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수박
  • 어향숙 시인
  • 등록 2025-06-28 23:56:05
  • 수정 2025-06-30 09:41:14

기사수정


한눈을 팔았는데
어둠의 몸속에 들어와 있었다
쏟아지는 세상을 피하려
발을 더 디밀어 넣었는데
서랍들이 들어찬 지하 동굴이었다
곰팡이 슨 역사 뭉치와 오래된 자유와 시든 신념
반 열린 추억이 들끓는
시詩 창고에 갇혀버렸다

영영 꿈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고
허우적이며 읽고 던지고, 쓰고 던지고,
홀로 던지고, 슬프고 던지고, 쓸쓸한 지경
던지고, 적막을 던지고, 다시 읽고
던지고, 다시 쓰고 던지고

그리고,
외로웠다

평생 밖을 욕망했는데
아뿔싸, 나를 가둔 강박으로

단단한 무덤이 완성되었다.

 

-김명원 시인의 시 '수박' 전문

 


김명원 시인의 시집 《오르골 정원》 에 실려 있는 시다.


시에서 "수박"은 우리가 요즘 즐겨 먹는 과일과 붙잡아 묶는다는 "수박囚縛"으로 중첩되어 읽힌다. 그렇다면 "시詩"는 "씨"를 말하겠다. 겉에서 보면 보이지 않지만 그것은 창조적 잠재성을 나타낸다.

쏟아지는 세상을 피하려 발을 디민 곳이 "시詩창고", 지하동굴이다. 동굴은 외부와 분리된 폐쇄 공간이다. 자신만의 고독을 뜻하는 내면의 밀실이기도 하다. 평생 그곳을 빠져나와 광장으로 나가기를 욕망했지만 영영 그 "시詩창고"에서 빠져나오지 못한다. 읽고 쓰고 던지고 다시 쓰기를 반복한다. 속이 까맣게 될 때까지. 역설적으로 표현하자면 "단단한 무덤이 완성될" 때까지. 물론 수박의 붉은 피가 다시 쓰게하는 원동력이 되어준다.

화자가 시에 대해 얼마나 욕망하는지, 얼마나 외롭게 싸워 왔는지, 또 앞으로 죽을 때까지 얼마나 치열하게 쓸 것인지 감히 느껴진다. 질문하는 힘이 너무 커서 그 자체가 에너지 되어 전율하며 읽게 된다.

덧붙이는 글

어향숙 시인은 강원도 속초에서 태어나 '김유정 신인문학상'(2016)을 받았다. 시집으로 《낯선 위로가 눈물을 닦아주네》가 있다.

관련기사
TAG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이슈픽] 강선우 의원 '보좌관 갑질' 논란···야당 "사퇴해야" vs 여당 "충실히 소명"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보좌관 갑질' 논란의 중심에 섰다. 문제를 제기한 보좌진들은 "자택 쓰레기 분리수거, 변기 수리 등 사적 지시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5년간 46명이 의원실을 떠났다"며 이례적인 인사 교체가 갑질의 방증이라는 목소리도 높다."변기 수리·쓰레기 분리수거까지"…...
  2. [이슈픽]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이언주의 허가제 vs 주진우의 신고제 외국인 부동산 투기가 이슈로 떠오르면서 여야 의원들이 잇따라 관련 법안을 발의했다. 특히 중국인의 국내 주택 소유 비율이 절반을 넘어서면서 규제 강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이언주·주진우 의원,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 경쟁 발의7월 9일 이언주 민주당 의원이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을 발의했다. 법안의 핵심은 ...
  3.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가족 집에 들어서면 대문 옆에 헛간이 서고처럼 서 있는데 처마 끝에 도서 대여목록 카드처럼 여섯 자루의 호미가 꽂혀 있다. 아버지 호미는 장시간 반납하지 않은 책처럼 한번 들고 나가면 며칠씩 밤새고 돌아온다. 산비탈을 다듬는지 자갈밭을 일구는지 듬성듬성 이가 빠져 자루만 조금 길면 삽에 가까운 호미, 그 옆에 어머니 호미는 가장 많...
  4.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바이킹 선장은 낡은 군복을 입고 담배를 문 채로그냥 대충 타면 된다고 했다두려운 게 없으면 함부로 대한다망해가는 유원지는 이제 될 대로 되라고배를 하늘 끝까지 밀어 올렸다모터 소리와 함께 턱이 산에 걸렸다쏠린 피가 뒤통수로 터져 나올 것 같았다원래는 저기 저쪽 해 좀 보라고 여유 있는 척좋아한다고 외치려 했는데으어어억 하는 사이 .
  5. [이슈픽] 국무회의 첫 생중계에 쏠린 시선···"투명성 강화" vs "긍적적 평가할 뻔" "국민이 정책 논의 과정을 볼 권리가 있다."2025년 7월 29일, 이재명 대통령이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국무회의 전 과정을 국민 앞에 생중계했다. 대통령의 모두발언만 공개되던 관행을 깨고, 1시간 20분 동안 주요 현안에 대한 장관들과의 실시간 토론까지 국민에게 여과 없이 공개했다.정치권의 엇갈린 반응: "투명성 강화" vs...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