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자들에 따르면 예상한 폭염시대가 도래했다. 비단 올해만이 아니다. 짧은 장마가 끝나자마자 기다렸다는 듯 폭염이 도시를 점령하고 있다. 24시간을 딱히 나눌 것도 없다. 어느 곳이든 촌각을 따질 필요도 없다. 폭염은 모든 삶을 지배한다. 잠 못 든 늦은 밤 달아오른 몸을 일으킨다. 틀어 놓은 샤워기 밑에서 몸을 식힌다. 그러나 잠깐이다. 하물며 대낮은 어떠하겠는가? 견딜 수 없을 만큼 열기가 온몸을 휘감는다. 게다가 습도도 매우 높다. 흐르는 땀방울에 일상이 힘들 지경이다.
이 순간에도 폭염이 뒤덮은 거리를 내달리는 다양한 배달 노동자가 있다. 생활용품을 배달하는 배달 노동자, 음식을 배달하는 노동자, 이 모든 생활용품과 먹거리를 열기 속에서 만들어내는 노동자들도 있다. 특히 옥외 노동자들은 대단히 힘든 현장에 놓여 있다.
어제는 간혹 들르는 음식점에 앉아 주방을 들여다보았다. 열기에 얼굴이 붉어진 모습과 땀에 젖은 옷이 폭염의 강도를 증명하는 듯했다. 주방 안으로 쌓인 더운 열기가 밖으로 분출될 틈도 없이 불을 지펴야 음식을 만들 수 있으니 더위를 피할 방법이 없다. 고스란히 견디는 수밖에 없다. 지친 몸을 뉘어도 열대야는 또 숙면을 방해할 것이다. 모든 노동자는 이 여름에 닥친 폭염이 공포의 대상이다.
7월 8일 베트남 청년이 경북 구미의 건설현장에서 목숨을 잃었다. 겨우 스물셋이었다. 농장노동이 힘들어 건설노동으로 옮긴 첫 날이었다. 폭염으로 한국 노동자들은 오후 1시까지만 근무했지만 그 청년은 같은 처지의 외국인 노동자들과 오후 4시까지 일을 해야 했다.
또한, 7일과 10일 사이 택배 노동자 세 명도 장시간 폭염에 노출된 상태로 배달하다 사망했다. 한 명은 너무 힘들어 쉬겠다고 차 안에 들어갔는데 숨진 채 발견됐고, 한 명은 근무 중에 사망했고 한 명은 퇴근 직후 사망했다. 모두 휴식공간이나 휴게시간이 없는 상황에 폭염에 장시간 노출돼 희생됐다.
폭염 속에서 지속적으로 일을 해야 하거나 폭염을 피할 적절한 휴식 공간이 없는 사람들, 주거 공간이 폭염을 막을 수 없는 상황인 사람들에게 폭염은 극심한 더위가 아니라 생존의 문제다. 대부분 더위 때문이 아니라 폭염으로부터 생명을 지킬 환경(제도를 포함해)이 마련되지 않아 사망했다.
전국 평균기온이 31도를 넘기 시작한 6월 28일 이후 7월 8일까지 1,288명의 온열질환자가 발생했고 8명이 사망했다.(질병관리청. 7월 10일 발표) 온열질환자나 온열질환으로 사망한 사람들 대부분 폭염으로부터 벗어날 수 없는 조건에 놓인 사람들이었다.
폭염은 절대 평등하지 않다. 우리는 다시 한번 규정은 명쾌하지만 해법은 쉽지 않은 난제를 안게 된다. 헌법 제35조는 모든 국민은 건강하고 쾌적한 조건에서 생활할 권리를 가지며, 국가와 국민은 환경보전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규정한다.
24시간 폭염에 노출되는 삶이 쾌적한 삶이 아니라면 그런 환경에서 일하는 국민은 권리를 빼앗긴 것이다. 국가는 이들에게 쾌적한 삶을 보장해 줄 의무가 있다. 어떻게 할 것인가, 어떤 수단이 있는 것인가는 규정만큼 쉽지는 않다.
냉방시설 없는 환경에서 생활해야 하는 국민들 문제도 있다. 저소득층의 다섯 중 네 가구는 냉방시설이 없는 곳에서 살고 있다고 추정된다. 지난해 폭염으로 34명이 사망했고 온열질환 환자는 꾸준히 늘고 있다. 대책은 있을까.
이들에게 냉방시설을 갖추도록 지원하는 것 외에는 달리 방법이 없다. 많은 예산이 필요한 방법이며 설사 모든 가구에 설치한다 해도 그들이 에너지 비용을 감당할 수 없다. 엄청난 탄소배출도 문제다. 대안은 친환경 에너지를 사용할 환경을 만드는 것이다.
기후위기가 일상이 된 시대에 폭염과 장마 등 기후 재난은 더 자주 발생할 것이며 더 큰 영향을 줄 것이다.
분명한 것은 이러한 재난 앞에 배달·건설·주방·이주노동자 들은 헌법 35조가 보장하는 쾌적한 생활을 보장받지 못할 뿐더러 쾌적한 환경을 요구하는 것이 국민의 기본권인데도 제대로 요구하지 못하고 있다. 사람들이 방치되는 '불평등한 사회'가 사람들을 죽게 만들고 있다.
폭염을 포함한 기후 재난은 절대 평등하지 않다. 우리가 해결해야 할 수많은 불평등 중 가장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과제다. 모두가 쾌적한 환경에서 함께 살아가야 할 '동료 시민'이라 믿는다면 말이다.
마을기획 청년활동가 송형선은 사단법인]마중물 사무처장을 거쳐 현재 남동희망공간 사무국장을 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