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새책] 왜곡된 세계관을 바로잡는 《세상을 한눈에 보는 지도책》
  • 정해든
  • 등록 2025-02-04 00:00:03

기사수정

세마르탱 라보르드·델핀 파팽·프란체스카 파토리 지음 / 양영란 옮김 / 다산초당 / 28,000원

세계를 바라보는 우리의 관점은 과연 얼마나 정확할까? 우리가 익숙하게 사용하는 세계지도는 진짜 지구의 모습을 얼마나 충실히 반영하고 있을까? 


다산초당에서 왜곡된 지리적 시각을 바로잡기 위한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한 《세상을 한눈에 보는 지도책》을 펴냈다.


이 책이 최초의 혁신적 시도라고 할 수 있는 이유는 오래된 전통적 지도 위에 지금 우리를 기술하는 숫자와 통계 등 가장 최신의 데이터를 펼쳐내 강렬한 시각적 통찰을 선사하는 작업을 해내서다. 


기존의 평면 지도나 지구본이 가진 왜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반구 세계지도'를 활용한다. 이 지도는 면적과 형태의 왜곡을 최소화하며, 최신 데이터와 통계를 기반으로 기후 변화, 삼림 파괴, 플라스틱 오염, 여성 불평등, 언론 자유 등 현대 세계의 주요 이슈를 시각적으로 풀어낸다. 


더욱더 심각해지는 지구온난화와 자연 파괴,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는 인간 사회의 불협화음이 한 장의 반구 지도로 펼쳐지는 순간, 비로소 세상의 다양한 문제가 우리 자신의 '미래'와 직결돼 있으며 서로 연결돼 있음을 체감하게 된다.


각 지도는 단순한 지리 정보 제공을 넘어, 지구와 인류가 직면한 위기를 입체적으로 조망하며 해결책을 모색하도록 돕는다. 지정학적 통찰과 최신 데이터를 결합한 강력한 시각적 스토리텔링 도구로 평가받는다.


저자인 세마르탱 라보르드, 델핀 파팽, 프란체스카 파토리는 모두 『르몽드』 소속의 저명한 기자이자 지도 제작 전문가들이다. 


세마르탱 라보르드(Xemartin Laborde)는 지도 제작 전문가다. 《국경 지도책(L’Atlas des frontieres)》 《위대한 탐험가들의 지도책(Atlas des grands explorateurs)》 등을 썼다. 국내에 출간된 책으로는 《러시아 지정학 아틀라스》가 있다. 2020년 인포그래픽 분야의 퓰리처상으로 불리는 '말로피에 국제 인포그래픽스 어워드'에서 수상했다.


델핀 파팽(Delphine Papin)은 파리8대학 소속 프랑스지정학학교 IFS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모 지정학 전문지 <에로도트> 편집위원이다. 《영국 지정학 아틀라스(Atlas geopolitique du Royaume-Uni)》 《국경 지도책》 등을 썼다. 국내에 출간된 책으로는 《러시아 지정학 아틀라스》 《병든 민주주의, 미국은 왜 위태로운가》가 있다. 

 

프란체스카 파토리(Francesca Fattori)는 지도 제작 전문가다. 수년간 프랑스 TV 프로그램 〈Le Dessous des cartes〉 제작에 참여했고, 《국경 지도책》 등을 썼다. 국내에 출간된 책으로는 《러시아 지정학 아틀라스》가 있다. 2020년 말로피에 국제 인포그래픽스 어워드에서 수상했다.


역자 양영란은 서울대 불문과 대학원을 졸업하고, 프랑스 파리3대학에서 불문학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코리아헤럴드> 기자와 <시사저널> 파리 통신원을 지냈다. 《안젤리크》 《해리 쿼버트 사건의 진실》 《센 강의 이름 모를 여인》 《인생은 소설이다》 《작가들의 비밀스러운 삶》 《아가씨와 밤》 《파리의 아파트》 《브루클린의 소녀》 《지금 이 순간》 《센트럴 파크》 《에펠탑만큼 커다란 구름을 삼킨 소녀》 등을 번역했다. 김훈의 《칼의 노래》를 프랑스어로 옮겨 갈리마르에서 출간했다.


관련기사
TAG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이슈픽] 강선우 의원 '보좌관 갑질' 논란···야당 "사퇴해야" vs 여당 "충실히 소명"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보좌관 갑질' 논란의 중심에 섰다. 문제를 제기한 보좌진들은 "자택 쓰레기 분리수거, 변기 수리 등 사적 지시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5년간 46명이 의원실을 떠났다"며 이례적인 인사 교체가 갑질의 방증이라는 목소리도 높다."변기 수리·쓰레기 분리수거까지"…...
  2. [이슈픽]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이언주의 허가제 vs 주진우의 신고제 외국인 부동산 투기가 이슈로 떠오르면서 여야 의원들이 잇따라 관련 법안을 발의했다. 특히 중국인의 국내 주택 소유 비율이 절반을 넘어서면서 규제 강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이언주·주진우 의원,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 경쟁 발의7월 9일 이언주 민주당 의원이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을 발의했다. 법안의 핵심은 ...
  3.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가족 집에 들어서면 대문 옆에 헛간이 서고처럼 서 있는데 처마 끝에 도서 대여목록 카드처럼 여섯 자루의 호미가 꽂혀 있다. 아버지 호미는 장시간 반납하지 않은 책처럼 한번 들고 나가면 며칠씩 밤새고 돌아온다. 산비탈을 다듬는지 자갈밭을 일구는지 듬성듬성 이가 빠져 자루만 조금 길면 삽에 가까운 호미, 그 옆에 어머니 호미는 가장 많...
  4.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바이킹 선장은 낡은 군복을 입고 담배를 문 채로그냥 대충 타면 된다고 했다두려운 게 없으면 함부로 대한다망해가는 유원지는 이제 될 대로 되라고배를 하늘 끝까지 밀어 올렸다모터 소리와 함께 턱이 산에 걸렸다쏠린 피가 뒤통수로 터져 나올 것 같았다원래는 저기 저쪽 해 좀 보라고 여유 있는 척좋아한다고 외치려 했는데으어어억 하는 사이 .
  5. [이슈픽] 국무회의 첫 생중계에 쏠린 시선···"투명성 강화" vs "긍적적 평가할 뻔" "국민이 정책 논의 과정을 볼 권리가 있다."2025년 7월 29일, 이재명 대통령이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국무회의 전 과정을 국민 앞에 생중계했다. 대통령의 모두발언만 공개되던 관행을 깨고, 1시간 20분 동안 주요 현안에 대한 장관들과의 실시간 토론까지 국민에게 여과 없이 공개했다.정치권의 엇갈린 반응: "투명성 강화" vs...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