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네이버 커넥트재단x정보통신산업진흥원, 미래 세대 위한 AI·SW 교육 '소프트웨어야 놀자' 운영
  • 김광일 기자
  • 등록 2025-03-18 10:05:17
  • 수정 2025-03-18 12:09:52

기사수정
  • - 전남·울산·경기 등 8개 지역서 초등학생 3만 명 대상

정수진 정보통신산업진흥원 본부장과 조규찬 네이버 커넥트재단 이사장네이버 커넥트재단이 초등학생 대상 AI·SW 교육 기회를 확대하고, 미래 AI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정보통신산업진흥원과 협력한다.


이를 위해 네이버 커넥트재단은 14일 정보통신산업진흥원과 지역 AI·SW 교육 확산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커넥트재단은 전국 초등학생 3만 명에게 '소프트웨어야 놀자' 프로그램을 운영할 강사 800명을 대상으로 AI 역량강화 연수를 진행한다.

 

재단은 2014년부터 해당 교육 캠페인을 운영하며 AI와 데이터과학,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다양한 콘텐츠와 가이드라인을 제공해 왔다.

 

이번 연수에는 강사들이 커리큘럼을 이해하고 원활하게 수업을 운영할 수 있도록, 2주간 온·오프라인 교육과 전문가 멘토링을 진행할 예정이다. 올해는 컴퓨터의 과학적 개념, 문제 해결력 함양 등 컴퓨팅 사고력과 AI 리터러시 역량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학년별 수준에 맞춰 3개 과정으로 구성됐다.

 

이번 협업으로 재단은 더 많은 지역에서 AI 교육의 접근성을 높이게 됐다. 1학기에는 전남·울산·경기에서, 2학기에는 5개 지역에서 연수를 진행한다. 연수를 이수한 강사는 4~12월 수료 지역 내 초등학교에서 수업을 운영하게 된다.

 

네이버 커넥트재단의 김지각 리더는 "지난해까지 9만6,000여 명의 학생과 교사, 강사가 '소프트웨어야 놀자'를 통해 디지털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지원했다. 누구나 미래 기술에 대한 지식을 갖출 수 있도록 기여해 왔다"며 "AI 교육이 중요해진 만큼 지역별 교육 격차를 해소하는 데 지원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이슈픽] 강선우 의원 '보좌관 갑질' 논란···야당 "사퇴해야" vs 여당 "충실히 소명"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보좌관 갑질' 논란의 중심에 섰다. 문제를 제기한 보좌진들은 "자택 쓰레기 분리수거, 변기 수리 등 사적 지시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5년간 46명이 의원실을 떠났다"며 이례적인 인사 교체가 갑질의 방증이라는 목소리도 높다."변기 수리·쓰레기 분리수거까지"…...
  2. [이슈픽]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이언주의 허가제 vs 주진우의 신고제 외국인 부동산 투기가 이슈로 떠오르면서 여야 의원들이 잇따라 관련 법안을 발의했다. 특히 중국인의 국내 주택 소유 비율이 절반을 넘어서면서 규제 강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이언주·주진우 의원,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 경쟁 발의7월 9일 이언주 민주당 의원이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을 발의했다. 법안의 핵심은 ...
  3.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가족 집에 들어서면 대문 옆에 헛간이 서고처럼 서 있는데 처마 끝에 도서 대여목록 카드처럼 여섯 자루의 호미가 꽂혀 있다. 아버지 호미는 장시간 반납하지 않은 책처럼 한번 들고 나가면 며칠씩 밤새고 돌아온다. 산비탈을 다듬는지 자갈밭을 일구는지 듬성듬성 이가 빠져 자루만 조금 길면 삽에 가까운 호미, 그 옆에 어머니 호미는 가장 많...
  4.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바이킹 선장은 낡은 군복을 입고 담배를 문 채로그냥 대충 타면 된다고 했다두려운 게 없으면 함부로 대한다망해가는 유원지는 이제 될 대로 되라고배를 하늘 끝까지 밀어 올렸다모터 소리와 함께 턱이 산에 걸렸다쏠린 피가 뒤통수로 터져 나올 것 같았다원래는 저기 저쪽 해 좀 보라고 여유 있는 척좋아한다고 외치려 했는데으어어억 하는 사이 .
  5. [이슈픽] 국무회의 첫 생중계에 쏠린 시선···"투명성 강화" vs "긍적적 평가할 뻔" "국민이 정책 논의 과정을 볼 권리가 있다."2025년 7월 29일, 이재명 대통령이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국무회의 전 과정을 국민 앞에 생중계했다. 대통령의 모두발언만 공개되던 관행을 깨고, 1시간 20분 동안 주요 현안에 대한 장관들과의 실시간 토론까지 국민에게 여과 없이 공개했다.정치권의 엇갈린 반응: "투명성 강화" vs...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