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새책] 《여신의 언어》···태초의 신이 여신?
  • 김광일 기자
  • 등록 2024-11-20 06:00:01

기사수정
  • - 《문학이 필요한 시간》작가 정여울 추천

마리야 김부타스 지음 / 고혜경 옮김 / 한겨레출판 / 75,000원

인류가 모권제 사회인 건 알고 있었는데 어떤 구조이며 남녀의 역할은 어땠을까. 태초의 신들은 정말 여신이었을까?


한겨레출판에서 《여신의 언어》를 복간했다. 저자 마리아 김부타스(Marija Gimbutas)는 원시 인류에서는 남녀가 평등하고 여신을 숭배하는 문화였다고 한다. 기원전 7000년경 ~ 기원전 3500년경 유물을 통해 '올드 유럽'(인도-유럽 문명 형성 이전의 유럽)의 여신전통문명과 그 후에도 명맥을 이어온 여신전통과 모계사회의 흔적들을 설명한다. 2000여 유물의 의미를 상징군으로 분류했다.


가부장제 확립 되기 전인 선사시대의 종교, 사회, 이데올로기, 문화를 밝혀낸 독보적이고 기념비적인 작품이다. 1989년 출간 당시 큰 반향을 일으킨 뒤 다양한 사상과 연구, 문화 콘텐츠에 영향을 미쳤다. 


하버드대에서 고고학 연구자로 첫발을 내디딘 김부타스는 당시 학내 유일한 여성 고고학자로 '전쟁'과 '지배'의 논리로 인류를 설명하는 관점에 회의를 느끼며 다른 질문을 품게 된다. "인류 역사에 전쟁은 정말 불가피했을까? 그 역사 속에 여성들은 어디에 있는가? 인류 문명 내내 남자가 여자를 지배했을까?"


선사시대(특히 신석기 시대까지) 신상의 90퍼센트는 여신상이다. 가장 오래된 인간 형상 조각상으로 알려진 빌렌도르프의 비너스상도 이 시기 유물이다. 


여신의 의미를 풍요와 다산으로만 한정해 온 그간의 논의와 달리 김부타스가 밝혀낸 땅과 달을 비롯한 자연 만물에 친연성을 갖는 이 시기 상징들의 주요 주제는 탄생과 죽음(파괴), 재탄생이다. 생명과 탄생도 중요한 테마지만, 모성으로만 여신의 힘을 설명하는 것은 당대의 여신성(여성성)을 축소 해석하는 관점이라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관련기사
TAG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이슈픽] 강선우 의원 '보좌관 갑질' 논란···야당 "사퇴해야" vs 여당 "충실히 소명"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보좌관 갑질' 논란의 중심에 섰다. 문제를 제기한 보좌진들은 "자택 쓰레기 분리수거, 변기 수리 등 사적 지시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5년간 46명이 의원실을 떠났다"며 이례적인 인사 교체가 갑질의 방증이라는 목소리도 높다."변기 수리·쓰레기 분리수거까지"…...
  2. [이슈픽]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이언주의 허가제 vs 주진우의 신고제 외국인 부동산 투기가 이슈로 떠오르면서 여야 의원들이 잇따라 관련 법안을 발의했다. 특히 중국인의 국내 주택 소유 비율이 절반을 넘어서면서 규제 강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이언주·주진우 의원,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 경쟁 발의7월 9일 이언주 민주당 의원이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을 발의했다. 법안의 핵심은 ...
  3.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가족 집에 들어서면 대문 옆에 헛간이 서고처럼 서 있는데 처마 끝에 도서 대여목록 카드처럼 여섯 자루의 호미가 꽂혀 있다. 아버지 호미는 장시간 반납하지 않은 책처럼 한번 들고 나가면 며칠씩 밤새고 돌아온다. 산비탈을 다듬는지 자갈밭을 일구는지 듬성듬성 이가 빠져 자루만 조금 길면 삽에 가까운 호미, 그 옆에 어머니 호미는 가장 많...
  4.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바이킹 선장은 낡은 군복을 입고 담배를 문 채로그냥 대충 타면 된다고 했다두려운 게 없으면 함부로 대한다망해가는 유원지는 이제 될 대로 되라고배를 하늘 끝까지 밀어 올렸다모터 소리와 함께 턱이 산에 걸렸다쏠린 피가 뒤통수로 터져 나올 것 같았다원래는 저기 저쪽 해 좀 보라고 여유 있는 척좋아한다고 외치려 했는데으어어억 하는 사이 .
  5. [이슈픽] 국무회의 첫 생중계에 쏠린 시선···"투명성 강화" vs "긍적적 평가할 뻔" "국민이 정책 논의 과정을 볼 권리가 있다."2025년 7월 29일, 이재명 대통령이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국무회의 전 과정을 국민 앞에 생중계했다. 대통령의 모두발언만 공개되던 관행을 깨고, 1시간 20분 동안 주요 현안에 대한 장관들과의 실시간 토론까지 국민에게 여과 없이 공개했다.정치권의 엇갈린 반응: "투명성 강화" vs...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