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시아의 호모룩스(Homo Lux) 이야기] 코 없는 사자
  • 박정혜 교수
  • 등록 2024-12-09 00:00:01
  • 수정 2025-01-14 21:52:16

기사수정


 

냉혹한 사자가 있었다. 온갖 동물을 무자비하게 해치웠다. 그놈한테 당한 동물이 한둘이 아니었다. 살아남은 동물들의 원한이 숲을 뒤덮었다. 세월이 흘러 죽는 순간을 기다리는 사자한테 멧돼지가 다가와서 외쳤다. "원수를 갚아주마!" 그렇게 하면서 고작 한 것은 사자 코를 깨무는 거였다. 사자가 살려달라고 하며 산 아래로 굴러갔다. 지나가던 황소가 사자 코를 삼켜 버렸다. 나귀도 역시 원수를 갚아주겠다고 하며 사자를 발로 찼다. 겁에 질린 사자는 살려달라고 거푸 외치며 말했다. "지금은 옛날의 내가 아니오!" 그렇게 엎드려 비는 사자한테 나귀는 "그래, 나도 옛날의 내가 아니야"라고 말하고는 가버렸다. 

 

이승훈의 산문 시 '코 없는 사자'에 나오는 이야기다. 다양한 사유를 가진 '피해자'를 위한 절묘한 시다. 이 시가 어떻게 폭력이나 사기를 포함한 피해자들을 위한 시가 될 수 있을까? 숲속 동물들의 보복은 시시하다. 기껏 한다는 것이 코를 깨물거나 그 코를 삼켜버리거나 발로 찰 뿐이다. 사자가 했던 피비린내 나는 행태를 따라 하지 않는다. 한꺼번에 달려들어 사자를 무참하게 처치해버려야 하는 게 아닌가? 이토록 미약한 복수가 어디 있다는 말인가. 또 다른 시각에서 보자면, 이 시는 처한 상황과 다르다고 반박할지도 모른다. 가해자는 여전히 살기등등하고 늙고 힘이 빠진 사자가 아니며 반성 따위는 추호도 하지 않고 있으니 이 시와 들어맞지 않다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렇더라도 가해자는 인간의 탈을 썼으니 언젠가는 죽을 것이다. 이 세상에서 사라지긴 할 것이다. 육체를 벗을 때, 불가사의한 성찰이 이뤄질지도 모를 일이다. 그건 가해자의 몫이니 따질 계제가 아니다. 피해자 입장에서 찍어야 할 방점은 나귀의 말이다. "그래, 나도 옛날의 내가 아니야!"라는 구절 말이다. 그저 피눈물 흘리며 울분이 가득한 채 고통 속에 빠져 있던 과거의 내가 아니다. 견뎌내고 버텨낸 덕분에 할 수 있는 말이다. 세월에 진 것은 사자이지만, 세월을 이겨낸 것은 나귀다. 죽을 고비를 넘기고, 고난과 역경을 딛고 난 뒤에 비로소 얻게 된 것은 '영혼의 성장'이다. 

 

성숙한 내면을 가진 이들은 사자와 똑같은 방식으로 앙갚음하지 않는다. 치졸하게 애원하는 사자한테 발길질 한 번 하는 것으로 끝내고 만다. 그것은 그냥 발길질이 아니라 과거의 속박에서 벗어나는 기운이다. 오랫동안 원한을 안은 채 피폐하고 시들어간 마음의 활개를 펴는 순간이다. 기적 같은 치유를 위한 첫걸음은 어떻게 내디뎌야 할까? 그런 변화는 어디에서 시작할 수 있을까? 


