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새책] 《불가능한 애도》가 충실한 애도의 출발점
  • 정해든 기자
  • 등록 2025-04-03 00:00:01
  • 수정 2025-04-03 10:40:07

기사수정
  • - 애도를 '새로이 발명'하라

박영진·조영아·서지형·박영옥·이혜인·고해종·김민호·퀑탱 메이야수 지음 / 림보프레스 / 16,800원애도란 무엇이며, 우리는 어떻게 망자를 기억해야 할까? 끝나지 않는 애도의 여정은 우리 삶에 어떤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까? 죽음과 삶의 간극 속에서 새로운 실존의 체제를 모색할 수 있을까? 


림보프레스에서 여덟 저자가 참여해 애도의 본질과 그 불가능성을 탐구한 《불가능한 애도》를 펴냈다.


'불가능성'은 망자와의 관계에 관한 전제 조건인데, 이 불가능성이 우리에게 새로운 관계의 가능성 또는 개방성, 관계의 열림을 알린다. 불가능성을 함의하는 '실재'가 정신분석 실천의 바탕이자 초석이듯, 이 책은 (데리다를 따라) 애도의 불가능성이 충실한 애도의 출발점이라고 말한다.


따라서 정신분석, 자크 데리다, 모리스 블랑쇼의 애도에 관한 말들과 무한한 애도로 나아가는 영화감독 샹탈 아케르만의 작업을 살피며, 불가능성과 함께하는 애도에 관해 이야기한다. 메이야수의 신성학과 같이 실존과 비실존(존재와 비존재)의 대립이 아닌, 비존재와 포개지는 사유를 통해 지금 우리에게 애도를 "새로이 발명"(154쪽)할 것을 권고한다. 


퀑탱 메이야수는 마지막 장 「도래할 애도, 도래할 신」에서 "여전히 구성되어야 할 신성학"을 논하며, 진정한 애도와 양립 가능한 시간의 의미를 탐구한다. 그는 "죽음이 아닌 다른 무언가가 개시되기 위한 실존의 체제가 창발"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과거 회상을 넘어 미래를 향해 열려 있는 새로운 관계를 창출하는 것이다.


박영진의 「애도에 관한 노트」에서는 프로이트, 멜라니 클라인, 라캉 등 정신분석가들의 이론을 따라가며 애도의 개념을 분석한다. 롤랑 바르트의 문학적 성찰은 개인적 상실 경험과 연결되어 독자들에게 깊은 공감을 불러일으킨다.


조영아의 「끝나지 않는(태어나지 않은) 그」는 존재와 삶 사이의 간극이 오히려 존재 고유성을 드러낸다고 주장하며, 이러한 간극이 끝나지 않는 애도의 여정과 맞닿아 있음을 보여준다. 서지형의 「파괴적인 대상에 매혹되기」는 블랑쇼 소설을 통해 죽음충동과 실재에 매혹된 주체가 죽음과 합일되는 과정을 묘사한다.


박영옥은 「마지막으로 말할 사람」에서 파울 첼란의 시와 이를 읽는 블랑쇼와 데리다의 해석을 통해 타자를 짊어지는 애도의 윤리를 탐구한다. 이혜인의 「아무것도 아닌 것으로 말하기」는 글쓰기와 창작 작업이 애도의 과정과 닮아 있음을 아케르만의 작업을 통해 보여준다.


고해종은 「마침내 사는 법을 배우기」에서 데리다의 애도 개념을 소개하며, 무한히 반복되는 실패 속에서 "살아남는survie"―즉 삶을-넘어서는-삶을 발견하는 과정을 논한다. 김민호는 영화 《어바웃 타임》을 통해 장래와 도래할 타자를 긍정하는 메이야수적 윤리를 제안하며 망자와의 시간을 새롭게 고안할 것을 당부한다.

관련기사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이슈픽] 강선우 의원 '보좌관 갑질' 논란···야당 "사퇴해야" vs 여당 "충실히 소명"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보좌관 갑질' 논란의 중심에 섰다. 문제를 제기한 보좌진들은 "자택 쓰레기 분리수거, 변기 수리 등 사적 지시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5년간 46명이 의원실을 떠났다"며 이례적인 인사 교체가 갑질의 방증이라는 목소리도 높다."변기 수리·쓰레기 분리수거까지"…...
  2.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가족 집에 들어서면 대문 옆에 헛간이 서고처럼 서 있는데 처마 끝에 도서 대여목록 카드처럼 여섯 자루의 호미가 꽂혀 있다. 아버지 호미는 장시간 반납하지 않은 책처럼 한번 들고 나가면 며칠씩 밤새고 돌아온다. 산비탈을 다듬는지 자갈밭을 일구는지 듬성듬성 이가 빠져 자루만 조금 길면 삽에 가까운 호미, 그 옆에 어머니 호미는 가장 많...
  3.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바이킹 선장은 낡은 군복을 입고 담배를 문 채로그냥 대충 타면 된다고 했다두려운 게 없으면 함부로 대한다망해가는 유원지는 이제 될 대로 되라고배를 하늘 끝까지 밀어 올렸다모터 소리와 함께 턱이 산에 걸렸다쏠린 피가 뒤통수로 터져 나올 것 같았다원래는 저기 저쪽 해 좀 보라고 여유 있는 척좋아한다고 외치려 했는데으어어억 하는 사이 .
  4. [이슈픽] 국무회의 첫 생중계에 쏠린 시선···"투명성 강화" vs "긍적적 평가할 뻔" "국민이 정책 논의 과정을 볼 권리가 있다."2025년 7월 29일, 이재명 대통령이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국무회의 전 과정을 국민 앞에 생중계했다. 대통령의 모두발언만 공개되던 관행을 깨고, 1시간 20분 동안 주요 현안에 대한 장관들과의 실시간 토론까지 국민에게 여과 없이 공개했다.정치권의 엇갈린 반응: "투명성 강화" vs...
  5. [새책] 일과 자유, 삶의 품위를 묻는《나는 북경의 택배기사입니다》···현재를 희생하며 꿈꾸는 노동자들의 삶 택배기사, 물류센터 상하차, 패스트푸드 배달, 주유소 직원, 쇼핑몰 경비원, 온라인 쇼핑몰 창업 등 현장에서 일하며 인간의 품위와 자유를 고민한 한 청년의 기록이 있다. 고된 노동 속에서 마법 같은 순간을 발견하고 글쓰기를 하며 성장하는 이야기다. 월북에서 일하는 이들의 기쁨과 슬픔을 기록한 《나는 북경의 택배기사입니다》를 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