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뉴스아이즈 2024 7대뉴스] 문화 ③서울국제도서전 역대 최다 방문객···독서문화 부활 기대해도 될까?
  • 정해든
  • 등록 2024-12-30 22:00:11

기사수정

MBC 캡처


올 6월 19~23일 열린 30회 서울국제도서전이 역대 최다 방문객을 기록하며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약 65만 관람객이 '책으로 만나는 세계' 주제로 열린 이번 행사에 참여한 것이다.


다양한 프로그램과 글로벌 참여 확대


국내외 1,200여 출판사가 참가했으며 50개국 이상의 작가와 출판 관계자들이 참여해 국제적인 규모를 자랑했다. 한강 작가가 특별 강연자로 나서 "책은 인간의 고통과 희망을 연결하는 다리"는 메시지를 포함해 독자들과 깊이 있는 대화를 나눴다.


다양한 연령층을 위한 프로그램도 마련됐다. 어린이를 위한 그림책 전시와 독후 활동 워크숍, 청소년을 위한 작가와의 만남, 성인 독자를 위한 문학 강연과 토론 등이 가족 단위 관람객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디지털 시대에 맞춘 전자책과 오디오북 체험부스는 젊은 세대의 관심을 끌었다.


출판계는 이번 도서전이 코로나 이후 침체된 시장에 활기를 불어넣었다고 평가했다. 한 출판사 관계자는 "이번 도서전에서 신간 판매량이 지난해보다 40% 넘게 늘었다"며 "독자이 다시 책으로 돌아오고 있다"고 말했다.


한 대학생은 "도서전에 와보니 다양한 장르의 책을 접할 수 있어 흥미로웠다"고도 했다. 중장년층은 책을 통해 자녀와 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얻었다며 만족감을 표했다.


독서문화 부활의 신호탄 기대


서울국제도서전의 성공은 한국 사회 전반에서 독서문화가 부활할 가능성을 보여줬다. 전문가들은 "디지털 콘텐츠에 밀려났던 독서문화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며 "젊은 세대가 책에 대한 관심을 회복하고 있다는 점이 고무적"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도서전을 계기로 정부는 독서 활성화를 위한 정책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공공도서관 확충과 독서 캠페인을 확대해 독서율을 높이고, 출판계 지원 방안도 검토한다.


그럼에도 독서율 저하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다. 성인의 연간 평균 독서량은 여전히 OECD 평균에 미치지 못한다. 독서를 일상화하기 위해 학교와 가정에서부터 무엇을 해야할 지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관련기사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이슈픽] 강선우 의원 '보좌관 갑질' 논란···야당 "사퇴해야" vs 여당 "충실히 소명"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보좌관 갑질' 논란의 중심에 섰다. 문제를 제기한 보좌진들은 "자택 쓰레기 분리수거, 변기 수리 등 사적 지시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5년간 46명이 의원실을 떠났다"며 이례적인 인사 교체가 갑질의 방증이라는 목소리도 높다."변기 수리·쓰레기 분리수거까지"…...
  2. [이슈픽]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이언주의 허가제 vs 주진우의 신고제 외국인 부동산 투기가 이슈로 떠오르면서 여야 의원들이 잇따라 관련 법안을 발의했다. 특히 중국인의 국내 주택 소유 비율이 절반을 넘어서면서 규제 강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이언주·주진우 의원,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 경쟁 발의7월 9일 이언주 민주당 의원이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을 발의했다. 법안의 핵심은 ...
  3.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가족 집에 들어서면 대문 옆에 헛간이 서고처럼 서 있는데 처마 끝에 도서 대여목록 카드처럼 여섯 자루의 호미가 꽂혀 있다. 아버지 호미는 장시간 반납하지 않은 책처럼 한번 들고 나가면 며칠씩 밤새고 돌아온다. 산비탈을 다듬는지 자갈밭을 일구는지 듬성듬성 이가 빠져 자루만 조금 길면 삽에 가까운 호미, 그 옆에 어머니 호미는 가장 많...
  4.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바이킹 선장은 낡은 군복을 입고 담배를 문 채로그냥 대충 타면 된다고 했다두려운 게 없으면 함부로 대한다망해가는 유원지는 이제 될 대로 되라고배를 하늘 끝까지 밀어 올렸다모터 소리와 함께 턱이 산에 걸렸다쏠린 피가 뒤통수로 터져 나올 것 같았다원래는 저기 저쪽 해 좀 보라고 여유 있는 척좋아한다고 외치려 했는데으어어억 하는 사이 .
  5. [이슈픽] 국무회의 첫 생중계에 쏠린 시선···"투명성 강화" vs "긍적적 평가할 뻔" "국민이 정책 논의 과정을 볼 권리가 있다."2025년 7월 29일, 이재명 대통령이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국무회의 전 과정을 국민 앞에 생중계했다. 대통령의 모두발언만 공개되던 관행을 깨고, 1시간 20분 동안 주요 현안에 대한 장관들과의 실시간 토론까지 국민에게 여과 없이 공개했다.정치권의 엇갈린 반응: "투명성 강화" vs...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