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새책] 두 번째 '6411의 목소리'《당신의 퇴근은 언제입니까》···노회찬의 퇴근하지 못한 말들
  • 정해든 기자
  • 등록 2025-07-18 15:26:11
  • 수정 2025-07-18 15:27:31

기사수정
  • - 전작 《나는 얼마짜리입니까》의 성과 잇는다
  • - '모두의 퇴근'을 묻다…다시 듣는 노회찬의 목소리

6411의 목소리 지음 / 노회찬재단 기획 / 창비 / 20,000원

"청소할 땐 청소해야지, 청소하는 게 먼지에 대한 보복이라고 얘기하면 됩니까?"(적폐청산) "모기들이 반대한다고 에프킬라 안 삽니까?"(사법개혁) "돈 봉투도 국민에게 뿌리면 안됩니까?"(복지) "평양올림픽으로 변질됐다 그러면 평양냉면도 문제삼아야죠."(평화)


창비에서 노회찬의 질문을 담은《당신의 퇴근은 언제입니까》를 펴냈다. '6411의 목소리' 프로젝트의 두 번째 책으로 전작 《나는 얼마짜리입니까》의 성과를 잇는다.


노회찬은 서울 노원과 경남 창원시 성산구 등지에서 국회의원을 3번한 진보정당계 대표 정치인이었다. 그의 말들은 진보정당 이미지를 강렬함에서 위트로 바꾸기에 차고 넘쳤다.


이 책은 노회찬의 명연설 "6411번 버스를 아십니까?"에서 영감을 받아 우리 사회를 뒷받침하는 이름 없는 노동자들 이야기와 현장을 담았다.


책은 4부로 구성된다. 1부 '증언하고 기록하다'는 가습기 피해 유가족, 팔레스타인 난민, 제주 해녀, 시각장애인 안마사 등 다양한 직업과 사연을 증언으로 기록한다. 각자는 "삶의 무게를 견디며, 자신의 이야기를 세상에 남기고자 했다"고 밝힌다. 


2부 '견디고 움직이다'는 세탁소 운영자, IT개발자, 연예인 매니저, 환경미화원 등 사회적 보호망의 사각지대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의 일상과 버팀을 그린다. "눈에 보이지 않는 곳에서, 묵묵히 오늘을 살아갈 수밖에 없었다"는 고백이 이어진다.


3부 '맞서고 고발하다'에서는 셔틀버스 기사, 간호사, 난민 출신 기자, 인권활동가, 홈리스 상담가 등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의 목소리가 등장한다. 이들은 "불합리한 구조와 싸우는 작은 외침이 세상을 변화시킨다"는 믿음으로 현실과 마주한다. 


4부 '연결하고 돌보다'는 대안학교 교사, 사회복지사, 협동조합 활동가 등 연대와 돌봄의 현장을 담담하게 기록한다. 홀로가 아닌 공동체의 삶, 함께 사는 오늘을 향해 '같은 광장에서 만나는 삶'을 상상하게 만든다.


모든 글에는 '다시 듣는 노회찬의 목소리' 코너가 있어 "차별 없는 존엄과 약자를 향한 정치는 끝끝내 포기하지 않겠다"는 '6411 정신'을 전한다. 


김진숙 민주노총 지도위원은 "우리를 민주주의라는 버스에 태우지 않았던 사회에 맞서 이제 우리가 직접 그 버스를 몰아야 하는 사회적 책임을 묻는다"고 사회적 책임을 환기한다. 황인찬 시인은 "나는 당신을 모른다. 그러나 그 사실을 아는 데서 연대가 시작된다"고 강조한다. 각자의 목소리는 '함께 살아가는 길'을 향한 묵직한 질문이다.


이 책은 구체적이고 진실한 노동 서사의 집합이다. 숫자와 통계로만 읽을 수 없는 현장과 개인의 고유한 이야기는 누구에게나 닿을 수 있는 공감과 연대를 만든다. 장항준 영화감독은 '6411 투명인간들'의 목소리를 함께 듣는 새로운 낭만주의 시대'를 언급하며 이 책이 사회를 향한 디딤돌이 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모두의 퇴근'을 묻는 질문에서 시작해 서로의 삶과 내일을 비추는 기록은 고단함을 넘어 연대의 따듯함으로 이어진다. 타인의 삶을 비추는 질문 하나가 우리 사회의 풍경을 바꿀 수 있다.

관련기사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이슈픽] 강선우 의원 '보좌관 갑질' 논란···야당 "사퇴해야" vs 여당 "충실히 소명"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보좌관 갑질' 논란의 중심에 섰다. 문제를 제기한 보좌진들은 "자택 쓰레기 분리수거, 변기 수리 등 사적 지시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5년간 46명이 의원실을 떠났다"며 이례적인 인사 교체가 갑질의 방증이라는 목소리도 높다."변기 수리·쓰레기 분리수거까지"…...
  2. [이슈픽]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이언주의 허가제 vs 주진우의 신고제 외국인 부동산 투기가 이슈로 떠오르면서 여야 의원들이 잇따라 관련 법안을 발의했다. 특히 중국인의 국내 주택 소유 비율이 절반을 넘어서면서 규제 강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이언주·주진우 의원,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 경쟁 발의7월 9일 이언주 민주당 의원이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을 발의했다. 법안의 핵심은 ...
  3.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가족 집에 들어서면 대문 옆에 헛간이 서고처럼 서 있는데 처마 끝에 도서 대여목록 카드처럼 여섯 자루의 호미가 꽂혀 있다. 아버지 호미는 장시간 반납하지 않은 책처럼 한번 들고 나가면 며칠씩 밤새고 돌아온다. 산비탈을 다듬는지 자갈밭을 일구는지 듬성듬성 이가 빠져 자루만 조금 길면 삽에 가까운 호미, 그 옆에 어머니 호미는 가장 많...
  4.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바이킹 선장은 낡은 군복을 입고 담배를 문 채로그냥 대충 타면 된다고 했다두려운 게 없으면 함부로 대한다망해가는 유원지는 이제 될 대로 되라고배를 하늘 끝까지 밀어 올렸다모터 소리와 함께 턱이 산에 걸렸다쏠린 피가 뒤통수로 터져 나올 것 같았다원래는 저기 저쪽 해 좀 보라고 여유 있는 척좋아한다고 외치려 했는데으어어억 하는 사이 .
  5. [이슈픽] 국무회의 첫 생중계에 쏠린 시선···"투명성 강화" vs "긍적적 평가할 뻔" "국민이 정책 논의 과정을 볼 권리가 있다."2025년 7월 29일, 이재명 대통령이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국무회의 전 과정을 국민 앞에 생중계했다. 대통령의 모두발언만 공개되던 관행을 깨고, 1시간 20분 동안 주요 현안에 대한 장관들과의 실시간 토론까지 국민에게 여과 없이 공개했다.정치권의 엇갈린 반응: "투명성 강화" vs...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