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네이버, 피드메이커 2기 모집···블로그 창작자 1,400명 선발
  • 김광일 기자
  • 등록 2025-03-05 11:44:23
  • 수정 2025-03-05 12:09:14

기사수정
  • - 블로그 창작자 모집 인원 2배 증가, 14개 카테고리로 활동 영역 확장


네이버가 블로그 창작자의 피드형 콘텐츠 제작을 지원하는 '피드메이커' 2기를 모집한다. 1기보다 선발 규모를 두 배로 늘렸고 지원 가능한 콘텐츠 카테고리도 확대했다.


지난해 1기 창작자들은 애드포스트 일평균 광고 수익이 30~40% 늘어 효과가 컸다. 이에 네이버는 더 많은 기회를 주고자 선발 인원도 콘텐츠 카테고리도 늘린 것이다.

 

1,400명을 모집하는데 지원자는 3월 17일까지 지원하면 된다. 카테고리는 ▲맛집·카페 ▲여행 ▲패션 ▲뷰티 ▲리빙 ▲푸드 ▲아웃도어 ▲엔터테인먼트 ▲자동차·테크 ▲스포츠 ▲건강·다이어트 ▲경제 ▲지식·교양 ▲펫이다.

 

선발되면 4월 7일~7월 27일 활동하며 매월 10건 이상의 블로그 콘텐츠를 제작해야 한다. 기획 부담을 줄이기 위해 시즌별 활동 미션 키워드를 제공하고 트렌드를 반영한 피드형 콘텐츠들 제작도 지원한다.

 

혜택도 늘었다. 월간 활동 기준을 충족하면 매월 10만 원의 네이버페이 포인트를 주고, '피드마스터 결산 어워즈'로 800만 원 상당이 제공된다. 


이밖에 '피드메이커스쿨에서 콘텐츠 제작법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피드메이커 뉴스레터'에서는 트렌드 정보도 제공된다.

 

네이버앱 이재후 부문장은 "피드메이커를 통해 창작자들이 감각적인 콘텐츠를 제작하며 홈피드가 트렌드를 반영하는 공간으로 진화하고 있다"며 "창작자의 개성과 전문성이 반영된 콘텐츠가 늘어나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이슈픽] 강선우 의원 '보좌관 갑질' 논란···야당 "사퇴해야" vs 여당 "충실히 소명"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보좌관 갑질' 논란의 중심에 섰다. 문제를 제기한 보좌진들은 "자택 쓰레기 분리수거, 변기 수리 등 사적 지시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5년간 46명이 의원실을 떠났다"며 이례적인 인사 교체가 갑질의 방증이라는 목소리도 높다."변기 수리·쓰레기 분리수거까지"…...
  2. [이슈픽]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이언주의 허가제 vs 주진우의 신고제 외국인 부동산 투기가 이슈로 떠오르면서 여야 의원들이 잇따라 관련 법안을 발의했다. 특히 중국인의 국내 주택 소유 비율이 절반을 넘어서면서 규제 강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이언주·주진우 의원,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 경쟁 발의7월 9일 이언주 민주당 의원이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을 발의했다. 법안의 핵심은 ...
  3.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가족 집에 들어서면 대문 옆에 헛간이 서고처럼 서 있는데 처마 끝에 도서 대여목록 카드처럼 여섯 자루의 호미가 꽂혀 있다. 아버지 호미는 장시간 반납하지 않은 책처럼 한번 들고 나가면 며칠씩 밤새고 돌아온다. 산비탈을 다듬는지 자갈밭을 일구는지 듬성듬성 이가 빠져 자루만 조금 길면 삽에 가까운 호미, 그 옆에 어머니 호미는 가장 많...
  4.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바이킹 선장은 낡은 군복을 입고 담배를 문 채로그냥 대충 타면 된다고 했다두려운 게 없으면 함부로 대한다망해가는 유원지는 이제 될 대로 되라고배를 하늘 끝까지 밀어 올렸다모터 소리와 함께 턱이 산에 걸렸다쏠린 피가 뒤통수로 터져 나올 것 같았다원래는 저기 저쪽 해 좀 보라고 여유 있는 척좋아한다고 외치려 했는데으어어억 하는 사이 .
  5. [이슈픽] 국무회의 첫 생중계에 쏠린 시선···"투명성 강화" vs "긍적적 평가할 뻔" "국민이 정책 논의 과정을 볼 권리가 있다."2025년 7월 29일, 이재명 대통령이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국무회의 전 과정을 국민 앞에 생중계했다. 대통령의 모두발언만 공개되던 관행을 깨고, 1시간 20분 동안 주요 현안에 대한 장관들과의 실시간 토론까지 국민에게 여과 없이 공개했다.정치권의 엇갈린 반응: "투명성 강화" vs...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