 (단위: 백만 달러, %)

2024년 우리나라 화장품 수출액이 102억 달러를 기록하며 글로벌 K-뷰티 강세를 이어갔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이에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지원을 이어가기로 했다.


지난해보다 20.6% 증가한 수치로 2021년 최고치 92억 달러를 경신했다. 2012년 10억 달러를 넘어선 지 12년 만에 100억 달러를 돌파한 것이다.


한국의 국가별 수출액은 중국이 24.5%(25억 달러)로 1위지만 비중은 처음으로 20%대가 됐다. 미국 57%는 19억 달러로 증가폭이 가장 컸다. 일본에도 10억 달러가 넘었다. 아랍에미리트연합에 1억7,000만 달러를 수출하며 처음으로 10대 수출국에 들어섰다.

 

미국 시장에서는 기초화장품 수출이 66.8% 증가한 14억 달러를 기록하며 가장 큰 성장을 보였다. 인체세정용품 수출은 122.2% 급증한 9,000만 달러다.

 

식약처는 규제 외교와 맞춤형 정보 제공, 전문가 양성 등을 지원해 글로벌 K-뷰티를 더욱 알리기로 했다. 미국 시장 진출을 위해 자외선차단제의 OTC 인증 세미나와 웨비나를 진행하고, 맞춤형 1:1 컨설팅으로 기업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아시아 주요 수출국과는 규제 협력을 확대하고, '원아시아 화장품 규제 협력 포럼을 통해 소통을 강화할 계획이다.

 

업계도 호응한다. 1월 소비자 대상 할인행사와 기념 이벤트를 진행하고 2월엔 정부와 K-뷰티 수출 성과를 축하하는 기념식도 개최한다.

 

관련기사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이슈픽] 강선우 의원 '보좌관 갑질' 논란···야당 "사퇴해야" vs 여당 "충실히 소명"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보좌관 갑질' 논란의 중심에 섰다. 문제를 제기한 보좌진들은 "자택 쓰레기 분리수거, 변기 수리 등 사적 지시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5년간 46명이 의원실을 떠났다"며 이례적인 인사 교체가 갑질의 방증이라는 목소리도 높다."변기 수리·쓰레기 분리수거까지"…...
  2. [이슈픽]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이언주의 허가제 vs 주진우의 신고제 외국인 부동산 투기가 이슈로 떠오르면서 여야 의원들이 잇따라 관련 법안을 발의했다. 특히 중국인의 국내 주택 소유 비율이 절반을 넘어서면서 규제 강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이언주·주진우 의원,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 경쟁 발의7월 9일 이언주 민주당 의원이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을 발의했다. 법안의 핵심은 ...
  3.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가족 집에 들어서면 대문 옆에 헛간이 서고처럼 서 있는데 처마 끝에 도서 대여목록 카드처럼 여섯 자루의 호미가 꽂혀 있다. 아버지 호미는 장시간 반납하지 않은 책처럼 한번 들고 나가면 며칠씩 밤새고 돌아온다. 산비탈을 다듬는지 자갈밭을 일구는지 듬성듬성 이가 빠져 자루만 조금 길면 삽에 가까운 호미, 그 옆에 어머니 호미는 가장 많...
  4.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바이킹 선장은 낡은 군복을 입고 담배를 문 채로그냥 대충 타면 된다고 했다두려운 게 없으면 함부로 대한다망해가는 유원지는 이제 될 대로 되라고배를 하늘 끝까지 밀어 올렸다모터 소리와 함께 턱이 산에 걸렸다쏠린 피가 뒤통수로 터져 나올 것 같았다원래는 저기 저쪽 해 좀 보라고 여유 있는 척좋아한다고 외치려 했는데으어어억 하는 사이 .
  5. [이슈픽] 국무회의 첫 생중계에 쏠린 시선···"투명성 강화" vs "긍적적 평가할 뻔" "국민이 정책 논의 과정을 볼 권리가 있다."2025년 7월 29일, 이재명 대통령이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국무회의 전 과정을 국민 앞에 생중계했다. 대통령의 모두발언만 공개되던 관행을 깨고, 1시간 20분 동안 주요 현안에 대한 장관들과의 실시간 토론까지 국민에게 여과 없이 공개했다.정치권의 엇갈린 반응: "투명성 강화" vs...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