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김주성의 한시 한 편] 두보의 춘망(春望)
  • 김주성 기자
  • 등록 2025-04-24 00:00:01
  • 수정 2025-05-08 07:25:15

기사수정
  • - 시절을 생각하니 꽃을 보아도 눈물 흐르고

당현종과 양귀비: 당나라 예종의 3남인 이융기는 710년, 25살 때 정변을 일으켜 폐위되었던 부황을 복위시켰다. 형의 양보로 황태자가 되었고, 27살 생일에 아버지가 제위를 물려주어 황제에 오르니 이 사람이 당나라 6대 황제 현종(玄宗. 712~756 재위 )이다. 약 25년 동안 새벽부터 밤까지 국정을 살피며 태평성대를 이루어, 후세에 연호를 따서 '개원(開元)의 치'세(治世)라 부를 정도로 모범인 임금이었다.

그러나, 그도 나이를 먹으면서 느슨해지고 간신배를 등용하고 정치는 혼탁해진다. 737년 황후가 죽고 나서 며느리 양옥환을 양귀비로 만들고, 그녀의 오빠인 양국충을 승상에 올리고, 나라는 더욱 혼란해진다. 

747년, 변방을 지키는 절도사 안록산이 장안으로 오자, 성대한 잔치를 베풀었다. 안록산은 현종과 양귀비의 총애를 받고, 양귀비의 수양아들이 되었다. 29살의 양귀비는 59살의 늙은 현종 대신 44살의 젊고 체구가 우람한 안록산을 사랑하게 되었다.

안록산 사사명의 난: 755년 12월부터 763년 2월에 걸쳐 절도사 안록산이 난을 일으켰고, 부하인 사사명과 그 자녀들이 이어간 큰 반란이다. 안사(安史)의 난, 천보(天寶)의 난이라고도 하며,  9년간 지속되었다. 이 기간 동안 당나라의 인구는 3600만명이나 줄었고,  장안(長安)은 황폐해진다.

두보는 반란 소식을 듣고 수도로 가다 반란군에게 붙잡혀 장안으로 압송되지만, 관직이 말단이라 감옥살이는 오래 하지 않고 곧 풀려난다. 그 이듬해 3월 46살 무렵, 두보(杜甫, 712~770)는 <춘망>이라는 시를 짓는다. 


春望 춘망(봄에 바라본다, 봄의 소망)


               

國破山河在  국파산하재

城春草木深  성춘초목심

感時花濺淚  감시화천루

恨別鳥驚心  한별조경심


烽火連三月  봉화연삼월

家書抵萬金  가서저만금

白頭搔更短  백두소갱단

渾欲不勝簪  혼욕불승잠


나라는 깨졌어도 산하는 그대로이고,

성에는 봄이 와 초목이 무성하도다.

시절을 감상하니 꽃을 보아도 눈물 흐르고,

한스러운 이별에 새소리에도 놀라네.


봉화불은 석 달째 이어지니,

집에서 온 편지는 만금보다 소중하고,

(흰 머리칼 나면 가렵다는데) 흰 머리 긁으니 더 짧아져,

다 끌어 모아도 비녀가 꽂아지질 아니하네.

관련기사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이슈픽] 강선우 의원 '보좌관 갑질' 논란···야당 "사퇴해야" vs 여당 "충실히 소명"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보좌관 갑질' 논란의 중심에 섰다. 문제를 제기한 보좌진들은 "자택 쓰레기 분리수거, 변기 수리 등 사적 지시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5년간 46명이 의원실을 떠났다"며 이례적인 인사 교체가 갑질의 방증이라는 목소리도 높다."변기 수리·쓰레기 분리수거까지"…...
  2.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가족 집에 들어서면 대문 옆에 헛간이 서고처럼 서 있는데 처마 끝에 도서 대여목록 카드처럼 여섯 자루의 호미가 꽂혀 있다. 아버지 호미는 장시간 반납하지 않은 책처럼 한번 들고 나가면 며칠씩 밤새고 돌아온다. 산비탈을 다듬는지 자갈밭을 일구는지 듬성듬성 이가 빠져 자루만 조금 길면 삽에 가까운 호미, 그 옆에 어머니 호미는 가장 많...
  3.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바이킹 선장은 낡은 군복을 입고 담배를 문 채로그냥 대충 타면 된다고 했다두려운 게 없으면 함부로 대한다망해가는 유원지는 이제 될 대로 되라고배를 하늘 끝까지 밀어 올렸다모터 소리와 함께 턱이 산에 걸렸다쏠린 피가 뒤통수로 터져 나올 것 같았다원래는 저기 저쪽 해 좀 보라고 여유 있는 척좋아한다고 외치려 했는데으어어억 하는 사이 .
  4. [이슈픽] 국무회의 첫 생중계에 쏠린 시선···"투명성 강화" vs "긍적적 평가할 뻔" "국민이 정책 논의 과정을 볼 권리가 있다."2025년 7월 29일, 이재명 대통령이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국무회의 전 과정을 국민 앞에 생중계했다. 대통령의 모두발언만 공개되던 관행을 깨고, 1시간 20분 동안 주요 현안에 대한 장관들과의 실시간 토론까지 국민에게 여과 없이 공개했다.정치권의 엇갈린 반응: "투명성 강화" vs...
  5. [새책] 일과 자유, 삶의 품위를 묻는《나는 북경의 택배기사입니다》···현재를 희생하며 꿈꾸는 노동자들의 삶 택배기사, 물류센터 상하차, 패스트푸드 배달, 주유소 직원, 쇼핑몰 경비원, 온라인 쇼핑몰 창업 등 현장에서 일하며 인간의 품위와 자유를 고민한 한 청년의 기록이 있다. 고된 노동 속에서 마법 같은 순간을 발견하고 글쓰기를 하며 성장하는 이야기다. 월북에서 일하는 이들의 기쁨과 슬픔을 기록한 《나는 북경의 택배기사입니다》를 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