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새책] 슈퍼《트럼프 2.0 시대 》가 온다···새로운 무역질서 속 한국의 미래는?
  • 김광일 기자
  • 등록 2024-11-11 06:00:01

기사수정

박종훈 지음 / 글로퍼스 / 20,000원


슈퍼 트럼프 시대가 온다. 미국 대선을 앞두고 '초접전', '역대급 박빙'을 점친 여론조사 기관들의 예측이 무색하게 트럼프 전 대통령이 압승했다. 트럼프의 재선은 글로벌 경제와 외교 질서 전반에 영향을 미칠 초대형 사건이다. 그의 재집권은 어떤 파장을 미칠까. 우리에겐 위기인가 기회인가?


글로퍼스에서《트럼프 2.0 시대 》를 펴냈다. 트럼프의 당선으로 당장 대한민국의 배터리와 전기차, 반도체 산업 전반에 엄청난 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보인다. 안보 문제와 국방비 지출, 재정 적자 및 군수 산업의 미래도 마찬가지다.


트럼프의 강경한 정책들이 우리에게 부정적일수록 정확하게 분석하고 그에 맞는 대비를 해야 한다. 이 책은 트럼프가 펼칠 정책에 주목했다. 지난번보다 강력해질 트럼프 2.0 시대를 정확히 파악하고 대한민국이 재도약 할 비전을 제시한다.


저자 박종훈은 새롭게 펼쳐질 트럼프 정부를 '슈퍼 트럼프의 시대'라고 말한다. 이제 글로벌 무역 질서가 흔들리고 치열한 미중 패권전쟁이 도래할 것으로 본다.


27년간 국내외 경제 이슈와 경제사의 현장 속에서 함께 뛰어온 저자는 "세계적으로 무력 충돌이 격화될 수 있다"며 "유럽이나 중국만이 아니라 대한민국의 미래에도 아주 가깝게 맞닿아 있다"고 말한다. 


최악의 에너지 대란을 겪고 있고, 국가 채무는 사상 최대치에 달한 대한민국은 트럼프 정부의 휘몰아치는 정책 속에서 재도약의 길을 모색해야 한다.


'트럼프 2.0 시대', 저자는 한국이 이를 기회로 바꿀 돌파구를 제시한다. 산업별로는 예측되는 시나리오와 대응책을 상세히 다룬다. 새로운 무역 질서 속에서 우리가 장기적으로 취할 수 있는 전략과 준비가 무엇인지, 생존을 넘어 성장을 위한 길을 탐색한다.

관련기사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이슈픽] 강선우 의원 '보좌관 갑질' 논란···야당 "사퇴해야" vs 여당 "충실히 소명"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보좌관 갑질' 논란의 중심에 섰다. 문제를 제기한 보좌진들은 "자택 쓰레기 분리수거, 변기 수리 등 사적 지시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5년간 46명이 의원실을 떠났다"며 이례적인 인사 교체가 갑질의 방증이라는 목소리도 높다."변기 수리·쓰레기 분리수거까지"…...
  2. [이슈픽]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이언주의 허가제 vs 주진우의 신고제 외국인 부동산 투기가 이슈로 떠오르면서 여야 의원들이 잇따라 관련 법안을 발의했다. 특히 중국인의 국내 주택 소유 비율이 절반을 넘어서면서 규제 강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이언주·주진우 의원,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 경쟁 발의7월 9일 이언주 민주당 의원이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을 발의했다. 법안의 핵심은 ...
  3.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가족 집에 들어서면 대문 옆에 헛간이 서고처럼 서 있는데 처마 끝에 도서 대여목록 카드처럼 여섯 자루의 호미가 꽂혀 있다. 아버지 호미는 장시간 반납하지 않은 책처럼 한번 들고 나가면 며칠씩 밤새고 돌아온다. 산비탈을 다듬는지 자갈밭을 일구는지 듬성듬성 이가 빠져 자루만 조금 길면 삽에 가까운 호미, 그 옆에 어머니 호미는 가장 많...
  4.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바이킹 선장은 낡은 군복을 입고 담배를 문 채로그냥 대충 타면 된다고 했다두려운 게 없으면 함부로 대한다망해가는 유원지는 이제 될 대로 되라고배를 하늘 끝까지 밀어 올렸다모터 소리와 함께 턱이 산에 걸렸다쏠린 피가 뒤통수로 터져 나올 것 같았다원래는 저기 저쪽 해 좀 보라고 여유 있는 척좋아한다고 외치려 했는데으어어억 하는 사이 .
  5. [이슈픽] 국무회의 첫 생중계에 쏠린 시선···"투명성 강화" vs "긍적적 평가할 뻔" "국민이 정책 논의 과정을 볼 권리가 있다."2025년 7월 29일, 이재명 대통령이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국무회의 전 과정을 국민 앞에 생중계했다. 대통령의 모두발언만 공개되던 관행을 깨고, 1시간 20분 동안 주요 현안에 대한 장관들과의 실시간 토론까지 국민에게 여과 없이 공개했다.정치권의 엇갈린 반응: "투명성 강화" vs...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