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뉴스아이즈 2024 7대뉴스] 문화 ①한강의 노벨문학상 "모든 폭력에 반대"
  • 정해든
  • 등록 2024-12-30 21:58:32

기사수정

MBC 캡처

2024년 10월 10일, 한국 문학이 세계 문학사에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다. 소설가 한강이 한국인 최초로 노벨문학상을 받으며 전 세계 문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스웨덴 한림원은 "한강 작가는 인간의 고통과 자연의 아름다움을 섬세하고 강렬하게 묘사하며 독자들에게 깊은 울림을 준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이번 수상은 한국 문학이 세계 문학의 중심으로 부상하는 계기가 되었다.


한강의 작품 세계: 인간과 자연, 고통의 서사


한강은 대표작 채식주의자로 2016년 맨부커 국제상을 받으며 국제적 명성을 얻었다. 이후 《소년이 온다》 《흰》 등을 통해 전쟁과 폭력, 인간 존재의 본질을 탐구하며 독창적인 문학 세계를 구축했다. 그의 작품은 동양적 미학과 서구적 서사 기법을 결합해 전 세계 독자들에게 신선한 충격을 주었다.


노벨문학상 수상작 《소년이 온다》는 1980년 광주민주화운동을 배경으로 집단적 고통과 희생이 담겨 있다. 인간성 회복에 대한 메시지에 스웨덴 한림원은 "한강의 작품은 역사적 비극을 통해 인간의 존엄성과 연대를 탐구한다"고 평가했다.


한국 문학의 도약과 세계적 위상


한강의 수상은 한국 문학이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계기가 되었다. 한국 문학은 번역과 해외 출판의 한계로 국제 무대에서 주목받지 못했는데 이번에 그 위상이 크게 높아졌다. 전문가들은 "한강 작가의 수상이 한국 문학 전반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질 것"이라며 후속 작가들의 활약을 기대하고 있다.


한국 문학계에도 활력을 불어넣었다. 출판사들은 한국 문학 번역본 출간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해외 출판사들도 한국 작가들의 작품에 대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


한강 작가는 수상 소감에서 "한국 문학이 가진 깊이와 아름다움이 세계와 더 많이 만나길 바란다"며 "폭력의 반대편에 선 당신과 함께 나누고 싶다"고 말했다. 국내에서는 독서 열풍이 일고 있고 독서 모임과 강연 등 행사가 이어지고 있다.


이번 수상이 단발성 이벤트로 끝나지 않으려면 번역 지원 확대와 해외 출판 네트워크 강화 등 체계적 지원이 필요하다. 다양한 장르와 세대의 작가들이 국제 무대에서 활동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투자도 필요하다.


이번 수상은 단순히 개인적인 성취를 넘어 한국 문학 전체의 도약을 상징한다. 한강이 보여준 서사는 앞으로도 많은 이에게 영감을 줄 것이며, 한국 문학이 세계 무대에서 더욱 빛날 발판이 될 것이다.


관련기사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이슈픽] 강선우 의원 '보좌관 갑질' 논란···야당 "사퇴해야" vs 여당 "충실히 소명"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보좌관 갑질' 논란의 중심에 섰다. 문제를 제기한 보좌진들은 "자택 쓰레기 분리수거, 변기 수리 등 사적 지시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5년간 46명이 의원실을 떠났다"며 이례적인 인사 교체가 갑질의 방증이라는 목소리도 높다."변기 수리·쓰레기 분리수거까지"…...
  2.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가족 집에 들어서면 대문 옆에 헛간이 서고처럼 서 있는데 처마 끝에 도서 대여목록 카드처럼 여섯 자루의 호미가 꽂혀 있다. 아버지 호미는 장시간 반납하지 않은 책처럼 한번 들고 나가면 며칠씩 밤새고 돌아온다. 산비탈을 다듬는지 자갈밭을 일구는지 듬성듬성 이가 빠져 자루만 조금 길면 삽에 가까운 호미, 그 옆에 어머니 호미는 가장 많...
  3.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바이킹 선장은 낡은 군복을 입고 담배를 문 채로그냥 대충 타면 된다고 했다두려운 게 없으면 함부로 대한다망해가는 유원지는 이제 될 대로 되라고배를 하늘 끝까지 밀어 올렸다모터 소리와 함께 턱이 산에 걸렸다쏠린 피가 뒤통수로 터져 나올 것 같았다원래는 저기 저쪽 해 좀 보라고 여유 있는 척좋아한다고 외치려 했는데으어어억 하는 사이 .
  4. [이슈픽] 국무회의 첫 생중계에 쏠린 시선···"투명성 강화" vs "긍적적 평가할 뻔" "국민이 정책 논의 과정을 볼 권리가 있다."2025년 7월 29일, 이재명 대통령이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국무회의 전 과정을 국민 앞에 생중계했다. 대통령의 모두발언만 공개되던 관행을 깨고, 1시간 20분 동안 주요 현안에 대한 장관들과의 실시간 토론까지 국민에게 여과 없이 공개했다.정치권의 엇갈린 반응: "투명성 강화" vs...
  5. [새책] 일과 자유, 삶의 품위를 묻는《나는 북경의 택배기사입니다》···현재를 희생하며 꿈꾸는 노동자들의 삶 택배기사, 물류센터 상하차, 패스트푸드 배달, 주유소 직원, 쇼핑몰 경비원, 온라인 쇼핑몰 창업 등 현장에서 일하며 인간의 품위와 자유를 고민한 한 청년의 기록이 있다. 고된 노동 속에서 마법 같은 순간을 발견하고 글쓰기를 하며 성장하는 이야기다. 월북에서 일하는 이들의 기쁨과 슬픔을 기록한 《나는 북경의 택배기사입니다》를 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