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이재용의 시시각각] 다시 돌아온 빛, '광복'···'민의 혁명'이 '빛의 혁명'으로 발현
  • 이재용
  • 등록 2025-08-13 00:00:02

기사수정
  • - 일제에 맞선 '맨손의 역사'가 '3·1 정신'
  • - 의병장 고광순, 태극기에 '불원복' 새겨 '국권 회복' 의미 확인

이제 곧 광복절이다. 제국주의 일본의 식민지에서 벗어난 지 80년을 맞이한 대한민국의 성과가 돌올하다. 지난해와 지지난해, 독립과 자존의 정신을 왜곡된 역사관으로 광복의 의미를 무시한 정부 때문에 씁쓸한 마음이 컸다. 


올해 국가보훈부는 전야제를, 독립기념관은 문화행사를, 지난해 이례적으로 정부 행사 불참을 선언했던 광복회는 광복대행진을 준비하며 80주년을 맞이하고 있다. 잃어버린 광복절을 다시 찾은 듯하다.


이 기회에 광복(光復)의 뜻풀이를 알아보았다. 광복이라는 단어의 계보를 정리하고, 간단하게나마 그 의미를 되새겨 올해 돌아온 광복절의 의미를 강조하고 싶다.


광은 '빛'이고, 복은 '돌아온다'는 뜻이다. 빛의 반대는 어둠이니 돌아온 빛은 어둠의 시절을 이길 힘의 표상이다. 


빛은 밝음만이 아니라 따듯함도 지니고 있으니 추위 역시 그 대립항에 놓여 있다. 춥고 어두운 겨울을 이기고 봄이 돌아온다는 느낌이 말 자체에 완연하다. 이는 《주역》에서 찾은 '복'의 의미와 통한다.

12소식괘 응월도(十二消息卦應月圖) (《주역과 중국의학》하)

동양철학에서 역의 원리는 우주 운화의 원리와 상응하면서 절기의 배열과도 맞닿아 있다. 


보통은 24절기를 논하지만, 그중 절반인 12절기는 '우수-춘분-곡우-소만-하지-대서-처서-추분-상강-소설-동지-대한'이 해당된다.


《주역》에서 이에 해당하는 괘를 차례대로 늘어놓으면 '태-대장-쾌-건-구-둔-비-관-박-곤-복-임'이다. 음과 양이 조화를 이룬 '우수=태'에서 점차 양이 늘어나 여섯 자리를 모두 채우면 음의 기운이 밑에서 올라오면서 양 기운이 사라진다. 


'소만=건'이 양 기운의 극이고 '소설=곤'이 음 기운의 극이다. 역의 원리에 변화는 필수다. 양과 음의 극에 해당하는 절기에 모두 작을 소(小)를 붙여 끝없는 변화의 묘를 살렸다. 


복은 음 기운이 극성한 곤 이후에 따라붙어 양 기운을 하나 되살린다. 이 형상을 '돌아옴'으로 보았고, 괘의 상징적 표상 해석은 땅 밑에 우레가 있는 형태로 잡았다. 복의 절기는 동지다.


땅 밑의 우레라 하면 얼핏 '동토(凍土)에서 땅이 녹을 때 들린다'는 '땅우레'가 생각나기도 하는데, 하나의 양 기운이 땅을 녹일 정도는 아닐 테고 동지 섣달은 아직 엄동(嚴冬)임을 고려하면 이 해석은 미흡하다. 


중국 위나라 철학자 왕필(王弼)은 복을 "뿌리로 돌아가는 것(反本)"으로 보고 복괘의 모습을 "움직임이 땅 속에서 쉬고 있는 것(動息地中)"이라 풀이했다. 움직임이 실(實)하게 채워질 예감을 갖는 것에 가까워 보인다.


〈서괘전〉에서는 복괘를 《주역》에서 박탈한다는 의미의 박(剝)괘 다음에 온다는 점에 주목했다. 폭력적 박탈 후의 돌아옴이고, 세력을 필요로 하는 힘이다.


의병장 고광순의 불원복 태극기 (국가유산포털)

식민지 시대에 되찾으려 했던 빛(光)은 한민족이 돌아가고자 한 뿌리다. 


의병장 고광순은 태극기에 '불원복(不遠復)'이라 새겼다.(1907, 독립기념관 소장) '머지 않아 국권을 회복하겠다'는 의미다.


