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김주성의 한시 한 편] 왕유(王維)의 <송원이사안서>
  • 김주성 기자
  • 등록 2025-05-08 01:33:40
  • 수정 2025-07-18 13:28:57

기사수정
  • - 당나라 시대의 송별시 '양관3첩'

부처님오신날을 맞아 중국의 시인들 가운데 시불(詩佛)이라 불리는 왕유의 시 '송원이사안서(送元二使安西)'를 소개한다. 시의 부처님 왕유를 시불(詩佛), 인간을 뛰어넘는 신선의 세계인 이백을 시선(詩仙), 시의 성인인 두보를 시성(詩聖), 신화와 귀신 시를 많이 쓴 이하를 시귀(詩鬼)라 부른다.(출생순) 

 

왕유(王維, 699~759)는 중국 성당(盛唐)의 관리이자 시인, 화가이다. 수묵산수화에도 뛰어나 남종문인화의 창시자로 추앙받는다. 자(字)는 마힐(摩詰)이다. 

불교 신자였던 어머니의 영향으로 불교에 심취했고, 나이가 들어서는 출가하고자 하였으나 황제 숙종이 허락하지 않아 뜻을 이루지는 못했다. 마힐은 불교《유마경(維摩經)》의 주인공인 유마힐(維摩詰)의 이름에서 따온 것인데, 성명과 자(字)를 붙이면 '왕 유마힐'이 된다. 

비슷한 시대를 산 인물로 맹호연(689~740), 이백(701~762), 안진경(709~785), 두보(712~770)가 있다. 작품으로는 구월구일억산동형제, 죽리관, 임고대, 녹채, 산중, 송춘사 등이 있다.

 

왕유의 시 가운데 가장 유명한 이 시 제목을 의역하면 '변경지방인 안서땅으로 가는 원이를 아쉬워하면서 떠나보낸다' 정도다. 중국의 많은 송별시 가운데서도 자주 애송되는 시인데 '위성곡(渭城曲)'이라고도 부른다. 또한 헤어짐이 아쉬우니까 예로부터 '양관'이 들어가는 마지막 구절을 세 번 불렀다 해서 '양관삼첩(陽關三疊)'이라고도 불린다. 드라마 <허준>에서 전광렬 배우가 과거보러 가는 길 주막집에서 다른 선비들과 이 대목에 대해서 논쟁하는 장면이 나온다. 

7언절구이며, 운자()는 塵(진), 新(신), 人(인)이다. 

 

送元二使安西 (송 원이 사 안서)

 

渭城朝雨浥輕塵하니   위성조우 읍경

客舍靑靑柳色新이라   객사청청 류색

勸君更進一杯酒하니   권군갱진 일배주

西出陽關無故人이라   서출양관 무고 (3창)

 

      원이를 안서로 보내며


위성에 아침비 내려 가벼운 먼지 적시니 

객사의 푸른 버들 더욱 푸르구나. 

그대에게 권하노니 한 잔 더 들게

서쪽 양관 땅에 나가면 벗이 없을 테니…

 

<참고>

당(唐)나라는 크게 네 시기로 구분된다. 초당(初唐): 제국의 기초.   

성당(盛唐): 713년 ~765년. 당나라 전성기. 중당(中唐): 쇠퇴기 시작. 만당(晩唐): 쇠퇴/쇠락기. 

元二(원이): 원씨 성(姓)의 동족 중에서 같은 항렬(行列)의 둘째 형제. 

安西(안서): 지금의 신강성(新疆省). 신장. 변경 지방.

渭城(위성): 진(秦)나라의 수도 함양(咸陽)을 한대(漢代)에는 위성이라 불렀다. 당(唐)나라 수도 장안(長安)의 북쪽에 있어서, 서역(西域)으로 가는 사람을 여기서 전별했다. 

(버들 류): 중국인들은 작별할 때 길 떠나는 사람에게 버드나무 가지를 꺾어주는 풍습이 있다. 그래서 버들은 작별, 헤어짐을 상징한다. 버드나무 가지를 꺾는다를 한자로 쓰면 절류((折柳), 절양((折楊)인데, 이별을 나타낸다. 楊 버들 양.

陽關(양관): 감숙성(甘肅省) 돈황 서남방에 있는 관문(關門). 서역으로 통하는 관문 중 가장 서쪽 변방에 위치한 관문이다. 위성에서 양관까지는 약 1,400㎞이고, 양관에서 안서까지는 약 500㎞로 사막이 펼쳐져 있다. 

故人(고인): 오랫동안 사귀어 온 친구. 아는 사람.

관련기사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이슈픽] 강선우 의원 '보좌관 갑질' 논란···야당 "사퇴해야" vs 여당 "충실히 소명"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보좌관 갑질' 논란의 중심에 섰다. 문제를 제기한 보좌진들은 "자택 쓰레기 분리수거, 변기 수리 등 사적 지시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5년간 46명이 의원실을 떠났다"며 이례적인 인사 교체가 갑질의 방증이라는 목소리도 높다."변기 수리·쓰레기 분리수거까지"…...
  2. [이슈픽]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이언주의 허가제 vs 주진우의 신고제 외국인 부동산 투기가 이슈로 떠오르면서 여야 의원들이 잇따라 관련 법안을 발의했다. 특히 중국인의 국내 주택 소유 비율이 절반을 넘어서면서 규제 강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이언주·주진우 의원,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 경쟁 발의7월 9일 이언주 민주당 의원이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을 발의했다. 법안의 핵심은 ...
  3.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가족 집에 들어서면 대문 옆에 헛간이 서고처럼 서 있는데 처마 끝에 도서 대여목록 카드처럼 여섯 자루의 호미가 꽂혀 있다. 아버지 호미는 장시간 반납하지 않은 책처럼 한번 들고 나가면 며칠씩 밤새고 돌아온다. 산비탈을 다듬는지 자갈밭을 일구는지 듬성듬성 이가 빠져 자루만 조금 길면 삽에 가까운 호미, 그 옆에 어머니 호미는 가장 많...
  4.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바이킹 선장은 낡은 군복을 입고 담배를 문 채로그냥 대충 타면 된다고 했다두려운 게 없으면 함부로 대한다망해가는 유원지는 이제 될 대로 되라고배를 하늘 끝까지 밀어 올렸다모터 소리와 함께 턱이 산에 걸렸다쏠린 피가 뒤통수로 터져 나올 것 같았다원래는 저기 저쪽 해 좀 보라고 여유 있는 척좋아한다고 외치려 했는데으어어억 하는 사이 .
  5. [이슈픽] 국무회의 첫 생중계에 쏠린 시선···"투명성 강화" vs "긍적적 평가할 뻔" "국민이 정책 논의 과정을 볼 권리가 있다."2025년 7월 29일, 이재명 대통령이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국무회의 전 과정을 국민 앞에 생중계했다. 대통령의 모두발언만 공개되던 관행을 깨고, 1시간 20분 동안 주요 현안에 대한 장관들과의 실시간 토론까지 국민에게 여과 없이 공개했다.정치권의 엇갈린 반응: "투명성 강화" vs...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