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새책] 《봉준호 영화들》 사회학적 상상력의 세계
  • 정해든
  • 등록 2025-03-25 00:00:01

기사수정
  • - 봉준호 영화의 사회학적 해석
  • - 한국 사회와 자본주의 체제의 반영
  • - 영화적 기법과 사회 비판

이남 지음 / 미메시스 / 25,000원봉준호의 영화가 어떻게 한국 사회와 세계적 자본주의 체제를 반영하고 있는가. 엔터테인먼트를 넘어 어떻게 사회적 메시지를 전달하는가.


미메시스에서 봉준호의 모든 영화를 분석해 그의 사회학적 상상력을 담은 《봉준호 영화들》을 펴냈다. 


영화 평론가 이남은 봉준호의 첫 장편영화 「플란다스의 개」부터 최근작 「미키 17」까지 그의 작품들이 한국 사회와 자본주의 체제에 어떻게 뿌리내리고 있는지를 밝힌다. 봉준호의 영화는 개인의 삶을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맥락에서 그려내며, 사회적 약자들의 어려움과 그들이 직면하는 문제를 묘사한다.


이남은 「살인의 추억」이 1980년대 군사 독재 정권의 맥락에서 형사들의 무능을 드러내며 사회학적 해석을 제시한다고 한다. 「괴물」은 한국의 식민지 시대 이후의 상황과 부패한 당국에 뿌리 둔 비극으로 묘사된다.


「플란다스의 개」와 「마더」에서는 주인공들의 도덕적 타락이 사회 경제적 조건에 의해 야기된 것으로 본다. 「설국열차」와 「옥자」는 신자유주의 자본주의의 문제를 고발하며, 「기생충」은 계급 양극화와 경쟁의 사다리에서 추락한 사람들의 현실을 그린다.


최근작 「미키 17」은 파시즘적 독재 체제와 자본주의의 노동 착취를 비판하는 작품으로, SF 블록버스터 장르를 재구성한 창의적 실험이라고 할 수 있다.


이남은 "봉준호의 영화가 1987년 민주화 이후 한국 사회의 변혁과 21세기 신자유주의 자본주의의 세계적 확장이라는 맥락에서 이해돼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남은 서울대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서강대에서 언론 대학원 영상과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중앙일보> 영화 담당 기자로 활동하다 2000년 유학을 떠나 미국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USC 영화 대학에서 아녜스 바르다를 연구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채프먼대 영화 및 미디어 대학에서 영화학 부교수로 한국 영화와 동아시아 영화, 여성 영화 등을 연구하고 있다. 2023년 Oxford Bibliographies의 <봉준호> 항목을 맡아 주요 연구 문헌을 선별하고 해설을 작성했다.

관련기사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이슈픽] 강선우 의원 '보좌관 갑질' 논란···야당 "사퇴해야" vs 여당 "충실히 소명"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보좌관 갑질' 논란의 중심에 섰다. 문제를 제기한 보좌진들은 "자택 쓰레기 분리수거, 변기 수리 등 사적 지시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5년간 46명이 의원실을 떠났다"며 이례적인 인사 교체가 갑질의 방증이라는 목소리도 높다."변기 수리·쓰레기 분리수거까지"…...
  2.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가족 집에 들어서면 대문 옆에 헛간이 서고처럼 서 있는데 처마 끝에 도서 대여목록 카드처럼 여섯 자루의 호미가 꽂혀 있다. 아버지 호미는 장시간 반납하지 않은 책처럼 한번 들고 나가면 며칠씩 밤새고 돌아온다. 산비탈을 다듬는지 자갈밭을 일구는지 듬성듬성 이가 빠져 자루만 조금 길면 삽에 가까운 호미, 그 옆에 어머니 호미는 가장 많...
  3.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바이킹 선장은 낡은 군복을 입고 담배를 문 채로그냥 대충 타면 된다고 했다두려운 게 없으면 함부로 대한다망해가는 유원지는 이제 될 대로 되라고배를 하늘 끝까지 밀어 올렸다모터 소리와 함께 턱이 산에 걸렸다쏠린 피가 뒤통수로 터져 나올 것 같았다원래는 저기 저쪽 해 좀 보라고 여유 있는 척좋아한다고 외치려 했는데으어어억 하는 사이 .
  4. [이슈픽] 국무회의 첫 생중계에 쏠린 시선···"투명성 강화" vs "긍적적 평가할 뻔" "국민이 정책 논의 과정을 볼 권리가 있다."2025년 7월 29일, 이재명 대통령이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국무회의 전 과정을 국민 앞에 생중계했다. 대통령의 모두발언만 공개되던 관행을 깨고, 1시간 20분 동안 주요 현안에 대한 장관들과의 실시간 토론까지 국민에게 여과 없이 공개했다.정치권의 엇갈린 반응: "투명성 강화" vs...
  5. [새책] 일과 자유, 삶의 품위를 묻는《나는 북경의 택배기사입니다》···현재를 희생하며 꿈꾸는 노동자들의 삶 택배기사, 물류센터 상하차, 패스트푸드 배달, 주유소 직원, 쇼핑몰 경비원, 온라인 쇼핑몰 창업 등 현장에서 일하며 인간의 품위와 자유를 고민한 한 청년의 기록이 있다. 고된 노동 속에서 마법 같은 순간을 발견하고 글쓰기를 하며 성장하는 이야기다. 월북에서 일하는 이들의 기쁨과 슬픔을 기록한 《나는 북경의 택배기사입니다》를 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