기미독립선언서 하단에는 '조선 건국 4252년'으로 서명해, 되찾으려는 국권의 소재가 단군 기원에 해당함을 밝혔다. 


1948년 제헌국회 첫 헌법에는 "기미 삼일운동으로 대한민국을 건립하여 (중략) 이제 민주독립국가를 재건한다"고 써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재건임을 간접적으로 제시했으며, 1987년의 헌법 개정에서 '임시정부의 법통'을 넣어 이를 명확히 했다.


내란 이후 어지러운 사태가 전개된 과정과 대조해 보니 뿌리가 빛이 됐다. 어두운 시대를 '민의 혁명'으로 싸운 '3·1 정신'과 맞닿아 있다. 무력으로 국민을 식민화하려는 세력에 맞선 맨손의 역사가 오늘날 '빛의 혁명'을 일구어냈다. 


광복절은 빛을 찾은 날이고, 광복의 정신은 뿌리로 돌아가려는 마음과 행동으로 그 빛을 성장시키는 동력이다. 다시, 광복절이 돌아왔다.

덧붙이는 글

참고 자료: 양력, 《주역과 중국의학(하)》(양력 지음/김충렬·홍원식 외 옮김/법인문화사/1995) 〈동지에 대한 단상〉(최원식), 《문학의 귀환》(창비, 2001), 《도올주역강해》(김용옥 지음/통나무/2022)

관련기사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이슈픽] 강선우 의원 '보좌관 갑질' 논란···야당 "사퇴해야" vs 여당 "충실히 소명"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보좌관 갑질' 논란의 중심에 섰다. 문제를 제기한 보좌진들은 "자택 쓰레기 분리수거, 변기 수리 등 사적 지시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5년간 46명이 의원실을 떠났다"며 이례적인 인사 교체가 갑질의 방증이라는 목소리도 높다."변기 수리·쓰레기 분리수거까지"…...
  2. 현대차, 수소전기차 '넥쏘' 부담 낮춘다···2년 충전비 지원·유예형 할부 현대자동차가 '넥쏘 이지 스타트 프로그램'을 내놓아 '디 올 뉴 넥쏘' 구매 부담을 낮춘다. '차량반납 유예형 할부'으로 월 납입금을 줄이고, '수소충전비 지원'으로 최대 240만 원을 지원한다.'차량반납 유예형 할부'는 차량가의 최대 50%를 중고차 잔가로 보장해 해당 금액을 유예하고, 나머지만 분할 납입하는 방...
  3.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바이킹 선장은 낡은 군복을 입고 담배를 문 채로그냥 대충 타면 된다고 했다두려운 게 없으면 함부로 대한다망해가는 유원지는 이제 될 대로 되라고배를 하늘 끝까지 밀어 올렸다모터 소리와 함께 턱이 산에 걸렸다쏠린 피가 뒤통수로 터져 나올 것 같았다원래는 저기 저쪽 해 좀 보라고 여유 있는 척좋아한다고 외치려 했는데으어어억 하는 사이 .
  4. [이슈픽] 국무회의 첫 생중계에 쏠린 시선···"투명성 강화" vs "긍적적 평가할 뻔" "국민이 정책 논의 과정을 볼 권리가 있다."2025년 7월 29일, 이재명 대통령이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국무회의 전 과정을 국민 앞에 생중계했다. 대통령의 모두발언만 공개되던 관행을 깨고, 1시간 20분 동안 주요 현안에 대한 장관들과의 실시간 토론까지 국민에게 여과 없이 공개했다.정치권의 엇갈린 반응: "투명성 강화" vs...
  5. [새책] 1920년대 신여성·모던걸 탐구한 《근대라는 외장》···일제강점기 근대가 추구한 외적·내적 변화와 미용 … "유튜버나 틱톡커와 같은 인플루언서들은 연예인만큼 유명하다. 아주 최근의 일이다. 1927년 문을 연 경성라디오방송국에는 당시 최첨단 방송을 이끌 상징적인 존재로 아나운서를 내세웠다. 여성 아나운서들은 '보브컷'이라 불리는 단발을 하며 패션과 유행을 주도한 셀러브리티였다."- 류수연 작가1920년대 경성은 식민지 근대...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