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새책] 김영하의 사적이고 내밀한 질문 《단 한 번의 삶》···"어느새 끝을 향해 가고 있다"
  • 정해든 기자
  • 등록 2025-03-28 00:00:02

기사수정

김영하 지음 / 복복서가 / 16,800원


"삶을 들여다보면 문득 이상하게 느껴진다. 이토록 소중한 것의 시작 부분이 잘 기억나지 않는다. 시작은 모르는데 어느새 내가 거기 들어가 있었고, 어느새 살아가고 있고, 어느새 끝을 향해 가고 있다." -김영하



우리는 얼마나 서로를, 그리고 자신을 모르고 살아가는가. 내 앞에 놓인 삶을 어떻게 살아가야 할까. 자기 삶의 장면들을 기록해 보면 어떨까.


복복서가에서 김영하 작가가 유료 이메일 구독 서비스 '영하의 날씨'에 연재한 글을 묶은 《단 한 번의 삶》을 펴냈다. 작가의 가족사와 인생의 순간을 사유하며 독자들에게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게 한다. 


"원래 나는 '인생 사용법'이라는 호기로운 제목으로 원고를 쓰기 시작했다. 하지만 곧 내가 인생에 대해서 자신 있게 할 말이 별로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 내가 알고 있는 것은 그저 내게 '단 한 번의 삶'이 주어졌다는 것뿐"


어머니의 빈소에서 시작돼 알츠하이머로 돌아가신 어머니의 비밀을 밝히며 시작하는 이 책은 부모와의 관계, 유년기의 기억, 학창시절의 경험 등을 담백하고 직관적인 문체로 공유한다. 


인생이 '일회용'이라는 사실이 주는 불안과 불확실성을 정면으로 응시하며, 독자들에게도 같은 질문을 던집니다. '나는 어떻게 나 자신이 되었나?' 그리고 '이 단 한 번뿐인 삶을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


단순한 회고가 아니라, 독자들이 자신의 삶을 되새기게 만드는 서사적 경험을 제공해 사적이고 내밀한 공간으로 안내하는 책이다. 그리고 질문을 떠올리게 한다. 우리는 어떤 순간에 기대하고, 실망하고, 다시 길을 찾는가?


김영하는 1968년 강원도 화천에서 태어났다. 1995년 계간지 <리뷰>에 《거울에 대한 명상》을 발표하면서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문학동네 작가상, 황순원문학상, 이상문학상, 만해문학상 등을 받았다. 생으로 소설가. 소설로 《작별인사》 《살인자의 기억법》 《검은 꽃》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 《빛의 제국》 등을, 산문으로 《여행의 이유》 《오래 준비해온 대답》 《다다다》 등을 썼다. F. 스콧 피츠제럴드의 《위대한 개츠비》를 번역했다.

관련기사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이슈픽] 강선우 의원 '보좌관 갑질' 논란···야당 "사퇴해야" vs 여당 "충실히 소명"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보좌관 갑질' 논란의 중심에 섰다. 문제를 제기한 보좌진들은 "자택 쓰레기 분리수거, 변기 수리 등 사적 지시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5년간 46명이 의원실을 떠났다"며 이례적인 인사 교체가 갑질의 방증이라는 목소리도 높다."변기 수리·쓰레기 분리수거까지"…...
  2.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가족 집에 들어서면 대문 옆에 헛간이 서고처럼 서 있는데 처마 끝에 도서 대여목록 카드처럼 여섯 자루의 호미가 꽂혀 있다. 아버지 호미는 장시간 반납하지 않은 책처럼 한번 들고 나가면 며칠씩 밤새고 돌아온다. 산비탈을 다듬는지 자갈밭을 일구는지 듬성듬성 이가 빠져 자루만 조금 길면 삽에 가까운 호미, 그 옆에 어머니 호미는 가장 많...
  3.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바이킹 선장은 낡은 군복을 입고 담배를 문 채로그냥 대충 타면 된다고 했다두려운 게 없으면 함부로 대한다망해가는 유원지는 이제 될 대로 되라고배를 하늘 끝까지 밀어 올렸다모터 소리와 함께 턱이 산에 걸렸다쏠린 피가 뒤통수로 터져 나올 것 같았다원래는 저기 저쪽 해 좀 보라고 여유 있는 척좋아한다고 외치려 했는데으어어억 하는 사이 .
  4. [이슈픽] 국무회의 첫 생중계에 쏠린 시선···"투명성 강화" vs "긍적적 평가할 뻔" "국민이 정책 논의 과정을 볼 권리가 있다."2025년 7월 29일, 이재명 대통령이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국무회의 전 과정을 국민 앞에 생중계했다. 대통령의 모두발언만 공개되던 관행을 깨고, 1시간 20분 동안 주요 현안에 대한 장관들과의 실시간 토론까지 국민에게 여과 없이 공개했다.정치권의 엇갈린 반응: "투명성 강화" vs...
  5. [새책] 일과 자유, 삶의 품위를 묻는《나는 북경의 택배기사입니다》···현재를 희생하며 꿈꾸는 노동자들의 삶 택배기사, 물류센터 상하차, 패스트푸드 배달, 주유소 직원, 쇼핑몰 경비원, 온라인 쇼핑몰 창업 등 현장에서 일하며 인간의 품위와 자유를 고민한 한 청년의 기록이 있다. 고된 노동 속에서 마법 같은 순간을 발견하고 글쓰기를 하며 성장하는 이야기다. 월북에서 일하는 이들의 기쁨과 슬픔을 기록한 《나는 북경의 택배기사입니다》를 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