나를 용서하는 것이다. 그 지경이 되도록 내쳐두었던 나한테 휘두르는 채찍질을 그만 거두는 것이다. 실수와 모순투성이인 나를 있는 그대로 보듬어주는 것이다. 오래 견뎌온 나한테 "괜찮아, 잘했어, 잘할 거야"라고 토닥토닥 해주는 것이다. 지독한 삶을 지극하게 버텨온 것만으로도 이렇게 말하고 들을 자격이 충분하다. 그러다 보면, 주어진 삶의 짐을 거뜬히 나르는 슬기롭고 겸손한 나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호모 룩스(HOMO LUX)는 빛으로서의 인간이다. 라틴어로 인간(HOMO)'와 빛(LUX)의 결합어다. 

 

* '호모룩스 이야기'는 치유와 결합한 시사와 심리, 예술과 문화에 대한 에세이다.

 

 

덧붙이는 글

박정혜 교수는 1급 정신보건전문요원, 1급 보육교사, 1급 독서심리상담사, 미술치료지도사, 문학치료사, 심상 시치료사다. 2006년 <시와 창작> 신인상, 2015년 <미래시학>신인상을 받았고 소설로는 2004년 <대한간호협회 문학상>, 2017년 <아코디언 북>에 당선됐다. 현재 심상 시치료 센터장으로 전주대 한국어문학과, 전주비전대 간호학과, 한일장신대 간호학과, 원광보건대 간호학과 겸임교수다.

관련기사
TAG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이슈픽] 강선우 의원 '보좌관 갑질' 논란···야당 "사퇴해야" vs 여당 "충실히 소명"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보좌관 갑질' 논란의 중심에 섰다. 문제를 제기한 보좌진들은 "자택 쓰레기 분리수거, 변기 수리 등 사적 지시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5년간 46명이 의원실을 떠났다"며 이례적인 인사 교체가 갑질의 방증이라는 목소리도 높다."변기 수리·쓰레기 분리수거까지"…...
  2.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가족 집에 들어서면 대문 옆에 헛간이 서고처럼 서 있는데 처마 끝에 도서 대여목록 카드처럼 여섯 자루의 호미가 꽂혀 있다. 아버지 호미는 장시간 반납하지 않은 책처럼 한번 들고 나가면 며칠씩 밤새고 돌아온다. 산비탈을 다듬는지 자갈밭을 일구는지 듬성듬성 이가 빠져 자루만 조금 길면 삽에 가까운 호미, 그 옆에 어머니 호미는 가장 많...
  3.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바이킹 선장은 낡은 군복을 입고 담배를 문 채로그냥 대충 타면 된다고 했다두려운 게 없으면 함부로 대한다망해가는 유원지는 이제 될 대로 되라고배를 하늘 끝까지 밀어 올렸다모터 소리와 함께 턱이 산에 걸렸다쏠린 피가 뒤통수로 터져 나올 것 같았다원래는 저기 저쪽 해 좀 보라고 여유 있는 척좋아한다고 외치려 했는데으어어억 하는 사이 .
  4. [이슈픽] 국무회의 첫 생중계에 쏠린 시선···"투명성 강화" vs "긍적적 평가할 뻔" "국민이 정책 논의 과정을 볼 권리가 있다."2025년 7월 29일, 이재명 대통령이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국무회의 전 과정을 국민 앞에 생중계했다. 대통령의 모두발언만 공개되던 관행을 깨고, 1시간 20분 동안 주요 현안에 대한 장관들과의 실시간 토론까지 국민에게 여과 없이 공개했다.정치권의 엇갈린 반응: "투명성 강화" vs...
  5. [새책] 일과 자유, 삶의 품위를 묻는《나는 북경의 택배기사입니다》···현재를 희생하며 꿈꾸는 노동자들의 삶 택배기사, 물류센터 상하차, 패스트푸드 배달, 주유소 직원, 쇼핑몰 경비원, 온라인 쇼핑몰 창업 등 현장에서 일하며 인간의 품위와 자유를 고민한 한 청년의 기록이 있다. 고된 노동 속에서 마법 같은 순간을 발견하고 글쓰기를 하며 성장하는 이야기다. 월북에서 일하는 이들의 기쁨과 슬픔을 기록한 《나는 북경의 택배기사입니다》를 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