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김주성의 한시 한 편] <춘향전> 이몽룡의 한시
  • 김주성 기자
  • 등록 2025-05-22 00:30:01
  • 수정 2025-05-26 13:40:04

기사수정
  • - 탐관오리를 꾸짖는 이몽룡의 한시

김주성 기자

방송·언론에 의하면 "12.3 비상계엄 뒤 다수 국민은 내란이 진압되지 않고 주동자들도 아직 치죄되지 않은 채 여섯 달이나 흘렀다는 여론이 빠르게 번지고 있다." 


그사이 "사회 곳곳에 숨어있던 추종자들이 출몰하고 있는 것도 큰 문제"라는 지적도 많다. 더 큰 문제는 피의자나 혐의를 의심 받는 자들이 사법부, 입법부, 행정부를 가리지 않고 골고루 표면에 드러났다는 것이다. 


이들은 분명히 헌법을 유린하고 민주주의를 해쳤다는 국민의 지탄과 처벌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방송·언론에 등장하는 그들은 정장에 넥타이에 제복을 입고 멋있게 보인다. 실상 이들은 탐관(貪官), 탐재(貪財), 오리(汚吏) 들과 다르지 않다. 현대사에서는 아직 불의한 자들을 말끔하게 처단하지 못했다. 새시대를 맞이하기 위해, 우리 겨레를 위해 이번에는 꼭 합법적 처벌을 완수하기를 바란다.


<춘향전>에서 남원에 부임한 변사또는 생일잔치를 연다. 그곳에 거지꼴을 한 이몽룡이 한시 한 편을 읊는다.


金樽美酒 千人血     금준미주 천인혈

玉盤佳肴 萬姓膏     옥반가효 만성고

燭淚落時 民淚落     촉루락시 민루낙

歌聲高處 怨聲高     가성고처 원성고

(7언절구(絶句), 운자(韻字)는 膏(고), 高(고)다. 樽은 술통/술잔 준, 肴는 안주 효,  膏는 기름 고, 燭淚는 촛농)


황금단지의 좋은 술은 천만 인민의 피요

옥쟁반의 맛난 안주는 만백성의 기름이다

촛농 떨어질 때 백성 눈물 떨어지고

노래 소리 높은 곳에 원망 소리 드높다


그때나 지금이나 탐관오리는 많고, 제대로 처벌되지 않는 경우도 많다. 2025년 현재 민주주의 파괴자들을 응징하는 마음을 담아 육모방망이 들고 관아로 들어가는 포졸처럼 외쳐 본다. "암행어사 출도(出道)야!~"

관련기사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이슈픽] 강선우 의원 '보좌관 갑질' 논란···야당 "사퇴해야" vs 여당 "충실히 소명"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보좌관 갑질' 논란의 중심에 섰다. 문제를 제기한 보좌진들은 "자택 쓰레기 분리수거, 변기 수리 등 사적 지시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5년간 46명이 의원실을 떠났다"며 이례적인 인사 교체가 갑질의 방증이라는 목소리도 높다."변기 수리·쓰레기 분리수거까지"…...
  2. [이슈픽]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이언주의 허가제 vs 주진우의 신고제 외국인 부동산 투기가 이슈로 떠오르면서 여야 의원들이 잇따라 관련 법안을 발의했다. 특히 중국인의 국내 주택 소유 비율이 절반을 넘어서면서 규제 강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이언주·주진우 의원,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 경쟁 발의7월 9일 이언주 민주당 의원이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을 발의했다. 법안의 핵심은 ...
  3.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가족 집에 들어서면 대문 옆에 헛간이 서고처럼 서 있는데 처마 끝에 도서 대여목록 카드처럼 여섯 자루의 호미가 꽂혀 있다. 아버지 호미는 장시간 반납하지 않은 책처럼 한번 들고 나가면 며칠씩 밤새고 돌아온다. 산비탈을 다듬는지 자갈밭을 일구는지 듬성듬성 이가 빠져 자루만 조금 길면 삽에 가까운 호미, 그 옆에 어머니 호미는 가장 많...
  4.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바이킹 선장은 낡은 군복을 입고 담배를 문 채로그냥 대충 타면 된다고 했다두려운 게 없으면 함부로 대한다망해가는 유원지는 이제 될 대로 되라고배를 하늘 끝까지 밀어 올렸다모터 소리와 함께 턱이 산에 걸렸다쏠린 피가 뒤통수로 터져 나올 것 같았다원래는 저기 저쪽 해 좀 보라고 여유 있는 척좋아한다고 외치려 했는데으어어억 하는 사이 .
  5. [이슈픽] 국무회의 첫 생중계에 쏠린 시선···"투명성 강화" vs "긍적적 평가할 뻔" "국민이 정책 논의 과정을 볼 권리가 있다."2025년 7월 29일, 이재명 대통령이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국무회의 전 과정을 국민 앞에 생중계했다. 대통령의 모두발언만 공개되던 관행을 깨고, 1시간 20분 동안 주요 현안에 대한 장관들과의 실시간 토론까지 국민에게 여과 없이 공개했다.정치권의 엇갈린 반응: "투명성 강화" vs...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