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새책] 《우리는 사랑 안에 살고 있다》… 밥 먹는 일상부터 관계 맺기까지
  • 김광일 기자
  • 등록 2024-11-25 06:00:02

기사수정
  • - 유준이네 첫 에세이
  • - 두 정신건강 전문의가 찾아낸 일상의 사랑
  • - 85만 구독자와 함께한 〈리쥬라이크〉 부부
  • 유혜주·조정연 지음 / 21세기북스 / 19,800원

  • 하루를 살아가기 위해 얼마나 많은 사랑이 필요할까. 매 순간 서로에 대한 이해와 배려가 없다면 우리는 어떻게 됐을까. 숨 쉬고 밥 먹는 일조차 누군가의 보살핌 없이는 불가능했을 우리의 삶이다.

  • 21세기북스에서 《우리는 사랑 안에 살고 있다》를 펴냈다. 정신분석 전문의 유혜주와 현직 정신건강의학과 의사 조정연이 일상 속 숨겨진 사랑의 흔적들을 찾아 나선다. 두 전문의의 시선으로 바라본 우리 삶의 이야기는 따뜻하면서도 통찰력이 깊다.

  • 이들이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 〈리쥬라이크〉는 구독자가  85만이다. 얼짱 출신 아내와 듬직한 남편, 사랑스러운 아들 유준이와 반려견 먹태까지. 평범하지만 특별한 일상을 기록하며 많은 이들의 공감을 얻었다.

  • 이들은 밥을 먹고, 잠을 자고, 일을 하는 일상부터 타인과 관계 맺는 순간까지 모든 것이 사랑으로 이뤄진다고 말한다. 우리가 미처 인식하지 못했던 일상 속 사랑의 순간들을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살펴본다.  인간관계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감정과 행동의 이면에 숨겨진 사랑의 본질을 파헤친다.

  • 1부에서 4부까지 만남, 결혼, 육아, 부모 됨이라는 인생의 큰 갈래를 따라간다. 소개팅으로 시작된 두 사람의 만남부터 부부가 되고 부모가 되기까지의 여정이 담겨있다. "이제 좀 아이 키우는 게 어떤 건지 알겠다 싶으면 또 다른 문제가 닥치고, 그 사이 아이는 조금씩 더 커간다"라는 저자의 고백처럼 삶은 늘 새로운 도전을 준다.

  • 나아가 저자들은 현대 사회에서 잊혀가는 사랑의 가치를 되새기며, 타인과의 건강한 관계 맺기 방법도 제시한다. 정신분석학을 기반으로 한 전문적 식견과 임상 경험을 바탕으로, 우리가 어떻게 더 나은 관계를 만들어갈 수 있는지 구체적인 방안을 보여준다.

  • "행복은 언제나 우리가 자신의 존재를 찾아주길 바라며 곁을 맴돈다"는 말은 지나온 모든 순간이 사랑으로 가득했음을 깨닫게 하고, 시간이 흘러 기억이 바래더라도 마음 한구석에 새겨진 사랑의 흔적들을 발견하게 한다.

  • 유혜주는 정신분석 전문의이자 소설가로, 《나는 왜 날 힘들게 하는가》 《감정은 패턴이다》 등을 썼다. 조정연은 강남세브란스병원에서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로 근무하고 있다.
관련기사
TAG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이슈픽] 강선우 의원 '보좌관 갑질' 논란···야당 "사퇴해야" vs 여당 "충실히 소명"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보좌관 갑질' 논란의 중심에 섰다. 문제를 제기한 보좌진들은 "자택 쓰레기 분리수거, 변기 수리 등 사적 지시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5년간 46명이 의원실을 떠났다"며 이례적인 인사 교체가 갑질의 방증이라는 목소리도 높다."변기 수리·쓰레기 분리수거까지"…...
  2.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가족 집에 들어서면 대문 옆에 헛간이 서고처럼 서 있는데 처마 끝에 도서 대여목록 카드처럼 여섯 자루의 호미가 꽂혀 있다. 아버지 호미는 장시간 반납하지 않은 책처럼 한번 들고 나가면 며칠씩 밤새고 돌아온다. 산비탈을 다듬는지 자갈밭을 일구는지 듬성듬성 이가 빠져 자루만 조금 길면 삽에 가까운 호미, 그 옆에 어머니 호미는 가장 많...
  3.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바이킹 선장은 낡은 군복을 입고 담배를 문 채로그냥 대충 타면 된다고 했다두려운 게 없으면 함부로 대한다망해가는 유원지는 이제 될 대로 되라고배를 하늘 끝까지 밀어 올렸다모터 소리와 함께 턱이 산에 걸렸다쏠린 피가 뒤통수로 터져 나올 것 같았다원래는 저기 저쪽 해 좀 보라고 여유 있는 척좋아한다고 외치려 했는데으어어억 하는 사이 .
  4. [이슈픽] 국무회의 첫 생중계에 쏠린 시선···"투명성 강화" vs "긍적적 평가할 뻔" "국민이 정책 논의 과정을 볼 권리가 있다."2025년 7월 29일, 이재명 대통령이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국무회의 전 과정을 국민 앞에 생중계했다. 대통령의 모두발언만 공개되던 관행을 깨고, 1시간 20분 동안 주요 현안에 대한 장관들과의 실시간 토론까지 국민에게 여과 없이 공개했다.정치권의 엇갈린 반응: "투명성 강화" vs...
  5. [새책] 일과 자유, 삶의 품위를 묻는《나는 북경의 택배기사입니다》···현재를 희생하며 꿈꾸는 노동자들의 삶 택배기사, 물류센터 상하차, 패스트푸드 배달, 주유소 직원, 쇼핑몰 경비원, 온라인 쇼핑몰 창업 등 현장에서 일하며 인간의 품위와 자유를 고민한 한 청년의 기록이 있다. 고된 노동 속에서 마법 같은 순간을 발견하고 글쓰기를 하며 성장하는 이야기다. 월북에서 일하는 이들의 기쁨과 슬픔을 기록한 《나는 북경의 택배기사입니다》를 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