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새책] 윤석열 정권의 몰락을 철학적으로 조망한 《빛의 혁명과 반혁명 사이》
  • 정해든
  • 등록 2025-01-13 14:44:43

기사수정

박구용 지음 / 시월 / 18,000원


철학자 박구용 교수가 한국 현대사의 격동기를 철학적 시선으로 분석한 《빛의 혁명과 반혁명 사이》가 시월에서 출간됐다.


윤석열 정권의 탄생과 몰락, 그리고 2024년 12월 3일 발생한 '내란 사태'를 중심으로 대한민국의 과거와 현재를 성찰하고, 미래를 설계하기 위한 철학적 비전을 제시한다. 


박 교수는 철학이란 단순히 학문적 담론에 머무르지 않고, 시대를 품고 있는 사건을 사상과 개념으로 해석하고 비판하며 사회적 변화를 이끄는 실천적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자유에 대해 '윤석열의 자유'가 부른 비극에 주목하며 현재 우리 사회의 자유는 어떤지 살핀다.


1부에서는 12·3 내란 사태와 윤석열 대통령 탄핵 가결까지 사건들을 다룬다. 박 교수는 한나 아렌트의 '악의 평범성' 개념을 빌려 윤석열 정권과 그 부역자들의 행위를 분석하며, 이들이 어떻게 한국 현대사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한 반혁명의 흐름을 대표하게 됐는지 설명한다.


2부에서는 윤석열 정권이 보여준 주요 정치적 사건들을 철학적으로 해부한다. 법률주의와 법치주의 간의 혼동, 공론장의 파괴, 그리고 자유라는 개념의 왜곡을 지적하며, 윤석열 대통령이 메타인지 부족과 인지부조화로 어떤 비극적 결과를 초래했는지 분석한다.


3부에서는 윤석열 탄핵 이후 한국 사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한다. 제7공화국으로 나아가기 위한 정치·사회적 과제를 논하며, 혐오와 대립을 넘어 우정과 연대의 정치를 구축하는 방법을 모색한다.


이 책은 단순히 윤석열 정권을 비판하는 데 그치지 않는다. 한국 현대사의 반복되는 혁명과 반혁명의 역사를 돌아보며, 우리가 어떤 선택을 해야 더 나은 미래로 나아갈 수 있는지를 탐구한다.


저자 박구용은 전남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뷔르츠부르크대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전남대 철학과 교수로 더불어민주당 교육연수원장을 맡고 있다. 《자유의 폭력》 《문파, 새로운 주권자의 이상한 출현》 《아토포스 광주》 《우리 안의 타자》 《부정의 역사 철학》 등을 썼다.


관련기사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이슈픽] 강선우 의원 '보좌관 갑질' 논란···야당 "사퇴해야" vs 여당 "충실히 소명"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보좌관 갑질' 논란의 중심에 섰다. 문제를 제기한 보좌진들은 "자택 쓰레기 분리수거, 변기 수리 등 사적 지시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5년간 46명이 의원실을 떠났다"며 이례적인 인사 교체가 갑질의 방증이라는 목소리도 높다."변기 수리·쓰레기 분리수거까지"…...
  2.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가족 집에 들어서면 대문 옆에 헛간이 서고처럼 서 있는데 처마 끝에 도서 대여목록 카드처럼 여섯 자루의 호미가 꽂혀 있다. 아버지 호미는 장시간 반납하지 않은 책처럼 한번 들고 나가면 며칠씩 밤새고 돌아온다. 산비탈을 다듬는지 자갈밭을 일구는지 듬성듬성 이가 빠져 자루만 조금 길면 삽에 가까운 호미, 그 옆에 어머니 호미는 가장 많...
  3.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바이킹 선장은 낡은 군복을 입고 담배를 문 채로그냥 대충 타면 된다고 했다두려운 게 없으면 함부로 대한다망해가는 유원지는 이제 될 대로 되라고배를 하늘 끝까지 밀어 올렸다모터 소리와 함께 턱이 산에 걸렸다쏠린 피가 뒤통수로 터져 나올 것 같았다원래는 저기 저쪽 해 좀 보라고 여유 있는 척좋아한다고 외치려 했는데으어어억 하는 사이 .
  4. [이슈픽] 국무회의 첫 생중계에 쏠린 시선···"투명성 강화" vs "긍적적 평가할 뻔" "국민이 정책 논의 과정을 볼 권리가 있다."2025년 7월 29일, 이재명 대통령이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국무회의 전 과정을 국민 앞에 생중계했다. 대통령의 모두발언만 공개되던 관행을 깨고, 1시간 20분 동안 주요 현안에 대한 장관들과의 실시간 토론까지 국민에게 여과 없이 공개했다.정치권의 엇갈린 반응: "투명성 강화" vs...
  5. [새책] 일과 자유, 삶의 품위를 묻는《나는 북경의 택배기사입니다》···현재를 희생하며 꿈꾸는 노동자들의 삶 택배기사, 물류센터 상하차, 패스트푸드 배달, 주유소 직원, 쇼핑몰 경비원, 온라인 쇼핑몰 창업 등 현장에서 일하며 인간의 품위와 자유를 고민한 한 청년의 기록이 있다. 고된 노동 속에서 마법 같은 순간을 발견하고 글쓰기를 하며 성장하는 이야기다. 월북에서 일하는 이들의 기쁨과 슬픔을 기록한 《나는 북경의 택배기사입니다》를 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