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새책] 'AI 시대'의 자기주도학습법《나는 AI와 공부한다》
  • 정해든
  • 등록 2025-01-23 00:00:07

기사수정

살만 칸 지음 / 박세연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 / 25,000원


AI가 교육 현장을 어떻게 바꿀 수 있을까? AI는 교사를 대체할까, 아니면 보조할까? 학생과 학부모, 교사 모두에게 AI는 어떤 영향을 미칠까? 


RHK에서 AI 시대 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 《나는 AI와 공부한다》를 펴냈다. '칸아카데미' 설립자 살만 칸이 오픈AI와 협력해 개발한 AI 기반 학습 플랫폼 '칸미고(Khanmigo)'의 탄생 배경과 그 의미를 중심으로 AI 기술이 가져올 교육 혁명의 실체를 조명한다.


칸은 기존 교육 시스템의 한계를 지적하며, AI가 이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특히 '학습 공백' 문제를 강조한다. 기존 수업에서는 학생 개개인의 학습 속도를 반영하기 어려웠지만, AI 개인교사가 이를 보완한다는 것이다. 학생들에게 퀴즈를 내거나 질문을 던져 스스로 답을 찾도록 유도하며, 실시간 피드백을 제공해 자기 주도적 학습을 돕는다는 것이다.


AI가 교사를 대체할 것이라는 다수의 의견에 대해서는 "AI가 교사의 권위를 약화시키는 게 아니다. 반복적인 업무를 줄이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생 개개인의 학습 상황을 분석해 교사가 더욱 창의적이고 효과적인 수업을 진행하도록 돕는다"며 교사의 과로를 줄이고 학생들과의 소통과 정서적 지지를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본다.


칸은 기술이 모든 것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과 협력해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아이들이 AI를 더 똑똑하게 활용하도록 돕고 AI와 인간이 협력하는 새로운 교육 모델을 제시한다는 의미다.


살만 칸은 MIT에서 수학, 전기공학, 컴퓨터과학을 전공하고 하버드경영대학원에서 MBA를 취득한 후 칸아카데미를 설립했다. 사촌동생에게 수학을 가르치는 영상이 유튜브에서 수십억 조회를 기록하며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다. 2012년 <타임> 선정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100인'에 이름을 올렸다. 스쿨하우스와 칸 랩스쿨, 칸 월드스쿨을 설립했으며 《나는 공짜로 공부한다》를 썼다.


역자 박세연은 고려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글로벌 IT 기업에서 마케터와 브랜드 매니저로 활동한 후 번역가로 전향했다. 파주출판단지 번역가 모임 '번역인' 공동대표로 《어떻게 극단적 소수가 다수를 지배하는가》 《20%만 쓰는 연습》 《의미의 시대》 《죽음이란 무엇인가》 《건강의 뇌과학》 등을 옮겼다.


관련기사
TAG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이슈픽] 강선우 의원 '보좌관 갑질' 논란···야당 "사퇴해야" vs 여당 "충실히 소명"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보좌관 갑질' 논란의 중심에 섰다. 문제를 제기한 보좌진들은 "자택 쓰레기 분리수거, 변기 수리 등 사적 지시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5년간 46명이 의원실을 떠났다"며 이례적인 인사 교체가 갑질의 방증이라는 목소리도 높다."변기 수리·쓰레기 분리수거까지"…...
  2.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가족 집에 들어서면 대문 옆에 헛간이 서고처럼 서 있는데 처마 끝에 도서 대여목록 카드처럼 여섯 자루의 호미가 꽂혀 있다. 아버지 호미는 장시간 반납하지 않은 책처럼 한번 들고 나가면 며칠씩 밤새고 돌아온다. 산비탈을 다듬는지 자갈밭을 일구는지 듬성듬성 이가 빠져 자루만 조금 길면 삽에 가까운 호미, 그 옆에 어머니 호미는 가장 많...
  3.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바이킹 선장은 낡은 군복을 입고 담배를 문 채로그냥 대충 타면 된다고 했다두려운 게 없으면 함부로 대한다망해가는 유원지는 이제 될 대로 되라고배를 하늘 끝까지 밀어 올렸다모터 소리와 함께 턱이 산에 걸렸다쏠린 피가 뒤통수로 터져 나올 것 같았다원래는 저기 저쪽 해 좀 보라고 여유 있는 척좋아한다고 외치려 했는데으어어억 하는 사이 .
  4. [이슈픽] 국무회의 첫 생중계에 쏠린 시선···"투명성 강화" vs "긍적적 평가할 뻔" "국민이 정책 논의 과정을 볼 권리가 있다."2025년 7월 29일, 이재명 대통령이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국무회의 전 과정을 국민 앞에 생중계했다. 대통령의 모두발언만 공개되던 관행을 깨고, 1시간 20분 동안 주요 현안에 대한 장관들과의 실시간 토론까지 국민에게 여과 없이 공개했다.정치권의 엇갈린 반응: "투명성 강화" vs...
  5. [새책] 일과 자유, 삶의 품위를 묻는《나는 북경의 택배기사입니다》···현재를 희생하며 꿈꾸는 노동자들의 삶 택배기사, 물류센터 상하차, 패스트푸드 배달, 주유소 직원, 쇼핑몰 경비원, 온라인 쇼핑몰 창업 등 현장에서 일하며 인간의 품위와 자유를 고민한 한 청년의 기록이 있다. 고된 노동 속에서 마법 같은 순간을 발견하고 글쓰기를 하며 성장하는 이야기다. 월북에서 일하는 이들의 기쁨과 슬픔을 기록한 《나는 북경의 택배기사입니다》를 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