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하나은행 x 베트남투자개발은행, 국가 간 QR결제 생태계 구축한다
  • 김광일 기자
  • 등록 2025-08-13 10:16:08

기사수정
  • - 대한상공회의소 주최 ‘한국‑베트남 비즈니스 포럼’에서 업무협약(MOU) 체결
  • - 한·베트남 간 QR결제 및 글로벌 정산 서비스 등 간편 금융 서비스 적극 지원
  • - 이호성 행장 “국가 간 QR결제 생태…

레 응옥 람 베트남투자개발은행장과 이호성 하나은행장이 12일 '한국‑베트남 비즈니스 포럼'에서 '국가 간 QR결제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 했다.

12일 '한국‑베트남 비즈니스 포럼'에서 하나은행이 베트남투자개발은행(은행장 레 응옥 람, BIDV)과 국가 간 QR결제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했다.


하나은행은 한국과 베트남 간 디지털 금융 협력을 한층 더 강화해 국가 간 QR결제 서비스 및 글로벌 정산 서비스 등을 지원하기로 했다. 양국 국민과 기업이 간편하고 안전하게 금융 서비스를 이용할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호성 하나은행장은 "이번 협약은 한국의 선진 디지털 금융 기술과 베트남의 광범위한 결제 네트워크 결합이 핵심"이라며 "소상공인과 관광객 모두가 혜택을 누릴 국가 간 QR결제 생태계 구축을 통해 양국의 경제 성장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2019년 BIDV 지분 15%를 인수하며 전략적 파트너십을 구축한 하나은행은 이후 자회사인 GLN 인터내셔널을 통해 디지털 금융 협력을 지속하고 있다.


GLN은 2022년 BIDV와 함께 QR코드 기반 현금 인출 서비스를 출시한 바 있다. 이를 통해 '하나원큐' 앱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베트남의 2,100여 BIDV ATM에서 카드 없이 현금을 찾을 수 있다.


'한국‑베트남 비즈니스 포럼'은 또 럼 베트남 당 서기장 방한 공식 일정이다. 한국·베트남 경제계 기업인 500명도 참석해 양사의 협력을 확인했다. BIDV는 경제사절단으로 방한했다. 

관련기사
TAG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이슈픽] 강선우 의원 '보좌관 갑질' 논란···야당 "사퇴해야" vs 여당 "충실히 소명"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보좌관 갑질' 논란의 중심에 섰다. 문제를 제기한 보좌진들은 "자택 쓰레기 분리수거, 변기 수리 등 사적 지시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5년간 46명이 의원실을 떠났다"며 이례적인 인사 교체가 갑질의 방증이라는 목소리도 높다."변기 수리·쓰레기 분리수거까지"…...
  2. 현대차, 수소전기차 '넥쏘' 부담 낮춘다···2년 충전비 지원·유예형 할부 현대자동차가 '넥쏘 이지 스타트 프로그램'을 내놓아 '디 올 뉴 넥쏘' 구매 부담을 낮춘다. '차량반납 유예형 할부'으로 월 납입금을 줄이고, '수소충전비 지원'으로 최대 240만 원을 지원한다.'차량반납 유예형 할부'는 차량가의 최대 50%를 중고차 잔가로 보장해 해당 금액을 유예하고, 나머지만 분할 납입하는 방...
  3. [어향숙의 시가 있는 일요일] 바이킹 선장은 낡은 군복을 입고 담배를 문 채로그냥 대충 타면 된다고 했다두려운 게 없으면 함부로 대한다망해가는 유원지는 이제 될 대로 되라고배를 하늘 끝까지 밀어 올렸다모터 소리와 함께 턱이 산에 걸렸다쏠린 피가 뒤통수로 터져 나올 것 같았다원래는 저기 저쪽 해 좀 보라고 여유 있는 척좋아한다고 외치려 했는데으어어억 하는 사이 .
  4. [이슈픽] 국무회의 첫 생중계에 쏠린 시선···"투명성 강화" vs "긍적적 평가할 뻔" "국민이 정책 논의 과정을 볼 권리가 있다."2025년 7월 29일, 이재명 대통령이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국무회의 전 과정을 국민 앞에 생중계했다. 대통령의 모두발언만 공개되던 관행을 깨고, 1시간 20분 동안 주요 현안에 대한 장관들과의 실시간 토론까지 국민에게 여과 없이 공개했다.정치권의 엇갈린 반응: "투명성 강화" vs...
  5. [새책] 1920년대 신여성·모던걸 탐구한 《근대라는 외장》···일제강점기 근대가 추구한 외적·내적 변화와 미용 … "유튜버나 틱톡커와 같은 인플루언서들은 연예인만큼 유명하다. 아주 최근의 일이다. 1927년 문을 연 경성라디오방송국에는 당시 최첨단 방송을 이끌 상징적인 존재로 아나운서를 내세웠다. 여성 아나운서들은 '보브컷'이라 불리는 단발을 하며 패션과 유행을 주도한 셀러브리티였다."- 류수연 작가1920년대 경성은 식민지 근대...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