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새책] AI 시대의 실용적 생존 가이드 《듀얼 브레인》
  • 정해든
  • 등록 2025-03-10 00:00:07

기사수정

이선 몰릭 지음 / 신동숙 옮김 / 상상스퀘어 / 21,000원


AI가 우리의 일자리를 대체할 것인가? AI를 어떻게 활용해야 할까? AI의 장밋빛 미래와 종말론을 넘어 AI와 함께 새로운 세상을 적응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상상스퀘어에서 AI가 우리의 직업과 삶에 미칠 영향을 분석한 《듀얼 브레인》을 펴냈다.


지난해 생성형 AI가 본격적으로 상용화되면서 세상에 엄청난 충격을 선사했다. 올해 미국 정부는 "AI 분야에 720조 원을 투자하겠다" 했고, 중국에서는 딥시크가 출시되며 AI 개발 전쟁에 뛰어들었다. 우리는 기대, 혼란, 설렘, 두려움, 기대감이 뒤섞인 역사 앞에 놓여 있다.


《듀얼 브레인》은 이러한 시기에 AI의 특성과 한계를 이해하고 이를 실용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AI의 가능성을 전문적인 시각에서 분석하며, AI와 함께하는 미래를 준비하는 데 필요한 통찰을 제공한다.


가장 궁금해 하는 것 중 하나가 '일자리 문제'다. "내 직업은 앞으로 어떻게 될까?" 사람들은 활용법을 배우면서도 위기의식을 느끼고 있다. AI에 관한 전문 지식뿐 아니라 경제, 산업, 교육에 대한 내공도 부족해서다.


저자 이선 몰릭은 "AI가 업무에는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지만, 직업 자체에는 큰 변화가 없을 것"이라며 AI 활용법으로 '켄타우로스'와 '사이보그' 시스템을 제안한다. 켄타우로스는 인간과 AI의 역할을 명확히 구분하는 방식이고, 사이보그는 AI와 함께 업무를 공동으로 진행하는 방식이다.


저자는 하버드대 졸업하고 MIT에서 MBA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펜실베이니아대 와튼 스쿨 부교수로 활동하며, AI와 교육의 융합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최근 경영학 분야에서 가장 많이 인용된 논문의 저자이기도 하다. 지난해 <타임> 선정 '인공지능 분야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중 한 명으로 AI 관련 뉴스레터도 꾸준히 발행하고 있다.


역자 신동숙은 고려대 영문과 대학원을 졸업했다. 《지식의 탄생》 《맥스웰몰츠 성공의 법칙》 《먹어서 병을 이기는 법》 《예민함이라는 선물》 등을 옮겼다.

관련기사
TAG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이슈픽] 강선우 의원 '보좌관 갑질' 논란···야당 "사퇴해야" vs 여당 "충실히 소명"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보좌관 갑질' 논란의 중심에 섰다. 문제를 제기한 보좌진들은 "자택 쓰레기 분리수거, 변기 수리 등 사적 지시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5년간 46명이 의원실을 떠났다"며 이례적인 인사 교체가 갑질의 방증이라는 목소리도 높다."변기 수리·쓰레기 분리수거까지"…...
  2. [이슈픽]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이언주의 허가제 vs 주진우의 신고제 외국인 부동산 투기가 이슈로 떠오르면서 여야 의원들이 잇따라 관련 법안을 발의했다. 특히 중국인의 국내 주택 소유 비율이 절반을 넘어서면서 규제 강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이언주·주진우 의원,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 경쟁 발의7월 9일 이언주 민주당 의원이 '외국인 부동산 투기 방지법'을 발의했다. 법안의 핵심은 ...
  3.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가족 집에 들어서면 대문 옆에 헛간이 서고처럼 서 있는데 처마 끝에 도서 대여목록 카드처럼 여섯 자루의 호미가 꽂혀 있다. 아버지 호미는 장시간 반납하지 않은 책처럼 한번 들고 나가면 며칠씩 밤새고 돌아온다. 산비탈을 다듬는지 자갈밭을 일구는지 듬성듬성 이가 빠져 자루만 조금 길면 삽에 가까운 호미, 그 옆에 어머니 호미는 가장 많...
  4.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바이킹 선장은 낡은 군복을 입고 담배를 문 채로그냥 대충 타면 된다고 했다두려운 게 없으면 함부로 대한다망해가는 유원지는 이제 될 대로 되라고배를 하늘 끝까지 밀어 올렸다모터 소리와 함께 턱이 산에 걸렸다쏠린 피가 뒤통수로 터져 나올 것 같았다원래는 저기 저쪽 해 좀 보라고 여유 있는 척좋아한다고 외치려 했는데으어어억 하는 사이 .
  5. [이슈픽] 국무회의 첫 생중계에 쏠린 시선···"투명성 강화" vs "긍적적 평가할 뻔" "국민이 정책 논의 과정을 볼 권리가 있다."2025년 7월 29일, 이재명 대통령이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국무회의 전 과정을 국민 앞에 생중계했다. 대통령의 모두발언만 공개되던 관행을 깨고, 1시간 20분 동안 주요 현안에 대한 장관들과의 실시간 토론까지 국민에게 여과 없이 공개했다.정치권의 엇갈린 반응: "투명성 강화" vs...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