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유인촌, "사랑받는 컬링 되길 바라"···‘2025 엘지티 세계여자컬링선수권대회'서 우리 선수들 격려
  • 정해든
  • 등록 2025-03-16 15:20:52
  • 수정 2025-03-16 16:18:51

기사수정
  • - 3월 15~23일 의정부실내빙상장에서 개최…올림픽 출전권 8장 걸려


3월 15~23일 의정부실내빙상장에서 ‘2025 엘지티(LGT) 세계여자컬링선수권대회’가 열려 13개국(한국·노르웨이·덴마크·리투아니아·미국·스웨덴·스위스·스코틀랜드·이탈리아·일본·중국·캐나다·튀르키예) 선수 100여 명이 단체전 종목에서 실력을 겨룬다.


개막일에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이번 대회가 ‘2025 지자체 개최 국제경기대회 지원 사업’에 선정돼 문체부에서 운영비를 지원한다"며 "대한민국이 동계 스포츠 강국으로 도약하도록 꼼꼼히 챙기겠다. 컬링이 많은 사랑을 받길 바란다"고 밝혔다.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유 장관은 ‘2025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과 ‘2026 밀라노·코르티나 동계올림픽’도 점검했고, 동계종목단체 관계자 및 지도자들과 함께하는 ‘동계종목 협력회의’도 개최했다. 지난달 21일에는 ‘2025 국제빙상연맹(ISU) 사대륙 피겨스케이팅 대회’도 방문한 바 있다. 


이번 대회는 2009년 강릉 세계여자컬링선수권대회 이후 한국에서 두 번째로 열리는 대회이자, 2026 밀라노·코르티나 동계올림픽 출전권(개최국 이탈리아 포함 8개국)이 걸린 여자컬링 최고 권위 대회다.


‘2025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에서 18년 만에 아시안게임 정상을 탈환한 대한민국 여자컬링 대표팀(김은지, 김민지, 김수지, 설예은, 설예지 선수)이 출전해 큰 활약이 기대된다.

 

올해 ‘지자체 개최 국제경기대회 지원 사업’에는 11개 시도에서 22개 대회가 선정됐다.

관련기사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이슈픽] 강선우 의원 '보좌관 갑질' 논란···야당 "사퇴해야" vs 여당 "충실히 소명"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보좌관 갑질' 논란의 중심에 섰다. 문제를 제기한 보좌진들은 "자택 쓰레기 분리수거, 변기 수리 등 사적 지시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5년간 46명이 의원실을 떠났다"며 이례적인 인사 교체가 갑질의 방증이라는 목소리도 높다."변기 수리·쓰레기 분리수거까지"…...
  2. [이슈픽]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이언주의 허가제 vs 주진우의 신고제 외국인 부동산 투기가 이슈로 떠오르면서 여야 의원들이 잇따라 관련 법안을 발의했다. 특히 중국인의 국내 주택 소유 비율이 절반을 넘어서면서 규제 강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이언주·주진우 의원,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 경쟁 발의7월 9일 이언주 민주당 의원이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을 발의했다. 법안의 핵심은 ...
  3.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가족 집에 들어서면 대문 옆에 헛간이 서고처럼 서 있는데 처마 끝에 도서 대여목록 카드처럼 여섯 자루의 호미가 꽂혀 있다. 아버지 호미는 장시간 반납하지 않은 책처럼 한번 들고 나가면 며칠씩 밤새고 돌아온다. 산비탈을 다듬는지 자갈밭을 일구는지 듬성듬성 이가 빠져 자루만 조금 길면 삽에 가까운 호미, 그 옆에 어머니 호미는 가장 많...
  4.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바이킹 선장은 낡은 군복을 입고 담배를 문 채로그냥 대충 타면 된다고 했다두려운 게 없으면 함부로 대한다망해가는 유원지는 이제 될 대로 되라고배를 하늘 끝까지 밀어 올렸다모터 소리와 함께 턱이 산에 걸렸다쏠린 피가 뒤통수로 터져 나올 것 같았다원래는 저기 저쪽 해 좀 보라고 여유 있는 척좋아한다고 외치려 했는데으어어억 하는 사이 .
  5. [이슈픽] 국무회의 첫 생중계에 쏠린 시선···"투명성 강화" vs "긍적적 평가할 뻔" "국민이 정책 논의 과정을 볼 권리가 있다."2025년 7월 29일, 이재명 대통령이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국무회의 전 과정을 국민 앞에 생중계했다. 대통령의 모두발언만 공개되던 관행을 깨고, 1시간 20분 동안 주요 현안에 대한 장관들과의 실시간 토론까지 국민에게 여과 없이 공개했다.정치권의 엇갈린 반응: "투명성 강화" vs...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