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새책] 스페인 여정서 찾은 글쓰기의 열정 《나의 돈키호테를 찾아서》···김호연 에세이
  • 정해든
  • 등록 2025-03-19 00:00:01

기사수정

김호연 지음 / 푸른숲 / 18,000원누구든 지금 하고 있는 일을 포기하고 싶은 순간이 있다. 사람이 싫어서, 힘들어서, 대우가 좋지 않아서, 일이 뜻대로 되지 않아서 등. 꿈을 포기하지 않는 삶의 기쁨을 들어볼 수 없을까?


푸른숲에서 무명 시절 글쓰기에 대한 열정을 되찾은 김호연의 《나의 돈키호테를 찾아서》를 펴냈다.   


소설가 김호연이 스페인에서 머물며 무명작가 시절의 삶을 담았다. 돈키호테를 쫓으며 다시 글쓰기를 했고, 그 힘으로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작가가 됐다.


20년 동안 4편의 장편을 쓴 작가는 '글쓰기의 삶을 이제 그만둬야 하나' 의심이 들었고 생계를 위해 그만둬야겠다고 결심했다. 그리고 스페인 마드리드의 레지던스에서 3개월을 머물며 무작정 돈키호테를 파고 들었다.


그 속에서 스페인의 햇살과 문화유산 속에서 단골 카페를 만들고, 147번 버스를 타며 도시를 탐험했다. 


"모험을 지속하는 동안은 언제나 돈키호테일 것이고, 집필을 멈추지 않는 동안은 계속 소설가일 것"이라는 작가는 "나는 아직도, 여전히 글을 쓰고 싶구나"를 깨달았고 그 여정이 다시 그를 소설가로 만들어주었다.


그리고 나온 소설이 《불편한 편의점》이다. 작가의 순수함과 성실함이 담긴 이 책이 독자들에게 꿈을 향해 도전할 용기를 준다.


김호연은 2013년 《망원동 브라더스》로 세계문학상 우수상을 받으며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소설로는 《연적》 《고스트라이터즈》 《파우스터》 《불편한 편의점》 《나의 돈키호테》 등을, 산문집으로는 《매일 쓰고 다시 쓰고 끝까지 씁니다》 《김호연의 작업실》을 썼다.

관련기사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이슈픽] 강선우 의원 '보좌관 갑질' 논란···야당 "사퇴해야" vs 여당 "충실히 소명"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보좌관 갑질' 논란의 중심에 섰다. 문제를 제기한 보좌진들은 "자택 쓰레기 분리수거, 변기 수리 등 사적 지시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5년간 46명이 의원실을 떠났다"며 이례적인 인사 교체가 갑질의 방증이라는 목소리도 높다."변기 수리·쓰레기 분리수거까지"…...
  2.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가족 집에 들어서면 대문 옆에 헛간이 서고처럼 서 있는데 처마 끝에 도서 대여목록 카드처럼 여섯 자루의 호미가 꽂혀 있다. 아버지 호미는 장시간 반납하지 않은 책처럼 한번 들고 나가면 며칠씩 밤새고 돌아온다. 산비탈을 다듬는지 자갈밭을 일구는지 듬성듬성 이가 빠져 자루만 조금 길면 삽에 가까운 호미, 그 옆에 어머니 호미는 가장 많...
  3.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바이킹 선장은 낡은 군복을 입고 담배를 문 채로그냥 대충 타면 된다고 했다두려운 게 없으면 함부로 대한다망해가는 유원지는 이제 될 대로 되라고배를 하늘 끝까지 밀어 올렸다모터 소리와 함께 턱이 산에 걸렸다쏠린 피가 뒤통수로 터져 나올 것 같았다원래는 저기 저쪽 해 좀 보라고 여유 있는 척좋아한다고 외치려 했는데으어어억 하는 사이 .
  4. [이슈픽] 국무회의 첫 생중계에 쏠린 시선···"투명성 강화" vs "긍적적 평가할 뻔" "국민이 정책 논의 과정을 볼 권리가 있다."2025년 7월 29일, 이재명 대통령이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국무회의 전 과정을 국민 앞에 생중계했다. 대통령의 모두발언만 공개되던 관행을 깨고, 1시간 20분 동안 주요 현안에 대한 장관들과의 실시간 토론까지 국민에게 여과 없이 공개했다.정치권의 엇갈린 반응: "투명성 강화" vs...
  5. [새책] 일과 자유, 삶의 품위를 묻는《나는 북경의 택배기사입니다》···현재를 희생하며 꿈꾸는 노동자들의 삶 택배기사, 물류센터 상하차, 패스트푸드 배달, 주유소 직원, 쇼핑몰 경비원, 온라인 쇼핑몰 창업 등 현장에서 일하며 인간의 품위와 자유를 고민한 한 청년의 기록이 있다. 고된 노동 속에서 마법 같은 순간을 발견하고 글쓰기를 하며 성장하는 이야기다. 월북에서 일하는 이들의 기쁨과 슬픔을 기록한 《나는 북경의 택배기사입니다》를 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