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새책] 자본주의의 폭풍에서 살아남기 위한 《눈에 보이지 않는 돈의 지도책》
  • 정해든
  • 등록 2025-01-10 00:00:07

기사수정

다리우시 보이치크 지음 / 제임스 체셔·올리버 우버티 그림 / 윤종은 옮김 / 윌북 / 33,000원


왜 우리는 돈이 어떻게 만들어지고, 어디로 흘러가며, 어떤 방식으로 우리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지 제대로 이해하지 못할까? 화폐는 인류의 역사를 바꾼 위대한 발명품이지만, 오늘날의 금융 시스템은 점점 더 복잡해지고 불평등을 심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우리는 돈의 본질과 작동 원리를 어떻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을까?


윌북에서 경제와 금융이라는 복잡한 주제를 쉽게 전달할 《눈에 보이지 않는 돈의 지도책》을 펴냈다. 화폐와 금융 시스템이 인류 역사와 현재 사회에 미친 영향을 시각적으로 풀어냈다. 지도와 인포그래픽을 활용해 독자들이 직관적으로 금융의 흐름을 이해해 통찰력을 얻을 수 있게 돕는다.


수메르 점토판에서 시작된 화폐의 역사부터 암호화폐와 탄소배출권 같은 현대적 금융 개념까지 다루며, 경제와 금융의 본질을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예를 들어, 고대 위안화의 전파 경로를 지도에 표시하며 자연스럽게 기축통화 개념을 이해하게 한다. 대항해시대 빈번했던 화물운송사고를 통해 보험업이 어떻게 탄생했는지를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책은 암호화폐, 조세회피처, 탄소배출권 등 현대 금융에서 중요한 주제들도 다룬다. 비트코인 채굴량 지도를 통해 암호화폐가 소비하는 막대한 에너지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며 그 명과 암을 분석한다. 모노폴리 게임판을 활용해 국제 인프라 분포와 대규모 자본이 국가 산업을 잠식하는 형태를 드러낸다.


가장 큰 특징은 복잡한 금융 데이터를 지도와 그래픽으로 풀어냈다는 점이다. 조세회피처를 섬들의 지도로 표현하거나, 베이링스은행 파산 사건을 지진 파동으로 시각화하는 등 추상적인 개념들을 직관적으로 이해하도록 돕는다.


책은 자본주의 내 불평등 문제와 미래 전망까지 아우른다. 국가 주도의 통화 정책이 어떻게 경제적 약자를 불리하게 만들고 있는지 분석하며, 더 나은 경제 시스템으로 나아가기 위한 방향성을 제시한다. 


관련기사
TAG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이슈픽] 강선우 의원 '보좌관 갑질' 논란···야당 "사퇴해야" vs 여당 "충실히 소명"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보좌관 갑질' 논란의 중심에 섰다. 문제를 제기한 보좌진들은 "자택 쓰레기 분리수거, 변기 수리 등 사적 지시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5년간 46명이 의원실을 떠났다"며 이례적인 인사 교체가 갑질의 방증이라는 목소리도 높다."변기 수리·쓰레기 분리수거까지"…...
  2. [이슈픽]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이언주의 허가제 vs 주진우의 신고제 외국인 부동산 투기가 이슈로 떠오르면서 여야 의원들이 잇따라 관련 법안을 발의했다. 특히 중국인의 국내 주택 소유 비율이 절반을 넘어서면서 규제 강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이언주·주진우 의원,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 경쟁 발의7월 9일 이언주 민주당 의원이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을 발의했다. 법안의 핵심은 ...
  3.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가족 집에 들어서면 대문 옆에 헛간이 서고처럼 서 있는데 처마 끝에 도서 대여목록 카드처럼 여섯 자루의 호미가 꽂혀 있다. 아버지 호미는 장시간 반납하지 않은 책처럼 한번 들고 나가면 며칠씩 밤새고 돌아온다. 산비탈을 다듬는지 자갈밭을 일구는지 듬성듬성 이가 빠져 자루만 조금 길면 삽에 가까운 호미, 그 옆에 어머니 호미는 가장 많...
  4.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바이킹 선장은 낡은 군복을 입고 담배를 문 채로그냥 대충 타면 된다고 했다두려운 게 없으면 함부로 대한다망해가는 유원지는 이제 될 대로 되라고배를 하늘 끝까지 밀어 올렸다모터 소리와 함께 턱이 산에 걸렸다쏠린 피가 뒤통수로 터져 나올 것 같았다원래는 저기 저쪽 해 좀 보라고 여유 있는 척좋아한다고 외치려 했는데으어어억 하는 사이 .
  5. [이슈픽] 국무회의 첫 생중계에 쏠린 시선···"투명성 강화" vs "긍적적 평가할 뻔" "국민이 정책 논의 과정을 볼 권리가 있다."2025년 7월 29일, 이재명 대통령이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국무회의 전 과정을 국민 앞에 생중계했다. 대통령의 모두발언만 공개되던 관행을 깨고, 1시간 20분 동안 주요 현안에 대한 장관들과의 실시간 토론까지 국민에게 여과 없이 공개했다.정치권의 엇갈린 반응: "투명성 강화" vs...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