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작설차를 마시며
  • 어향숙 시인
  • 등록 2025-03-30 00:30:57
  • 수정 2025-03-30 11:50:10

기사수정


 

혼자 마셔도

혼자가 아니어서 좋다


흙바닥을 쪼던

딱딱한 부리 속에

부드러운 혀가 숨어 있다


귀를 기울이면

그윽한 말 중

간담을 서늘하게 하는 말이 있다


원망, 그 한마디 말보다

날개를 키워왔다는 말

내 목구멍을 핥아줄 때

두 눈을 잃은

절망의 부기가 가라앉는다


식어가는 찻잔에 남은

마지막 한 방울 말까지 마시고 나면

세상 구석 미세한 소리조차 받들어 마시는

창문 밖 저 귀가 큰 겸손한 고요


덩치 큰 어둠의 입술도 달싹거린다


-손병걸 시인의 시 '작설차를 마시며' 전문



 이 시는 손병걸 시인의 시집 《나는 열 개의 눈동자를 가졌다》 에 실려있다.


 '작설雀舌'은 보통 곡우(4월 20일) 전후에 딴 찻잎 새순을 말한다. 꼭 '참새의 혀'처럼 생겼다고 붙여진 이름이다.


 화자는 이 작설차雀舌茶를 혼자 마셔도 혼자가 아니어서 좋다고 말한다. 흙바닥을 쪼던 부리 속 부드러운 혀들이 그윽한 말을 들려준다고 느낀다. 그 말들은 "원망"보다 "날개를 잘 키워왔다"고 위로해 준다. 찻잔에 남은 마지막 한 방울까지 정성스레 마시면서 세상 구석 미세한 소리조차 받들어 음미해 본다. 귀가 겸손해질수록 덩치 큰 어둠의 입술도 달싹거리는 것 같다.


 손병걸 시인은 나이 서른 즈음에 두 눈을 잃었고 그후 오랫동안 탄광굴에 갇힌 짐승처럼 절망으로 골방에 움츠려 있었다고 한다. 그러던 어느 새벽, 출근하는 이웃들 발소리가 마치 빛처럼 겹겹이 쌓인 어둠을 뚫고 들려왔단다. 그래서 그 희미한 빛으로 다시 새로운 시작을 하게 되었다고 말한다. 그는 열 개의 손가락 끝과 다른 감각들이 눈을 대신한다. 특히 소리로 많은 것을 잘 본다. 언젠가 모인 사람들 목소리만 듣고도 키, 몸무게까지 정확하게 맞춰 놀랬던 일화가 있다.


 매월당 김시습이 쓴 '작설雀舌'이란 시에 "一啜雲腴雙眼明 운유차 한 모금 마시니 두 눈이 밝아진다"는 구절이 나온다. 아마 시인도 이런 운유처럼 깊은 작설차雀舌茶를 마시며 눈이 밝아질 것 같은 큰 위안을 받고 시적 사유도 깊어졌으리라 짐작된다. 시의 울림이 크다.


 삶과 죽음이 맞닿아 있듯 절망 안에서도 희망은 어느 구석에선가 숨쉬고 있다. 그 희망이 아무리 미약하더라도 간절히 원한다면 반드시 빛을 만날 수 있으리라 믿는다. 베토벤이 청력을 잃고도 인류사상 최고의 곡이라고 일컫는 '교향곡 9번 합창'을 작곡한 것도 우연은 아닐 것이다. 


  오늘 아침에는 차를 한 잔 마시고 싶다. 뜨거운 물이 찻잎을 우려내는 시간을 기다리며  공간 가득 퍼지는 은은한 향을 음미해도 좋을 것 같다. 

덧붙이는 글

어향숙 시인은 강원도 속초에서 태어나 '김유정 신인문학상'(2016)을 받았다. 시집으로 《낯선 위로가 눈물을 닦아주네》가 있다.

관련기사
TAG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이슈픽] 강선우 의원 '보좌관 갑질' 논란···야당 "사퇴해야" vs 여당 "충실히 소명"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보좌관 갑질' 논란의 중심에 섰다. 문제를 제기한 보좌진들은 "자택 쓰레기 분리수거, 변기 수리 등 사적 지시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5년간 46명이 의원실을 떠났다"며 이례적인 인사 교체가 갑질의 방증이라는 목소리도 높다."변기 수리·쓰레기 분리수거까지"…...
  2. [이슈픽]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이언주의 허가제 vs 주진우의 신고제 외국인 부동산 투기가 이슈로 떠오르면서 여야 의원들이 잇따라 관련 법안을 발의했다. 특히 중국인의 국내 주택 소유 비율이 절반을 넘어서면서 규제 강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이언주·주진우 의원,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 경쟁 발의7월 9일 이언주 민주당 의원이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을 발의했다. 법안의 핵심은 ...
  3.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가족 집에 들어서면 대문 옆에 헛간이 서고처럼 서 있는데 처마 끝에 도서 대여목록 카드처럼 여섯 자루의 호미가 꽂혀 있다. 아버지 호미는 장시간 반납하지 않은 책처럼 한번 들고 나가면 며칠씩 밤새고 돌아온다. 산비탈을 다듬는지 자갈밭을 일구는지 듬성듬성 이가 빠져 자루만 조금 길면 삽에 가까운 호미, 그 옆에 어머니 호미는 가장 많...
  4.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바이킹 선장은 낡은 군복을 입고 담배를 문 채로그냥 대충 타면 된다고 했다두려운 게 없으면 함부로 대한다망해가는 유원지는 이제 될 대로 되라고배를 하늘 끝까지 밀어 올렸다모터 소리와 함께 턱이 산에 걸렸다쏠린 피가 뒤통수로 터져 나올 것 같았다원래는 저기 저쪽 해 좀 보라고 여유 있는 척좋아한다고 외치려 했는데으어어억 하는 사이 .
  5. [이슈픽] 국무회의 첫 생중계에 쏠린 시선···"투명성 강화" vs "긍적적 평가할 뻔" "국민이 정책 논의 과정을 볼 권리가 있다."2025년 7월 29일, 이재명 대통령이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국무회의 전 과정을 국민 앞에 생중계했다. 대통령의 모두발언만 공개되던 관행을 깨고, 1시간 20분 동안 주요 현안에 대한 장관들과의 실시간 토론까지 국민에게 여과 없이 공개했다.정치권의 엇갈린 반응: "투명성 강화" vs...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