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이 또
내 깊숙한 곳을 뒤집어놓았다
집을 나가야겠다
돌아온 지 한 달
누구의 것이든 상관없다 돈을 챙겨야 한다
또다시 돌아오겠지
그러나 귀가는 아니다
그곳으로부터 이곳으로 흘러오는 것뿐
엄마는 본디 바람이었다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가
소식도 없이 내 앞에 서 있곤 했다
엄마가 넣어준 바람이 내 혈관 구석구석을 돌아다니지
구멍이 숭숭 뚫린 몸속에서부터
발밑 허공,그 너머까지
사람들이 있는 곳에서는
내 몸뚱이를 어디에 두어야 할지 모르겠어
곧 떼어내야 할 껌딱지나 작은 때 같아
빨리 사라져야 할 의무, 그 절박함이라니
그래서 나는 자꾸
사라진다
바람처럼
엄마처럼
-정유경 시인의 시 '바람의 아이' 전문
정유경 시인의 시집 《연하리를 닮다》 에 실린 시다.
아이는 엄마가 자신의 일부라고 생각하는 시기가 있다. 프랑스의 정신분석학자 자크라캉은 이 시기를 "거울 단계"라고 했다. 보통 태어난 지 6개월에서 18개월 사이를 말한다. 이 시기를 잘 지나야 엄마와 분리가 이루어지고 상징계로 진입하여 정상적인 사회생활을 하게 된다고 한다.
하지만 화자에게 "엄마"는 어릴 때부터 부재의 상징인 동시에 결핍의 원천인 욕망의 대상이 된다. 그래서 자꾸 엄마의 부재를 모방하고 동일시하려고 한다. "본디 바람"인 엄마는 가끔 태풍이 되어 화자의 깊숙한 곳까지 들어와 뒤집어 놓기도 하고 혈관 구석구석 돌아다니다가 발 밑 허공, 그 너머까지도 가게 만든다. 바람처럼, 엄마처럼 몸뚱이를 어디에 둘지 몰라 툭하면 사라진다. 세계와 관계를 맺지 못하고 자신의 몸조차도 낯설 때가 많다.
부모의 결핍이 고스란히 아이의 고통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는 시다. 엄마의 부재처럼 마음의 상처는 사라지지 않겠지만 그래도 그 결핍을 누군가에게 말할 수 있다면, 들어주는 누군가가 있다면 아마도 아이는 존재를 인정받고 "나"는 "나"로 자리를 회복해 가지 않을까 싶다.
이 시를 쓴 정유경 시인은 사십 년째 영월 연하리에서 돌봄운영체를 운영하며 기꺼이 그런 아이들의 엄마가 되어주었다. 정작 본인은 결혼을 안 했지만 결혼 시켜 찾아오는 자식은 많다. 그래서 행복하다는 분이다. 누구에게나 자기만의 결핍은 존재한다. 그것은 지워야 할 것이 아니라 모두 함께 이겨나가야 할 삶의 필요조건 같다는 생각을 해본다.
어향숙 시인은 강원도 속초에서 태어나 '김유정 신인문학상'(2016)을 받았다. 시집으로 《낯선 위로가 눈물을 닦아주네》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