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새책] 《환율의 대전환》 달러, 엔, 금의 흐름과 새로운 투자 전략
  • 정해든
  • 등록 2025-02-19 00:00:01

기사수정
  • - 불확실한 경제 시대, 안전 자산에 주목하라
  • - 환율의 변곡점에서 찾아낸 투자 인사이트
오건영 지음 / 포레스트북스 / 27,000원달러, 엔, 금은 왜 지금 주목받고 있을까?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극대화된 현재, 환율과 주요 통화의 흐름을 이해하고 현명한 투자 전략을 세우는 데 무엇을 이해해야 할까?

포레스트북스에서 달러, 엔, 금이라는 주요 자산의 흐름과 투자 전략을 다룬 《환율의 대전환》을 펴냈다.

IMF 외환위기 이후 최고점을 기록한 달러원 환율, 일본 금리 인상으로 주목받는 엔화,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금 가격 등 최근 글로벌 경제를 뒤흔든 이슈들을 분석하며 그 원인과 앞으로의 시나리오를 제시한다.


저자 오건영은 달러 강세의 배경을 과거 약세 시기와 비교하며 설명하고, 일본 중앙은행의 금리 정책 실패 사례를 통해 엔화 흐름을 해석한다. 


금에 대한 투자 질문 11개에 답하며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외화 예금, 골드바, ETF 등 다양한 상품의 장단점도 함께 다뤄 실질적인 투자 가이드를 제공한다.


특별부록 '오건영의 시크릿 경제 클래스'에서는 환율 기초 지식과 저자가 추천하는 경제 서적 25권을 소개해 독자들의 이해를 돕는다. 자산 분산에서 통화 분산으로 변화하는 투자 트렌드를 이해하는 데 집중했다.


오건영은 신한금융그룹 신한 프리미어 패스파인더 단장으로 글로벌 매크로 마켓 분석과 투자 전략 수립에 전문성을 갖춘 거시경제 전문가다. 저자의 《부의 대이동》 《부의 시나리오》 등이 베스트셀러에 올랐으며, 《위기의 역사》로 제42회 정진기언론문화상을 수상했다. tvN <유 퀴즈 온 더 블럭> 등 다수의 방송에 출연했다.


관련기사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이슈픽] 강선우 의원 '보좌관 갑질' 논란···야당 "사퇴해야" vs 여당 "충실히 소명"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보좌관 갑질' 논란의 중심에 섰다. 문제를 제기한 보좌진들은 "자택 쓰레기 분리수거, 변기 수리 등 사적 지시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5년간 46명이 의원실을 떠났다"며 이례적인 인사 교체가 갑질의 방증이라는 목소리도 높다."변기 수리·쓰레기 분리수거까지"…...
  2. [이슈픽]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이언주의 허가제 vs 주진우의 신고제 외국인 부동산 투기가 이슈로 떠오르면서 여야 의원들이 잇따라 관련 법안을 발의했다. 특히 중국인의 국내 주택 소유 비율이 절반을 넘어서면서 규제 강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이언주·주진우 의원,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 경쟁 발의7월 9일 이언주 민주당 의원이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을 발의했다. 법안의 핵심은 ...
  3.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가족 집에 들어서면 대문 옆에 헛간이 서고처럼 서 있는데 처마 끝에 도서 대여목록 카드처럼 여섯 자루의 호미가 꽂혀 있다. 아버지 호미는 장시간 반납하지 않은 책처럼 한번 들고 나가면 며칠씩 밤새고 돌아온다. 산비탈을 다듬는지 자갈밭을 일구는지 듬성듬성 이가 빠져 자루만 조금 길면 삽에 가까운 호미, 그 옆에 어머니 호미는 가장 많...
  4.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바이킹 선장은 낡은 군복을 입고 담배를 문 채로그냥 대충 타면 된다고 했다두려운 게 없으면 함부로 대한다망해가는 유원지는 이제 될 대로 되라고배를 하늘 끝까지 밀어 올렸다모터 소리와 함께 턱이 산에 걸렸다쏠린 피가 뒤통수로 터져 나올 것 같았다원래는 저기 저쪽 해 좀 보라고 여유 있는 척좋아한다고 외치려 했는데으어어억 하는 사이 .
  5. [이슈픽] 국무회의 첫 생중계에 쏠린 시선···"투명성 강화" vs "긍적적 평가할 뻔" "국민이 정책 논의 과정을 볼 권리가 있다."2025년 7월 29일, 이재명 대통령이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국무회의 전 과정을 국민 앞에 생중계했다. 대통령의 모두발언만 공개되던 관행을 깨고, 1시간 20분 동안 주요 현안에 대한 장관들과의 실시간 토론까지 국민에게 여과 없이 공개했다.정치권의 엇갈린 반응: "투명성 강화" vs...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