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새책] '어휘 차이가 인생 차이'《한 끗 어휘력》
  • 김광일 기자
  • 등록 2024-12-10 00:00:07

기사수정

박선주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18,000원



한국어를 '할 수 있는 것'과 '잘하는 것'은 다르다. 아는 어휘만큼 세상을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어휘력은 곧 삶의 깊이와 직결된다.


매일경제신문사에서 《한 끗 어휘력》을 펴냈다. 혼동하기 쉬운 어휘 100개를 엄선해 정확한 의미와 쓰임을 설명한다. 단순한 어휘 해설을 넘어 현대인의 문해력 향상을 위한 실질적인 가이드를 제시한다.

저자는 "아는 어휘만큼 생각을 표현할 수 있고, 생각을 이해할 수 있다"며 "상황과 맥락에 맞는 어휘 선택이 문해력의 핵심"이라고 강조한다. 한국어를 '잘하기' 위해서는 상황에 맞는 어휘 선택, 정확한 문법, 논리적 일관성이 필수적이라고 설명한다.


책은 '오해의 영역', '상식의 영역', '교양의 영역'으로 구성됐다. '갑절과 곱절', '일절과 일체', '저희와 우리', '잇달다와 잇따르다', '다르다와 틀리다' 등 말소리는 비슷하지만 뜻과 쓰임이 달라 혼동하기 쉬운 단어들의 미묘한 차이를 짚어준다.


단순한 어휘 사전이 아닌,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을 예방하고 해결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잘못된 어휘 사용으로 오해를 피하고, 교양 있는 언어생활을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저자 박선주는 "어휘의 정확한 뜻과 쓰임을 알고 문맥에 맞게 쓰는 것이 글을 읽고 이해하는 능력인 문해력을 결정짓는다"며 "작지만 결정적인 한 끗 차이를 아는 것이 단단한 언어생활의 시작"이라고 설명했다.

이 책은 정확한 어휘가 생각나지 않아 '그거'라고 말하는 사람, 생각이나 감정을 적절하게 표현하기 힘든 사람, 상대방과 자주 오해가 발생하는 사람들에게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현대 사회에서 점점 더 중요해지는 문해력 향상을 위한 실용적인 지침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관련기사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이슈픽] 강선우 의원 '보좌관 갑질' 논란···야당 "사퇴해야" vs 여당 "충실히 소명"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보좌관 갑질' 논란의 중심에 섰다. 문제를 제기한 보좌진들은 "자택 쓰레기 분리수거, 변기 수리 등 사적 지시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5년간 46명이 의원실을 떠났다"며 이례적인 인사 교체가 갑질의 방증이라는 목소리도 높다."변기 수리·쓰레기 분리수거까지"…...
  2.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가족 집에 들어서면 대문 옆에 헛간이 서고처럼 서 있는데 처마 끝에 도서 대여목록 카드처럼 여섯 자루의 호미가 꽂혀 있다. 아버지 호미는 장시간 반납하지 않은 책처럼 한번 들고 나가면 며칠씩 밤새고 돌아온다. 산비탈을 다듬는지 자갈밭을 일구는지 듬성듬성 이가 빠져 자루만 조금 길면 삽에 가까운 호미, 그 옆에 어머니 호미는 가장 많...
  3.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바이킹 선장은 낡은 군복을 입고 담배를 문 채로그냥 대충 타면 된다고 했다두려운 게 없으면 함부로 대한다망해가는 유원지는 이제 될 대로 되라고배를 하늘 끝까지 밀어 올렸다모터 소리와 함께 턱이 산에 걸렸다쏠린 피가 뒤통수로 터져 나올 것 같았다원래는 저기 저쪽 해 좀 보라고 여유 있는 척좋아한다고 외치려 했는데으어어억 하는 사이 .
  4. [이슈픽] 국무회의 첫 생중계에 쏠린 시선···"투명성 강화" vs "긍적적 평가할 뻔" "국민이 정책 논의 과정을 볼 권리가 있다."2025년 7월 29일, 이재명 대통령이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국무회의 전 과정을 국민 앞에 생중계했다. 대통령의 모두발언만 공개되던 관행을 깨고, 1시간 20분 동안 주요 현안에 대한 장관들과의 실시간 토론까지 국민에게 여과 없이 공개했다.정치권의 엇갈린 반응: "투명성 강화" vs...
  5. [새책] 일과 자유, 삶의 품위를 묻는《나는 북경의 택배기사입니다》···현재를 희생하며 꿈꾸는 노동자들의 삶 택배기사, 물류센터 상하차, 패스트푸드 배달, 주유소 직원, 쇼핑몰 경비원, 온라인 쇼핑몰 창업 등 현장에서 일하며 인간의 품위와 자유를 고민한 한 청년의 기록이 있다. 고된 노동 속에서 마법 같은 순간을 발견하고 글쓰기를 하며 성장하는 이야기다. 월북에서 일하는 이들의 기쁨과 슬픔을 기록한 《나는 북경의 택배기사입니다》를 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