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예술과 노동 잇는 '시인 최종천 추모제'···'기계는 짧고 인생은 영원한 삶, 71년'
  • 이상실 기자
  • 등록 2025-07-23 12:36:28

기사수정
  • - 노동을 시로 품었던 최종천 시인을 추모하다

인천 남동스카이장례문화원 영결식장에서 열린 시인 최종천 추모문화제

노동자로서의 삶을 철학적 사유를 동반한 시(詩)로 품었던 최종천 시인이 18일 생을 마감했다. 향년 71세.

 

'시인 최종천 추모문화제'가 19일 빈소가 마련된 인천 남동스카이장례문화원 영결식장에서 열렸다. 유족, 작가들, 지인들이 참석해 고인을 기렸다.


이상실 소설가 사회로 진행된 추모문화제는 김안녕 시인이 '최종천 시인 약력'을 소개하며 시작됐다. 이어 박상률 시인과 정우영 시인이 '추모사'를, 유성호 문학평론가가 '최종천의 시 세계'를 소개했다.

 

유성호 문학평론가는 "노동시의 새로운 의미와 형식을 구축하고 확장해 온 대표적 시인"이라며 "문학을 공적 영역으로 확산하면서 사회적 상상력과 미학적 감성을 동시에 증폭한 점은 문학사적 평가를 받아 마땅하다"고 밝혔다.

 

고인의 육성이 담긴 '추모 영상' 상영과 시인들의 최종천 시인의 대표시 낭송도 이어졌다. 고은진주 시인이 '골목이 골목을 물고'를, 이지아 시인이 '쉬고 있는 자전거'를, 곽현숙 아벨서점 대표가 '송림동 91의 87·2'를, 김선향 시인이 '넙친가?'를 낭송했다. 

 

'추모시'로 임성용 시인이 '달의 무덤'을, 김응교 시인이 '재미없고 힘들 때'와 '신보다 위대한 인간'을 낭송했고, '가족 대표 인사'를 끝으로 문화제가 마무리됐다. 


최종천 시인은 1954년 전남 장성에서 태어났다. 1986년 《세계의 문학》에 작품을 발표하며 활동을 시작해 2002년 20회 신동엽문학상, 2012년 5회 오장환문학상을 받았다. 시집으로는《눈물은 푸르다》《나의 밥그릇이 빛난다》《고양이의 마술》《인생은 짧고 기계는 영원하다》《그리운 네안데르탈인》《골목이 골목을 물고》《용접의 시》를, 산문집으로는《노동과 예술》《창세기의 진화론》를 냈다.

관련기사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이슈픽] 강선우 의원 '보좌관 갑질' 논란···야당 "사퇴해야" vs 여당 "충실히 소명"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보좌관 갑질' 논란의 중심에 섰다. 문제를 제기한 보좌진들은 "자택 쓰레기 분리수거, 변기 수리 등 사적 지시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5년간 46명이 의원실을 떠났다"며 이례적인 인사 교체가 갑질의 방증이라는 목소리도 높다."변기 수리·쓰레기 분리수거까지"…...
  2. [이슈픽]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이언주의 허가제 vs 주진우의 신고제 외국인 부동산 투기가 이슈로 떠오르면서 여야 의원들이 잇따라 관련 법안을 발의했다. 특히 중국인의 국내 주택 소유 비율이 절반을 넘어서면서 규제 강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이언주·주진우 의원,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 경쟁 발의7월 9일 이언주 민주당 의원이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을 발의했다. 법안의 핵심은 ...
  3.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가족 집에 들어서면 대문 옆에 헛간이 서고처럼 서 있는데 처마 끝에 도서 대여목록 카드처럼 여섯 자루의 호미가 꽂혀 있다. 아버지 호미는 장시간 반납하지 않은 책처럼 한번 들고 나가면 며칠씩 밤새고 돌아온다. 산비탈을 다듬는지 자갈밭을 일구는지 듬성듬성 이가 빠져 자루만 조금 길면 삽에 가까운 호미, 그 옆에 어머니 호미는 가장 많...
  4.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바이킹 선장은 낡은 군복을 입고 담배를 문 채로그냥 대충 타면 된다고 했다두려운 게 없으면 함부로 대한다망해가는 유원지는 이제 될 대로 되라고배를 하늘 끝까지 밀어 올렸다모터 소리와 함께 턱이 산에 걸렸다쏠린 피가 뒤통수로 터져 나올 것 같았다원래는 저기 저쪽 해 좀 보라고 여유 있는 척좋아한다고 외치려 했는데으어어억 하는 사이 .
  5. [이슈픽] 국무회의 첫 생중계에 쏠린 시선···"투명성 강화" vs "긍적적 평가할 뻔" "국민이 정책 논의 과정을 볼 권리가 있다."2025년 7월 29일, 이재명 대통령이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국무회의 전 과정을 국민 앞에 생중계했다. 대통령의 모두발언만 공개되던 관행을 깨고, 1시간 20분 동안 주요 현안에 대한 장관들과의 실시간 토론까지 국민에게 여과 없이 공개했다.정치권의 엇갈린 반응: "투명성 강화" vs...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