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시흥 물수제비 영화제' 4월 12일 개막···밀정·보헤미안 렙소디·암살 등 상영
  • 정해든 기자
  • 등록 2025-04-08 12:40:00
  • 수정 2025-04-08 19:55:23

기사수정
  • - 단편영화 6편 릴레이도

'시흥 물수제비 영화제' 4월 12일 개막

시흥시가 4월 12일~ 6월 14일 '시흥 물수제비 영화제'를 개최한다. 은계호수공원을 시작으로 시 전역을 권역별로 순회하며 관람은 무료다. 영화제는 권역별 야외 유휴공간에 영화관을 조성해 지역 상권에 활력을 불어넣고 시민의 문화적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운영된다. 


영화제명은 '물수제비' 놀이처럼, 영화를 매개로 지역(공간)과 주민(사람)을 잇는 문화적 가교라는 의미를 담았다.

 

시민 579명이 투표로 선정한 영화와 평소 보기 어려웠던 단편영화 등으로 상영작을 구성했다. 영화 외에도 특별공연도 마련돼 있다.

 

영화제는 매월 둘째·넷째 토요일에 열린다. 도심의 야외 공간을 문화 향유 공간으로 바꿔줄 커다란 스크린과 오감을 자극할 음향으로 집에서와는 다른 영화의 생동감을 느끼도록 했다.

 

4월에는 북부권역인 은계호수공원에서 12일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Volume3>를, 중부권역인 목감산현공원에서는 26일 <보헤미안 랩소디>를 상영한다. 


5월에는 남부권역인 정왕동 중앙공원에서 10일 <밀정>을, 배곧생명공원에서는 24일 <사운드 오브 뮤직>과 <윙카>를 상영한다. 


6월에는 북부권역인 은계숲생태공원에서 14일 <인사이드아웃2>와 <암살>이 상영된다. 5월 배곧생명공원과 6월 은계숲생태공원에서는 시민선정영화 외에도 특별상영작으로 단편영화 6편이 릴레이로 상영될 예정이다.

 

관람은 예매 없이 당일 현장에서 가능하며 우천 시에는 취소될 수 있다.

관련기사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이슈픽] 강선우 의원 '보좌관 갑질' 논란···야당 "사퇴해야" vs 여당 "충실히 소명"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보좌관 갑질' 논란의 중심에 섰다. 문제를 제기한 보좌진들은 "자택 쓰레기 분리수거, 변기 수리 등 사적 지시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5년간 46명이 의원실을 떠났다"며 이례적인 인사 교체가 갑질의 방증이라는 목소리도 높다."변기 수리·쓰레기 분리수거까지"…...
  2. [이슈픽]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이언주의 허가제 vs 주진우의 신고제 외국인 부동산 투기가 이슈로 떠오르면서 여야 의원들이 잇따라 관련 법안을 발의했다. 특히 중국인의 국내 주택 소유 비율이 절반을 넘어서면서 규제 강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이언주·주진우 의원,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 경쟁 발의7월 9일 이언주 민주당 의원이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을 발의했다. 법안의 핵심은 ...
  3.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가족 집에 들어서면 대문 옆에 헛간이 서고처럼 서 있는데 처마 끝에 도서 대여목록 카드처럼 여섯 자루의 호미가 꽂혀 있다. 아버지 호미는 장시간 반납하지 않은 책처럼 한번 들고 나가면 며칠씩 밤새고 돌아온다. 산비탈을 다듬는지 자갈밭을 일구는지 듬성듬성 이가 빠져 자루만 조금 길면 삽에 가까운 호미, 그 옆에 어머니 호미는 가장 많...
  4.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바이킹 선장은 낡은 군복을 입고 담배를 문 채로그냥 대충 타면 된다고 했다두려운 게 없으면 함부로 대한다망해가는 유원지는 이제 될 대로 되라고배를 하늘 끝까지 밀어 올렸다모터 소리와 함께 턱이 산에 걸렸다쏠린 피가 뒤통수로 터져 나올 것 같았다원래는 저기 저쪽 해 좀 보라고 여유 있는 척좋아한다고 외치려 했는데으어어억 하는 사이 .
  5. [이슈픽] 국무회의 첫 생중계에 쏠린 시선···"투명성 강화" vs "긍적적 평가할 뻔" "국민이 정책 논의 과정을 볼 권리가 있다."2025년 7월 29일, 이재명 대통령이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국무회의 전 과정을 국민 앞에 생중계했다. 대통령의 모두발언만 공개되던 관행을 깨고, 1시간 20분 동안 주요 현안에 대한 장관들과의 실시간 토론까지 국민에게 여과 없이 공개했다.정치권의 엇갈린 반응: "투명성 강화" vs...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