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새책] 강하나 전 애널리스트의《진짜 하루만에 이해하는 제약·바이오 산업》
  • 김광일 기자
  • 등록 2024-10-25 23:28:56
  • 수정 2025-01-31 08:17:51

기사수정

강하나 지음 | 티더블유아이지 | 24,800원 

"제약·바이오기업은 어떻게 투자해야 해?" "제약·바이오기업에 지원하려면 뭘 알아야 하는 거지?"


많은 산업이 있고 많은 뉴스가 있지만 제약·바이오산업만큼 어려운 분야도 없다. 용어들이 어려워서다. 


산업을 이해하려고 뉴스, 애널리스트 리포트, 전공서적 등을 찾아보며 공부해도 이내 GLP-1, mRNA, 리간드, ADC, 바이오시밀러, CDMO, 키트루다, PD-1, CAR-T, 면역관문, EGFR, 마일스톤, ORR 같은 용어에 압도당하고 만다. 기술 용어와 의약품의 이름을 구분하는 것조차 버겁다.


티더블유아이지에서《진짜 하루만에 이해하는 제약·바이오 산업》을 펴냈다. 제약·바이오산업의 큰 그림과 핵심 개념을 이해하도록 다양한 예시와 풍부한 일러스트를 활용해 쉽게 풀어냈다.


저자 강하나는 "큰 그림부터 이해해야 한다. 숲을 알지 못한 채 나무만 봐서는 답이 없다"며 "세계 지도를 보면 나라별 관계와 구조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고 한다. 이 책을 읽고 나면 제약·바이오 관련 뉴스와 애널리스트 리포트에서 다루는 내용을 전부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


진짜 하루 만에 제약·바이오산업을 이해할 수 있도록 기획했다. 비전공자도 산업의 큰 그림과 핵심 개념을 이해하도록 설명한다.  


산업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 지식, 주요 질병과 치료제의 작동 원리, 합성의약품과 바이오의약품, 신약의 개발·생산·판매, 산업의 트렌드와 분야별 대표 기업을 재미있게 풀었다.


정책가에게는 정책 방향의 나침반으로, 사업가와 투자가에게는 기회와 리스크를 들여다보는 현미경으로, 취준생에게는 진로 탐색 내비게이션 역할을 기대해도 좋다.


강하나는 미국 미네소타대에서 생물학 전공하고 서울대 의대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LS증권(구 이베스트투자증권)에서 제약·바이오 애널리스트로 근무했고 현재는 서울대 의과학과에서 박사과정을 밟고 있다. 


유튜브 채널〈Oneriver 원리버 강하나〉에선 쉽고 재미있는 제약·바이오 투자 콘텐츠를 만들고 있다.


TAG
1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이슈픽] 강선우 의원 '보좌관 갑질' 논란···야당 "사퇴해야" vs 여당 "충실히 소명"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보좌관 갑질' 논란의 중심에 섰다. 문제를 제기한 보좌진들은 "자택 쓰레기 분리수거, 변기 수리 등 사적 지시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5년간 46명이 의원실을 떠났다"며 이례적인 인사 교체가 갑질의 방증이라는 목소리도 높다."변기 수리·쓰레기 분리수거까지"…...
  2. [이슈픽]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이언주의 허가제 vs 주진우의 신고제 외국인 부동산 투기가 이슈로 떠오르면서 여야 의원들이 잇따라 관련 법안을 발의했다. 특히 중국인의 국내 주택 소유 비율이 절반을 넘어서면서 규제 강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이언주·주진우 의원,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 경쟁 발의7월 9일 이언주 민주당 의원이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을 발의했다. 법안의 핵심은 ...
  3.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가족 집에 들어서면 대문 옆에 헛간이 서고처럼 서 있는데 처마 끝에 도서 대여목록 카드처럼 여섯 자루의 호미가 꽂혀 있다. 아버지 호미는 장시간 반납하지 않은 책처럼 한번 들고 나가면 며칠씩 밤새고 돌아온다. 산비탈을 다듬는지 자갈밭을 일구는지 듬성듬성 이가 빠져 자루만 조금 길면 삽에 가까운 호미, 그 옆에 어머니 호미는 가장 많...
  4.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바이킹 선장은 낡은 군복을 입고 담배를 문 채로그냥 대충 타면 된다고 했다두려운 게 없으면 함부로 대한다망해가는 유원지는 이제 될 대로 되라고배를 하늘 끝까지 밀어 올렸다모터 소리와 함께 턱이 산에 걸렸다쏠린 피가 뒤통수로 터져 나올 것 같았다원래는 저기 저쪽 해 좀 보라고 여유 있는 척좋아한다고 외치려 했는데으어어억 하는 사이 .
  5. [이슈픽] 국무회의 첫 생중계에 쏠린 시선···"투명성 강화" vs "긍적적 평가할 뻔" "국민이 정책 논의 과정을 볼 권리가 있다."2025년 7월 29일, 이재명 대통령이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국무회의 전 과정을 국민 앞에 생중계했다. 대통령의 모두발언만 공개되던 관행을 깨고, 1시간 20분 동안 주요 현안에 대한 장관들과의 실시간 토론까지 국민에게 여과 없이 공개했다.정치권의 엇갈린 반응: "투명성 강화" vs...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