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새책] 권력과 언론 정조준 《작심하고 다시, 기자》 장인수 취재기
  • 정해든
  • 등록 2025-02-03 00:00:07

기사수정

장인수 지음 / 시월 / 18,000원


기자는 무엇을 위해 존재하는가? 검찰과 언론은 왜 개혁되어야 하는가? 


김건희 디올백 수수 사건, 한동훈 검언유착 등 굵직한 사건들을 최초 보도한 장인수 기자가 이 질문들에 답하기 위해 《작심하고 다시, 기자》를 펴냈다. 


권력과 정면으로 맞선 그의 취재기록은 우리 사회의 부조리를 적나라하게 드러내며, 검찰개혁과 언론개혁이 왜 필요한지 독자들에게 묻고 있다.


윤석열 정권 및 그 부역자들의 행태를 고발하고, 이를 둘러싼 검찰과 언론의 문제를 짚어내며, 독자들이 기자라는 직업의 본질과 사회적 책임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보도록 했다.


이 책은 장인수 기자가 취재하고 보도했던 사건들을 중심으로 구성됐다. 김건희 디올백 수수 사건을 비롯해 7시간 녹취록, 한동훈 검언유착 등 권력형 비리와 관련된 굵직한 보도들이 담겨 있다. 


각 사건의 취재 과정과 보도 이후 벌어진 일들을 통해 권력과 언론의 유착 관계를 적나라하게 드러내는데, 기자로서의 집념과 윤리적 고민이 곳곳에 녹아 있어 독자들은 한 편의 탐사보도를 읽는 듯한 몰입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사건들을 통해 검찰개혁과 언론개혁이 왜 필요한지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우리 사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


장 기자는 자신이 겪은 경험을 바탕으로 언론이 어떻게 권력을 감시해야 하는지, 그리고 왜 개혁이 필요한지에 대해 심도 깊은 논의를 펼친다. 독자들은 이 책을 통해 우리 사회의 구조적 문제를 이해하고, 건강한 민주주의를 위한 변화를 고민하게 될 것이다.


저자 장인수는 고려대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세계일보>와 <MBC>에서 19년간 기자로 활동했다. 남양유업 밀어내기 갑질 실태, 방정오 TV조선 대표 딸의 갑질 폭로 등 다수의 특종을 보도했다. 김건희 디올백 수수 사건 보도를 위해 MBC를 떠난 뒤 현재 유튜브 채널 <저널리스트>를 운영하고 있다.


관련기사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이슈픽] 강선우 의원 '보좌관 갑질' 논란···야당 "사퇴해야" vs 여당 "충실히 소명"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보좌관 갑질' 논란의 중심에 섰다. 문제를 제기한 보좌진들은 "자택 쓰레기 분리수거, 변기 수리 등 사적 지시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5년간 46명이 의원실을 떠났다"며 이례적인 인사 교체가 갑질의 방증이라는 목소리도 높다."변기 수리·쓰레기 분리수거까지"…...
  2.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가족 집에 들어서면 대문 옆에 헛간이 서고처럼 서 있는데 처마 끝에 도서 대여목록 카드처럼 여섯 자루의 호미가 꽂혀 있다. 아버지 호미는 장시간 반납하지 않은 책처럼 한번 들고 나가면 며칠씩 밤새고 돌아온다. 산비탈을 다듬는지 자갈밭을 일구는지 듬성듬성 이가 빠져 자루만 조금 길면 삽에 가까운 호미, 그 옆에 어머니 호미는 가장 많...
  3.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바이킹 선장은 낡은 군복을 입고 담배를 문 채로그냥 대충 타면 된다고 했다두려운 게 없으면 함부로 대한다망해가는 유원지는 이제 될 대로 되라고배를 하늘 끝까지 밀어 올렸다모터 소리와 함께 턱이 산에 걸렸다쏠린 피가 뒤통수로 터져 나올 것 같았다원래는 저기 저쪽 해 좀 보라고 여유 있는 척좋아한다고 외치려 했는데으어어억 하는 사이 .
  4. [이슈픽] 국무회의 첫 생중계에 쏠린 시선···"투명성 강화" vs "긍적적 평가할 뻔" "국민이 정책 논의 과정을 볼 권리가 있다."2025년 7월 29일, 이재명 대통령이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국무회의 전 과정을 국민 앞에 생중계했다. 대통령의 모두발언만 공개되던 관행을 깨고, 1시간 20분 동안 주요 현안에 대한 장관들과의 실시간 토론까지 국민에게 여과 없이 공개했다.정치권의 엇갈린 반응: "투명성 강화" vs...
  5. [새책] 일과 자유, 삶의 품위를 묻는《나는 북경의 택배기사입니다》···현재를 희생하며 꿈꾸는 노동자들의 삶 택배기사, 물류센터 상하차, 패스트푸드 배달, 주유소 직원, 쇼핑몰 경비원, 온라인 쇼핑몰 창업 등 현장에서 일하며 인간의 품위와 자유를 고민한 한 청년의 기록이 있다. 고된 노동 속에서 마법 같은 순간을 발견하고 글쓰기를 하며 성장하는 이야기다. 월북에서 일하는 이들의 기쁨과 슬픔을 기록한 《나는 북경의 택배기사입니다》를 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